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0다카25222

선고일자:

19901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매매계약에 기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사건에서 대금의 일부를 수령하지 않았다는 동시이행의 항변과 이에 대한 심리

판결요지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에 있어 매수인은 매매계약 사실을 주장, 입증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도인은 소유권이전등기의무가 있는 것이며, 매도인이 매매대금의 일부를 수령한 바 없다면 동시이행의 항변을 제기하여야 하는 것이고, 법원은 매도인의 이와 같은 항변이 있을 때에 비로소 대금지급 사실의 유무를 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536조, 민사소송법 제188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이정율 【피고, 상고인】 김정옥 소송대리인 변호사 한종술 【원심판결】 마산지방법원 1990.7.6. 선고 89나100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에 있어 매수인은 매매계약 사실을 주장, 입증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도인은 소유권이전등기 의무가 있는 것이며, 매도인이 매매대금의 일부를 수령한 바 없다면 동시이행의 항변을 제기하여야 하는 것이고, 법원은 매도인의 이와 같은 항변이 있을 때에 비로소 대금지급 사실의 유무를 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기록을 살펴보면, 매도인인 피고는 이 사건 매매계약이 사기와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임을 이유로 이를 취소한다는 항변을 한 바는 있으나, 매매대금 중 금 800,000원을 받지 못하였음을 이유로 소유권이전등기에 응할 수 없다는 항변을 제기한 바는 없으므로 원심이 그 이유에서 사기와 강박의 항변을 배척하는 외에 매매대금 중 금 800,000원을 지급하였는지 여부를 설시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이유불비라고 할 수 없다. 3. 원심이 위 매매대금 중 금 800,000원이 변제된 것인지 여부를 설시하지 아니한 것이 위법인 것이 아닌 한, 소론의 갑제3호증(공탁서)에 의한 변제공탁의 효력이 있는지 여부는 이 사건 결과에 영향이 없다. 4. 따라서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덕주(재판장) 윤관 배만운 안우만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동산 잔금 안 받고 등기 넘겨줬는데, 유치권 주장할 수 있을까?

부동산을 판 사람이 돈을 다 받지 못했더라도, 먼저 소유권 이전등기를 해줬다면, 그 부동산을 계속 점유하고 있더라도 유치권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

#부동산#매매#잔금#미납

민사판례

잔금 미지급에도 책임이 없다고? 알아두면 쓸모있는 부동산 매매 상식!

부동산 매매에서 잔금 납부를 연기하고 이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는데, 매도인이 연기된 잔금일에 등기서류를 제공하지 않으면 매수인은 잔금 미납으로 인한 책임(이행지체)을 지지 않는다.

#잔금연체#약정#서류미제공#이행지체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대금 완납 주장과 계약 해제

부동산 매매에서 매수인이 매매대금을 전부 지급하지 않았더라도, 매매대금을 모두 지급했다고 주장하며 소유권이전등기를 요구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매수인에게 채무이행 의사가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

#소유권이전등기청구#매매대금미지급#계약해제#채무이행의사

민사판례

아파트 분양받고 잔금 다 냈는데, 등기는 안 해준다고?

아파트 분양계약에서 매수인이 잔금(추가부담금)을 다 냈는지 입증해야 소유권 이전등기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법원이 다른 증거로 잔금 납부 사실을 인정하면 입증책임이 문제되지 않는다.

#분양#추가부담금#소유권이전등기#잔금납부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잔금과 등기이행, 언제까지 기다려야 할까?

부동산 매매에서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해줘야 할 의무와 매수인이 잔금을 치러야 할 의무는 동시이행관계입니다. 매도인이 매수인을 잔금 미지급으로 인한 이행지체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단순히 한 번 이행제공을 하는 것으로 부족하고, **계속해서 이행제공을 유지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부동산 매매#동시이행#이행제공#잔금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대금 완납 주장과 계약 해제

부동산 매매에서 매수인이 잔금을 다 치르지 않았더라도 단순히 잔금을 다 냈다고 거짓말하며 등기를 요구하는 것만으로는 계약 위반이라고 바로 판단할 수 없다. 하지만 매수인의 다른 행동과 정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잔금을 낼 의사가 없다고 판단되면 매도인은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부동산#매매대금#미납#계약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