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등

사건번호:

90다16672

선고일자:

199107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는 대지의 지분권을 공유자로부터 양수한 자가 그 양도인인 공유자가 제3자에게 부담하고 있던 지상권설정계약상의 채무를 당연히 승계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는 대지의 지분권을 공유자로부터 양수한 자가 그 양도인인 공유자가 제3자에게 부담하고 있던 지상권설정계약상의 채무를 당연히 승계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262조, 제27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원고보조참가인, 상고인】 원고보조참가인 【피고, 피상고인】 피고 1 외 1인 【원심판결】 전주지방법원 1990.11.1. 선고 90나2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와 원고보조참가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와 그 보조참가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군산시 (주소 생략) 대 884 평방미터는 소외 1 등 12인이 그 소유지분에 따라 공유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위 공유자들이 구분하여 점유하고 있는 특정부분을 배타적으로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었으며, 소외 소병호와 위 공유자들 사이에 건물의 소유를 목적으로 한 존속기간 100년의 지상권설정계약을 체결하고 위 소병호가 위 공유자들을 상대로 지상권설정등기이행의 소를 제기하여 그 승소판결을 받은 바 있는데, 그 후 피고들이 그 지분을 각 공유자로부터 이전 받았고, 원고는 위 소외 2로부터 판결에 의하여 설정등기될 지상권을 양도받은 사실을 전제한 다음, 원고의 청구원인 사실 즉 피고들이 전공유자로부터 이 사건 부동산의 지분권을 양수하면서 그들이 위 소외 2와 사이에 체결한 지상권설정계약상의 지위를 승계하였으므로 소외 2를 대위하여 이 사건 부동산 중 피고들 지분에 관하여 지상권설정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한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피고들이 위 지상권설정계약상의 지위를 승계하였다는 원고주장사실을 인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피고들이 위 지상권설정계약상의 채권채무를 당연히 승계한다고 할 수도 없는 것이라 하여 원고의 청구를 배척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다. 소론은 독자적인 견해에 서서 원심판결을 비난하는 데 지나지 아니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박우동 배석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 나눠 쓰기로 했으면, 확실하게 약속해야죠!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한 땅을 나눈 뒤, 각자 특정 부분을 소유하기로 했다고 주장하려면, 단순히 땅을 나누고 각자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서로 간에 명확하게 '각자 특정 부분을 배타적으로 소유하기로 합의했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공유토지#분할#구분소유적 공유관계#명확한 합의

민사판례

공유지분을 경매로 샀는데, 기존 공유자들이 땅을 무상으로 쓰기로 한 약속, 나한테도 효력 있을까?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땅에 대해 기존 공유자들끼리 일부 공유자에게 무상으로 사용하게 해주는 특약을 했을 때, 경매로 새롭게 지분을 취득한 사람도 그 특약을 따라야 하는가? 원칙적으로는 그렇지만, 그 특약이 다른 공유자들의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경우에는 예외가 된다.

#공유지분#경매취득자#무상사용 특약#효력

민사판례

땅의 일부를 경매로 샀다면? 내 땅 맞아요!

국가로부터 토지의 특정 부분을 불하받은 사람은 구획정리 후에도 해당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다. 그리고 그 토지 지분에 설정된 근저당권 실행으로 낙찰받은 사람 역시 해당 지분을 그대로 취득한다.

#토지 불하#구획정리#소유권#지분

민사판례

땅을 여러 명이 공유할 때, 내 땅처럼 쓸 수 있을까? - 구분소유적 공유에 대한 이야기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땅이라도 각자 자기 땅처럼 사용하기로 약속했다면, 마치 자기 소유의 땅처럼 담보로 제공하거나 팔 수 있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각자 사용하는 부분이 나뉘어져 있다고 해서 무조건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명확하게 '이 부분은 네 땅, 저 부분은 내 땅'처럼 소유권을 나누기로 합의해야 합니다.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성립요건#공유#약정

상담사례

내 땅인데 왜 남의 땅이 되었죠? 공유지분 경매와 구분소유 이야기

토지 일부를 매수하여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는 경우, 경매 과정에서 이러한 관계가 고려되지 않으면 새로운 소유자에게 대항하기 어려워 소유권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공유지분 경매#구분소유적 공유관계#상호명의신탁#경매 과정

민사판례

땅을 나눠 사는 것, 생각보다 복잡해요! - 구분소유적 공유에 대한 이야기

한 필지의 땅을 여러 사람에게 나눠 팔았더라도, 단순히 나눠 판 것만으로는 각자가 자기 땅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서로 '여기는 네 땅, 여기는 내 땅'이라고 명확하게 합의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해야만 각자 자기 땅처럼 사용할 권리가 생긴다.

#토지#분할매매#구분소유적 공유관계#소유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