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89다카22975

선고일자:

199003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고물상영업허가를 받아 차량정비 및 밧데리 등의 판매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가동연한

판결요지

일반 육체노동이나 일반 육체노동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생계활동의 가동연한이 만 55세라는 경험법칙에 의한 추정은 이제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렵고 만 55세를 넘어서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경험법칙에 합당하다고 할 것인데, 고물상영업허가를 받아 차량정비 및 밧데리 등의 판매업에 종사하는 것도 일반 육체노동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것이므로 그 가동연한이 만 55세까지라고 인정하는 것은 채증법칙에 위반된다.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 제39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12.26. 선고 88다카16867 전원합의체 판결(공1990,356), 1990.1.23. 선고 89다카7723 판결(공1990,513), 1990.2.13. 선고 88다카22435 판결(공1990,624)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한충열 외 3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고재규 【피고, 피상고인】 평안운수주식회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7.7.19. 선고 89나12454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재산적 손해에 관한 원고들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나머지 부분에 관한 원고들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기각부분에 대한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고들의 피상속인인 소외 망 한광열에 대한 일실이익을 산정함에 있어 위 망인은 고물상영업을 허가받아 차량정비 및 밧데리 등의 판매를 하여 왔다고 전제하고 위와 같은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이 55세가 끝날 때까지 가동할 수 있는 사실이 경험법칙상 명백하다고 판단하여 60세까지 종사할 수 있다는 원고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일반 육체노동이나 일반 육체노동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생계활동의 가동연한이 만 55세라는 경험법칙에 의한 추정은 이제 더 이상 유지되어 어렵고 만 55세를 넘어서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경험법칙에 합당하다고 할 것이므로( 당원 1989.12.26. 선고 88다카16867 판결 참조) 일반 육체노동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위 망인의 생계활동의 가동연한이 만 55세까지라고 인정한 원심판결에는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 고 할 것이고 이는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재산적 손해에 관한 원고들 패소부분을 파기하여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고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며, 상고기각부분에 대한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덕주(재판장) 윤관 배만운 안우만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육체노동자의 가동연한, 이제는 만 65세?

이 판례는 육체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실수입(사고로 일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한 손해)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가동연한(일할 수 있는 나이)을 만 60세가 아닌 만 65세로 보아야 한다는 것을 확립한 중요한 판결입니다. 과거에는 만 60세까지로 보았지만, 사회경제적 변화를 반영하여 이를 변경한 것입니다.

#육체노동자#가동연한#65세#일실수입

민사판례

50대 농부의 가동연한, 65세까지 인정된 사례

교통사고로 사망한 52세 농부의 가동연한을 65세까지로 인정한 판례. 당시 농촌의 현실과 망인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판단.

#가동연한#농부#65세#교통사고

민사판례

육체노동자, 언제까지 일할 수 있을까? 가동연한 65세로 상향!

육체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이 사고를 당했을 때, 손해배상액을 계산하는 기준인 가동연한을 기존 만 60세에서 만 65세로 높였다.

#육체노동자#가동연한#65세#손해배상

민사판례

일용직 용접공도 55세 넘어서 일할 수 있다?! 가동연한에 대한 오해와 진실

육체노동자의 가동연한을 만 55세로 보는 것은 더 이상 맞지 않습니다. 55세가 넘어도 일할 수 있다는 것이 요즘 시대의 경험칙에 더 부합합니다.

#가동연한#육체노동자#55세#손해배상

민사판례

60세 이상의 소득 손실 계산, 어떻게 할까요?

60세가 넘는 사람의 소득 손실을 계산할 때, 법원은 획일적인 통계자료 뿐 아니라 개인의 상황도 고려하여 일할 수 있는 기간(가동연한)을 정할 수 있다.

#가동연한#60세 이상#소득 손실#배상

민사판례

식당 종업원도 55세 넘어 일할 수 있다?! 가동연한에 대한 대법원 판결

육체노동을 주로 하는 음식점 종사자의 소득 상실 손해배상 계산 시, 과거 판례에서 적용되던 가동연한 만 55세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만 55세가 넘어서도 일할 수 있다는 것이 경험상 맞기 때문에, 만 55세를 넘어서도 소득 상실분을 배상해야 한다.

#음식점 종사자#가동연한#55세#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