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0다19121

선고일자:

199107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수출물품 제조업자가 무역업자(종합무역상사)와 신용장 양도방식의 수출대행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있어 무역업자의 수출물품에 대한 하자담보책임을 부정한 사례 나. 증거의 채부결정

판결요지

가. 수출물품 제조업자가 무역업자(종합무역상사)와 신용장 양도방식의 수출대행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있어 무역업자의 수출물품에 대한 하자담보책임을 부정한 사례 나. 당사자의 주장사실에 대한 유일한 증거가 아닌 한 증거의 채부는 법원이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는 재량사항이다.

참조조문

가.민법 제580조, 대외무역법 제7조, 제13조 / 나. 민사소송법 제263조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55.1.20. 선고 4287민상206 판결, 1955.11.15. 선고 4288민항8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티 앤드 제이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평우 외 3인 【피고, 피상고인】 럭키금성상사 주식회사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동환 외 1인 【원 판 결】 서울고등법원 1990.11.6.선고 89나4881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소송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 및 이를 보충하는 보충상고이유에 대하여 (1) 원심은 일본국의 회사인 원고는 한국으로부터 신발을 수입하기로 하여, 1986.6.경 외국 수입상들의 수입업무를 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상사를 경영하는 소외 1(원심의 공동피고)과 사이에 위 소외 1로 하여금 원고를 위하여 신발류를 구매하여 품질을 검사하고 통관하게 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하였는데, 그 후 원고는 위 소외 1을 통하여 △△화학이라는 상호로 신발제조업을 경영하는 소외 2와 사이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1986.11.8.부터 1987.2.26.까지 사이에 4회에 걸쳐 수익자를 각 소외 1로 하는 양도가능 신용장을 발행하여 소외 1에게 송부하였으며 소외 1은 이를 각 소외 2에게 송부하였는바 소외 2는 대외무역법이 정한 수출입허가업체가 아니어서 직접 수출할 수가 없으므로 그 수출업무를 종합무역상사인 피고들에게 위탁하기로 하여 피고들과 사이에 각 수출대행계약을 체결한 후 피고들에게 위 신용장을 각 양도하였고 그 후 피고들은 그들 명의로 송장을 비롯한 선적서류 등을 작성하여 소외 2가 제조한 신발을 원고 앞으로 선적하고 선적에 앞서 발급받은 위 소외 1의 각 검사증명서를 첨부하여 그 대금의 결제를 받아 소외 2에게 지급하였으며, 원고가 위와 같이 수입한 신발을 일본 국내에서 판매하던 중 일부 제품에서 못이 나오는 등 하자가 발견되고 이로 인하여 원고가 손해를 입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가 소외 김국치와의 이건 매매계약이 체결될 당시 위 소외인이 통관이나 선적 등의 수출절차를 이행함에 있어서는 피고들과 같은 무역업자의 명의를 빌려야 하고 대금도 신용장을 양도하여 추심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알고 있는 이 사건에 있어 상품거래가 아닌 추상성을 띤 서류상의 거래만으로는 위 피고들이 이 사건 신발제품매매의 당사자가 된다고 볼 수 없고, 또 신용장의 양도로서 당연히 매도인의 지위가 신용장 양수인에게 이전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위 피고들이 이 사건 신발제품의 매도인임을 전제로 하는 원고의 하자담보책임 주장은 이유없다고 판단하였는바,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옳고 여기에 논지가 지적하는 바와 같이 매매계약 및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2) 당사자의 주장사실에 대한 유일한 증거가 아닌 한 법원은 자유로이 증거의 채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논지는 원심의 재량사항에 대한 비난으로서 원심판결에 논지가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이에 논지는 모두 이유없으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배석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수출대행자가 매도인인가?

수출대행자라 하더라도 단순히 대행만 하는 것이 아니라 금융 지원 등 실질적으로 수출 과정에 깊이 관여했다면, 수입자에 대해 매도인과 같은 책임을 질 수 있다.

#수출대행#매도인 지위#금융지원#실질적 관여

민사판례

불량 자동차 부품 때문에 수출대금을 못 받았어요! 제작사는 얼마나 책임져야 할까요?

주문 제작된 자동차 부품에 하자가 발생했을 때, 제작업체는 하자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지만, 부품을 납품받은 업체에도 하자 확인을 소홀히 한 과실이 있다면 손해배상액이 조정될 수 있다.

#자동차 부품#하자#손해배상#제작업체 책임

민사판례

수출대행, 그냥 대행만 해준 걸로 끝나는 걸까요?

수출대행자가 단순히 서류 작업만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수출 과정에 깊이 관여하고 수입자와 직접적인 계약 관계를 맺었다면, 수입자에게는 수출대행자가 매도인과 같은 책임을 진다. 수입자가 대행자의 역할을 알고 있었더라도 마찬가지다.

#수출대행#매도인 책임#실질적 매도인#하자담보책임

민사판례

등산화 하자, 누구 책임일까? - OEM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하자와 과실상계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제작된 등산화에 하자가 있을 경우, 주문자에게 하자 발생이나 확대에 대한 과실이 없다면 제작·납품업체가 책임을 져야 한다.

#OEM#등산화#하자#제조업체 책임

민사판례

하자 있는 원단, 누구 책임일까? - 원단 가공 도급계약 분쟁 사례

원단 가공을 맡겼는데 하자가 발생해서 수출이 무산되었다면, 가공업체는 하자로 인해 발생한 손해뿐만 아니라 수출 무산으로 발생한 손해(하자확대손해)까지 배상해야 합니다. 다만, 의뢰업체가 아직 가공료를 지급하지 않았다면, 가공업체는 가공료 지급과 손해배상을 동시에 이행할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가공료에 해당하는 금액만큼은 손해배상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원단가공#하자#손해배상#하자확대손해

민사판례

수출품 검사 확인서와 손해배상 책임

수입업자의 대리상(A)이 불량 티셔츠를 발견했지만 수출업자(B)의 손해배상 약속을 받고 수출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수입업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하자, 대리상은 수출업자에게 배상을 요구했습니다. 이때 대리상의 과실은 참작되지 않으며, 수출업자는 실제 발생한 손해 범위 내에서만 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입니다.

#불량 티셔츠#수출#손해배상#대리상 과실 불참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