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

사건번호:

91다16631

선고일자:

199108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미등기 또는 무허가건물을 위한 관습상의 지상권 취득 가부

판결요지

토지와 그 지상의 건물이 동일한 소유자에게 속하였다가 토지 또는 건물이 매매나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양자의 소유자가 다르게 된 때에는 그 건물을 철거하기로 하는 합의가 있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건물소유자는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그 건물을 위한 관습상의 지상권을 취득하게 되고, 그 건물은 반드시 등기가 되어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무허가건물이라고 하여도 상관이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36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4.9.22. 선고 63아62 판결(집12② 민111), 1988.4.12. 선고 87다카2404 판결(공1988, 839)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원고 【피고,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1.4.23. 선고 90나2791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토지 중 3570분의 66.75지분과 그 지상의 이 사건 미등기 건물은 소외 재단법인 기독교○○○○회유지재단(이하 소외 재단이라고 한다)의 소유였는데 소외 재단은 1977.9.26. 소외 1에게 이 사건 대지를 매도하면서 위 소외 1이 이 사건 건물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그 대금으로 금 200,000원을 지급하고, 위 소외 1이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외 재단이 이를 철거하여 그 자재 등을 수거하기로 약정하였고, 그 후 1978.7.11. 위 소외 1이 원고에게 이 사건 대지를 전매하면서 이 사건 건물을 책임지고 철거하기로 약정하였으며, 이 사건 대지는 1979.5.2. 소외 재단으로부터 직접 원고 명의로 지분소유권이전등기가 되었고, 피고는 1983.10.14. 위 소외 1의 승낙 하에 소외 재단에게 이 사건 건물의 매매대금으로 금 200,000원을 지급하고 위 소외 1로부터 매수하였다는 것인바, 사실관계가 그와 같다면 피고는 이 사건 건물을 위하여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을 취득하지 못한다고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다. 2. 토지와 그 지상의 건물이 동일한 소유자에게 속하였다가 토지 또는 건물이 매매나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양자의 소유자가 다르게 된 때에는 그 건물을 철거하기로 하는 합의가 있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건물소유자는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그 건물을 위한 관습상의 지상권을 취득하게 되는 것이고, 그 건물은 반드시 등기가 되어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무허가건물이라고 하여도 상관이 없다고 할 것이고(당원 1988.4.12. 선고 87다카2404 판결 참조), 원심이 확정한 위의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토지와 건물이 동일인(소외 재단)의 소유에 속하였다가 매매로 인하여 그 소유자를 달리하게 된 것임은 소론과 같다고 하겠으나, 피고는 이 사건 건물에 대한 등기를 취득한 바 없으므로 그 소유권을 취득하였다고 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위 소외 1은 원고에게 이 사건 건물을 철거하기로 약정한 바 있었다는 것이므로 피고나 위 소외 1은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을 취득할 여지가 없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이재성 배만운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내 건물 괜찮을까요? (관습상 법정지상권)

땅과 건물 주인이 원래 같았다가 달라진 경우, 별도의 철거 약정이 없다면 관습상 법정지상권으로 건물 소유주는 건물을 유지할 수 있지만,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계약서 확인이 필요하다.

#관습상 법정지상권#건물#토지#소유권 분리

민사판례

건물과 땅 주인이 달라졌을 때, 건물을 철거해야 할까요? -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건물 주인이 같았다가 매매로 주인이 달라지는 경우, 보통은 건물 주인이 땅을 계속 쓸 수 있도록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을 인정하지만, 매매 당시 땅 사용에 관한 다른 약속(특약)이 있었다면 법정지상권은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법정지상권#특약#매매#토지

민사판례

건물 명도 약정이 있는 경우, 관습상 법정지상권은 인정될까?

건물 소유자가 토지 소유권을 넘기기로 약속한 후, 토지만 다른 사람에게 넘어간 경우, 건물 소유자는 새로운 토지 소유자에게 관습상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없다.

#관습상 법정지상권#토지 소유권#건물 소유권#소유권 이전 약속

민사판례

땅과 함께 산 미등기 건물, 철거해야 할까요?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그 위에 있는 등기되지 않은 건물을 함께 샀지만 땅에 대해서만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친 경우, 건물 소유자는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없다.

#미등기 건물#법정지상권 불인정#토지 경매#건물 철거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면 건물도 뺏길 수 있다?! 등기의 중요성!

대지와 함께 미등기 건물을 산 사람이 대지만 등기하고 건물은 등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지가 경매로 넘어가면, 건물 주인에게 법정지상권은 생기지 않는다.

#미등기 건물#대지 경매#법정지상권#소유권

민사판례

등기 없는 건물과 토지, 법정지상권은 언제 생길까?

등기되지 않은 건물을 땅과 함께 샀지만 건물 등기는 못 받고 땅만 등기한 경우, 땅 주인이 바뀌어도 건물 주인은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없다. 또한 땅과 건물을 함께 샀지만 땅만 등기하고 건물은 등기하지 않은 경우에도, 원래 주인과 새 주인 사이에 법정지상권은 성립하지 않는다.

#미등기 건물#법정지상권 불인정#건물 소유권#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