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뇌물

사건번호:

91도1190

선고일자:

199107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알선수뢰죄에 있어서 공무원이 그 지위를 이용한다 함의 의미 나. 시청 도시계장이 토지구획정리사업시행 여부의 결정을 위하여 현지에 답사 온 건설부 소속 공무원들에게 청탁하여 사업시행인가가 날 수 있도록 하여 달라는 명목으로 지급하는 금원을 교부 받은 경우 알선수뢰죄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가. 알선수뢰죄에 있어서 공무원이 그 지위를 이용한다 함은 다른 공무원이 취급하는 사무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계에 있으면 족하고 반드시 상하관계, 협동관계, 감독권한 등의 특수한 지위에 있음을 요하지 아니한다. 나. 토지구획정리사업 등의 업무를 담당하던 시청 도시계장이 토지구획정리사업시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지에 답사차 내려 온 건설부 소속 공무원들에게 청탁하여 사업시행인가가 날 수 있도록 하여 달라는 명목으로 지급하는 금원을 교부 받았다면 알선수뢰죄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132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1.3.31. 선고 70도2743 판결(집19①형140), 1988.1.19. 선고 86도1138 판결(공1988,465), 1989.12.26. 선고 89도2018 판결(공1990,429)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조수봉 외 1인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1.4.18. 선고 90노57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김해시 도시계장으로서 토지구획정리사업 등의 업무를 담당하던 피고인이 원심 공동피고인 이종필로부터(공소외 신장수를 통하여) 토지구획정리사업시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지에 답사차 내려온 건설부 소속 공무원들에게 청탁하여 사업시행인가가 날수 있도록 하여 달라는 명목으로 지급하는 판시 금원을 교부 받았다 는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고 있는바, 기록에 비추어 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사실인정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증거 없이 사실을 인정하거나 기타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알선수뢰죄에 있어서 공무원이 그 지위를 이용한다 함은 다른 공무원이 취급하는 사무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계에 있으면 족하고 반드시 상하관계, 협동관계, 감독권한 등의 특수한 지위에 있음을 요하지 아니하는 것이라 할 것이어서, 원심이 피고인의 소위를 알선수뢰죄로 의율한 것에 동 죄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또 피고인이 접대비조로 판시 금원을 교부받았다 하더라도 이 사건에서 이를 알선의 대가로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옛 직장 동료 찬스? 그건 뇌물입니다!

구청 직원이 과거 함께 근무했던 동료에게 부탁해 민원인의 토지 거래 허가를 받아주고 돈을 받은 행위는 알선수뢰죄에 해당한다.

#공무원#알선수뢰#토지거래허가#뇌물

형사판례

공무원의 지위 이용, 어디까지일까? - 알선수뢰죄 이야기

공무원이 알선수뢰죄로 처벌받으려면 단순히 돈을 받고 알선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자신의 **공적 지위를 이용**해야 합니다. 친구나 친족 등 사적 관계를 이용한 알선은 알선수뢰죄가 아닙니다. 하지만 다른 공무원의 업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위를 이용했다면, 상하관계나 특별한 관계가 없더라도 알선수뢰죄가 성립합니다.

#공무원#알선수뢰죄#지위 이용#영향력 행사

형사판례

공무원의 지위 이용과 직무 관련 알선, 어디까지 처벌될까?

공무원이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다른 공무원의 직무에 속한 사항에 대해 알선하고 뇌물을 받으면 알선수뢰죄가 성립한다. 이때 '지위 이용'과 '직무 관련 알선'의 범위는 생각보다 넓다.

#알선수뢰죄#공무원#지위 이용#직무 관련 알선

형사판례

공무원 뇌물죄, 알선수뢰죄 성립 요건과 증명 책임에 대하여

이 판례는 공무원의 알선수뢰죄 성립 요건, 특히 '지위 이용'과 '직무 관련성'의 의미, 그리고 자동차와 같은 재산을 뇌물로 수수한 것으로 인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또한, 형사재판에서 증거의 증명력과 검사의 입증책임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공무원#알선수뢰죄#지위 이용#직무 관련성

형사판례

공무원의 지위 이용과 알선수뢰죄

공무원이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다른 공무원의 업무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그 대가로 돈이나 이익을 받으면 알선수뢰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공무원 신분이라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며, 실제로 업무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위를 이용해야 합니다.

#공무원#지위 이용#알선수뢰죄#영향력 행사

형사판례

군무원, 장군 진급 청탁 대가로 돈 받았지만 무죄? 알선수뢰죄 성립요건 살펴보기

육군본부에서 근무하는 군무원이 장군 진급을 앞둔 사람으로부터 돈을 받고 진급을 도와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 진급 업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알선수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군무원#장군 진급 알선#수뢰#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