부당이득금

사건번호:

2017다231232

선고일자:

20180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확정판결의 이유에 포함된 상계항변으로 주장된 자동채권에 관하여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는지 여부(적극) 및 그 범위(=상계로써 대항한 액수) / 소송에서 다투어지고 있는 권리 또는 법률관계의 존부에 관한 전소 확정판결이 있는지가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인지 여부(적극) 및 당사자가 사실심 변론종결 시까지 주장하지 아니한 확정판결의 존재를 상고심에서 새로이 주장, 증명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34조, 제216조, 제43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 10. 10. 선고 89누1308 판결(공1989, 1684), 대법원 2011. 5. 13. 선고 2009다94384, 94391, 94407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서울 담당변호사 양동관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피고 1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성희)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7. 4. 25. 선고 2015나207186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수동채권인 원고의 이 사건 부당이득반환채권과 자동채권인 피고 2의 이 사건 대여원리금채권은 양 채권이 모두 변제기에 도달하여 상계적상이 발생한 2014. 7. 24. 대등액에서 소멸하였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상계적상 시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원칙적으로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주문에 포함된 것에 한하여 인정되지만, 이유에 포함된 것이라도 상계항변으로 주장된 자동채권에 관해서는 상계로써 대항한 액수에 한하여 기판력이 미친다(민사소송법 제216조). 그리고 소송에서 다투어지고 있는 권리 또는 법률관계의 존부가 동일한 당사자 사이의 전소에서 이미 다투어져 이에 관한 확정판결이 있는 경우에 당사자는 이에 저촉되는 주장을 할 수 없고, 법원도 이에 저촉되는 판단을 할 수 없음은 물론, 위와 같은 확정판결의 존부는 당사자의 주장이 없더라도 법원이 이를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하지 않으면 안 되고, 더 나아가 당사자가 확정판결의 존재를 사실심 변론종결 시까지 주장하지 아니하였더라도 상고심에서 새로이 이를 주장, 증명할 수 있다(대법원 1989. 10. 10. 선고 89누1308 판결, 대법원 2011. 5. 13. 선고 2009다94384, 94391, 94407 판결 등 참조).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피고 2가 원고를 상대로 별건 대여금청구소송(서울고등법원 2015나2071847)을 제기하여 원고에 대하여 이 사건 대여원리금채권 93,036,196원이 있음이 인정되었고, 한편 위 소송에서 원고가 이 사건 청구원인사실을 내세워 피고 2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채권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상계항변을 함으로써 피고 2의 이 사건 대여원리금채권액 93,036,196원은 상계적상일인 2014. 7. 24.을 기준으로 원고의 이 사건 부당이득반환채권과 대등액의 범위(상계적상일까지의 지연손해금 7,730,584원 및 원금 111,089,115원 중 85,305,612원) 내에서 소멸하였다고 판단되어 결국 피고 2의 청구는 기각되었으며, 위 판결은 이 사건 원심판결 선고 이후인 2017. 11. 23. 확정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와 같이 피고 2가 제기한 별건 대여금청구소송에서 원고가 상계로 대항한 액수인 93,036,196원(상계적상일까지의 지연손해금 7,730,584원 및 원금 중 85,305,612원)의 부당이득반환채권에 대하여는 그 존부에 관한 기판력이 발생하였으므로, 원고의 이 사건 청구 중 위 93,036,196원 부분은 기판력에 저촉되어 허용될 수 없다 할 것이다. 이 점에서 원심판결은 위법하여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재형(재판장) 김창석(주심) 조희대 민유숙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상계항변의 기판력, 어디까지 인정될까?

이 판례는 법원이 소송에서 상계 주장을 기각했을 때, 그 기각 판결이 이후 소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기판력), 특히 여러 개의 반대채권 중 일부만 인정됐을 때 기판력 범위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상계항변#기판력#반대채권#상계 후 남은 채권 원금

민사판례

상계 주장과 기판력, 그 미묘한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판결 주문에 적힌 내용에만 효력이 있으며, 판결 이유에 적힌 상계 주장에 대한 판단은 예외적으로 기판력을 가진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상계 주장의 대상이 된 채권과 원래 소송의 대상이 된 채권이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같아야 한다. 본 판례는 무변론 판결의 경우, 판결 이유에 대한 기판력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후속 소송에서 기존 판결의 내용과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계 주장을 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확정판결#기판력#상계#무변론판결

상담사례

빚으로 빚 갚겠다는데... 안된다고요? 상계 재항변, 왜 안될까?

빚으로 빚을 갚겠다는 '상계 재항변'은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다른 빚이 있다면 별도 소송이나 소송 내용 추가가 효율적인 해결책이다.

#상계 재항변#소송##대법원 판례

민사판례

돈 갚아야 하는데, 나도 받을 돈이 있어요! - 상계와 그 함정

빚을 서로 상계할 때에는 상계 시점을 기준으로 이자를 계산하고, 이자부터 먼저 갚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 전체 이자를 다 계산한 후 상계하면 계산이 틀려진다.

#빚 상계#이자 계산#상계 시점#상계적상일

상담사례

돈 받을 권리로 맞상계?! 그 판결, 효력 있을까요? (동시이행과 상계, 기판력)

동시이행 관계(땅 판매자가 잔금 받고 등기 서류 줘야 하는 상황)에서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빌려준 돈을 잔금에서 상계하겠다는 주장은 기판력이 없으므로, 매수인은 나중에 잔금 청구 소송을 다시 제기할 수 있다.

#동시이행#상계#기판력#부동산 매매

민사판례

빌린 돈 갚았다는 판결이 있는데, 왜 또 갚으라고 할까? 기판력 이야기

이전 소송에서 돈을 갚았다는 판결이 나왔더라도, 그 판결은 '돈을 갚았다'는 사실 자체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그 돈을 갚아야 할 '빚이 있었다'는 것을 전제로 한 판단이기 때문에, 나중에 다른 소송에서 법원은 '빚이 없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확정판결#기판력#변제#채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