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위반,공무상표시무효

사건번호:

90도2376

선고일자:

19901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양형부당만을 이유로 한 피고인의 항소를 일부인용한 항소심판결에 대하여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을 이유로 상고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양형부당만을 이유로 한 피고인의 항소를 일부 인용한 항소심 판결에 대하여 피고인으로서는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의 점을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38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12.8. 선고 87도1561 판결(공1988,308), 1990.10.10. 선고 90도1688 판결(공1990,2330)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박정규 외 1인 【원심판결】 춘천지방법원 1990.9.20. 선고 90노32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후 구금일수 중 13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변호인들의 상고이유를 본다. 피고인은 제1심판결에 대하여 양형부당만을 항소이유로 내세웠음이 기록상 뚜렷하므로 이를 일부인용한 원심판결에 대하여 피고인으로서는 논지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의 점을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당원 1987.12.8. 선고 87도1561 판결 참조), 나아가 기록을 살펴보아도 원심이 그 채택증거에 의하여 피고인이 판시와 같이 가압류된 무연탄을 판매하여 처분하고, 판시의 압류표시 고시문 2매를 제거하여버려 그 가압류물의 효용을 해한 것이라는 제1심의 판시사실을 정당하다 하여 유지한 조치에 수긍이 가므로 위 논지는 어느 모로 보나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후의 미결구금일수 중 13일을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 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배석 김상원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형량이 부당하다고만 항소했다면, 사실관계 다툼으로 상고는 어려워요!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형량이 너무 무겁거나 가볍다는 이유로만 항소했는데, 항소심에서 기각된 경우, 대법원 상고 단계에서는 사실관계를 다툴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항소#형량#사실관계#상고

형사판례

형량이 부당하다고만 항소했는데, 나중에 다른 이유로 불복할 수 있을까?

1심 판결에 형량만 불만이라서 항소했는데, 항소심에서도 형량만 조정됐다면, 대법원에서는 형량 이외의 다른 이의(사실관계나 법리 해석의 오류 등)는 주장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상고이유#형량#항소심#사실오인

형사판례

형량 낮춰줬는데 뭐가 불만이야? - 양형부당 항소와 상고

피고인이 1심 판결에 대해 형량이 너무 무겁다는 이유로만 항소했고, 항소심에서 형량이 줄어든 경우, 피고인은 사실관계가 잘못되었거나 법리를 잘못 적용했다는 이유로 대법원에 상고할 수 없다.

#형량#항소#감형#상고

형사판례

형량이 마음에 안 든다고 무조건 대법원까지 갈 수 있을까?

1심 판결이 너무 무겁거나 가벼워서(양형부당) 항소했는데, 2심에서 항소가 기각된 경우, 대법원에서는 형량 이외의 다른 이유(예: 사실오인, 법리오해)를 들어 다툴 수 없다.

#양형부당#항소#상고#사실오인

형사판례

항소심에서 형량만 다투었는데, 대법원에 사실관계를 다시 따져달라고 할 수 있을까요?

1심 판결에 불만을 품고 "형량이 너무 무겁다"라는 이유만으로 항소했다가 항소심에서도 졌다면, 대법원에 상고할 때 "사실관계가 틀렸다"라고 주장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항소#양형부당#상고#사실오인

형사판례

형량이 너무 무겁다고 느낄 때, 무조건 대법원까지 갈 수 있을까?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형량이 너무 무겁거나 가볍다는 이유(양형부당)만으로 항소했는데, 2심에서 기각된 경우, 사실관계나 법률적용의 오류를 이유로 대법원에 상고할 수 없다.

#상고#형량부당#양형부당#사실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