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택시운송사업면허취소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5785

선고일자:

1992033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대리운전금지조건 위배가 2차에 불과하여 자동차운수사업법제31조등의규정에의한사업면허취소등의규정에관한규칙상의 면허취소처분기준에도 미달된다면 위 기준을 초과하여 한 개인택시운송사업면허취소처분이 위법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대리운전금지조건 위배가 2차에 불과하여 자동차운수사업법제31조등의규정에의한사업면허취소등의처분에관한규칙상의 면허취소처분기준에도 미달된다면 위 기준을 초과하여 한 개인택시운송사업면허취소처분이 위법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자동차운수사업법 제31조 제1항, 자동차운수사업법제31조등의규정에의한사업면허취소등의처분에관한규칙 제3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0.10.16. 선고 90누5870 판결(공1990,2306), 1991.9.24. 선고 91누5112 판결(공1991,2635)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서울특별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5.31. 선고 91구186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증거를 종합하여 망 소외 1은 개인택시운송사업면허를 받고 (차량등록번호 생략) 택시로 개인택시운송사업을 영위하여 오던 중 1988.5.23. 대리운전금지조건에 위배하여 소외 2로 하여금 대리운전을 하게 하여 같은 해 9.20. 피고로부터 30일간의 운행정지처분을 받은 사실, 그 후 위 망인이 1989.8.13. 위 소외 2로 하여금 한 차례 더 대리운전을 하게 한 사실을 인정하고 위 망인이 1989.7.20.에도 소외 3으로 하여금 대리운전을 하게 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하여는 그 날이 위 망인소유의 개인택시가 속한 부제표시 “가”조 개인택시들의 운휴일에 해당하여 개인택시를 운행하지 않고 있다가 판시와 같이 소외 4에 대한 채무를 변제하기 위하여 위 택시를 운전하고 약속장소인 판시 다방부근에 이르러 같은 택시운전사로서 평소 잘 알고 지내던 소외 3을 만나 주차를 부탁하였고 위 소외 3은 위 망인의 부탁에 따라 그 부근의 도로변에 위 택시를 주차시키다 교통경찰관에게 주정차 위반으로 적발된 사실이 있을 뿐인데 피고는 이를 대리운전으로 인정하여 위 망인에 대하여 판시와 같이 이 사건 개인택시 운송사업면허취소처분을 한 사실, 위 소외 1은 그 후인 1990.10.4. 사망하여 자동차운수사업법 제28조의2의 규정에 따라 상속인인 원고들이 위 망인의 자동차운송사업면허에 관한 권리의무를 승계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위 박창욱으로 하여금 위 택시의 주차를 부탁한 행위는 자동차운수사업법 소정의 대리운전을 하게 한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고 따라서 이 사건 처분은 결국 2차의 대리운전금지조건위배행위를 처분사유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 되어 이는 대리운전으로 인한 면허취소기준 등을 정한 자동차운수사업법제31조등의규정에의한사업면허취소등의규정에관한규칙 제3조 제2항 소정의 기준에도 어긋나는 처분이라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배 등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위 망인의 대리운전금지조건위배가 2차에 불과하여 위 규칙상의 면허취소처분기준에도 미달된다면 위 기준을 초과하여 위 개인택시운송사업면허를 취소한 피고의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함을 면할 수 없으니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옳고 논지는 모두 이유없음에 돌아간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택시 면허 취소, 너무 가혹했나요? 생계 위협하는 처분은 안돼요!

생계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이 대리운전을 시킨 택시기사의 면허를 취소한 것은 처벌이 과도하다는 판결. 이미 운행정지 처분을 받았고 그 이후 대리운전을 시킨 사실이 없는데, 이전의 대리운전까지 포함하여 면허를 취소한 것은 재량권 남용이라는 판단.

#택시기사#면허취소#재량권 남용#생계형 대리운전

일반행정판례

택시 면허 취소, 정당했을까? - 대리운전 3회 적발 사례

이미 두 번이나 대리운전으로 운행정지 처분을 받았던 택시 기사가 또다시 대리운전을 하다 적발되어 택시 면허가 취소되었는데, 법원은 이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관련 규칙이 법적인 구속력이 없더라도, 대리운전 금지 위반이 반복되었고 생계 유지의 어려움보다 위반의 심각성이 더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택시#대리운전#면허취소#운행정지

일반행정판례

택시 면허 취소, 너무 가혹한가요? - 음주운전과 택시 면허의 관계

개인택시 운전자의 운전면허가 취소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택시 사업면허까지 취소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면허 취소로 인한 개인의 불이익과 공익을 비교하여 판단해야 한다.

#택시#운전면허 취소#사업면허 취소#재량권 남용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된 택시기사, 사업면허도 취소될까?

개인택시 기사가 음주운전으로 운전면허가 취소되면, 택시운송사업 면허도 취소될 수 있다. 택시 운영을 위해서는 운전면허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단, 면허 취소 처분을 내릴 때는 공익과 기사가 입을 불이익을 비교해서 판단해야 한다.

#음주운전#면허취소#택시기사#택시운송사업

일반행정판례

택시기사의 강제추행과 운전면허 취소, 정당할까?

택시 운전자가 승객을 강제추행한 경우, 운전면허 취소 처분은 정당하다. 행정처분 기준에 '강제추행'이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택시 운전의 특성상 재범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운전면허를 취소할 수 있다.

#택시#승객#강제추행#운전면허 취소

일반행정판례

면허 취소? 너무 심한 거 아닌가요? - 음주운전 면허취소 처분, 정당할까요?

혈중알코올농도 0.28%의 만취 상태로 택시를 운전하다 사고를 낸 운전자의 면허 취소는, 생계가 어려워진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정당하다.

#음주운전#면허취소#생계곤란#공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