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2다11459

선고일자:

199207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일반농지의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의하여 할 수 있는 소유권이전등기나. 갑이 주장하는 권리변동의 원인일자와 매도인이 갑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원인증서인 보증서나 확인서의 기재와 다를 뿐만 아니라, 갑의 주장대로 매매가 1963.10.에 이루어졌다면 위 특별조치법에 의하여 등기할 수 있는 경우에도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갑 명의의 위 등기는 그 추정력이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일반농지의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1657호, 실효)에 의하여 할 수 있는 소유권이전등기는 같은 법 제1조, 민법 부칙 제10조의 취지에 비추어 보면, 그 법률행위가 민법 시행일 전에 이루어진 것에 한한다고 해석된다. 나. 위 특별조치법에 의한 갑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원인증서인 보증서나 확인서의 내용은 갑이 1955.10.7. 이를 매수하였다는 것인 반면, 소송에서의 갑의 주장내용은, 계쟁부동산의 소유자가 1951년경에 사망하고 을이 단독상속인이 되어 위 부동산을 상속받았는데, 그 후 상속등기를 마치기 전인 1963.10.경에 갑이 을로부터 이를 매수하였다는 것이어서 권리변동의 원인일자와 매도인이 위 보증서나 확인서의 기재와 부합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갑의 주장대로 매매가 1963.10.에 이루어졌다면 이는 위 특별조치법에 의하여 등기할 수 있는 경우에도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갑 명의의 위 등기는 그 추정력이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가. 일반농지의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1657호, 실효) 제1조, 제3조 / 나. 같은 법 제5조, 민법 제186조

참조판례

나. 대법원 1992.4.28. 선고 91다46779 판결(공1992,1711)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1.28. 선고 91나1777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부동산 중 별지목록 제1기재 부동산은 원래 원고의 조부인 망 소외 1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가, 별지목록 제2기재 부동산은 원고의 부(父)인 망 소외 2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각 경료되어 있던 동인들의 소유로써, 위 망인들이 1951.경 비행기 폭격으로 모두 사망하여 원고가 이를 상속하였는데, 피고 3이 1965.6.21. 및 1965.3.18. 일반농지의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1657호, 이하 농지특조법이라고만 한다)에 의하여 1955.10.7.자 매매를 원인으로 하여 자신의 명의로 각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사실을 인정한 후, 위 각 등기가 위조되거나 허위의 보증서와 확인서에 기하여 이루어진 원인무효의 등기라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위 등기의 등기원인인 매매일자가 위 망 소외 1, 소외 2의 사망일자보다 뒤로 되어 있다는 사유만으로 위 등기의 추정력이 깨어지는 것은 아니고, 그 밖에 달리 위 각 등기가 위조 또는 허위의 보증서와 확인서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인정할 아무런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이를 배척하였다. 2. 그러나 농지특조법에 의하여 할 수 있는 소유권이전등기는 같은 법 제1조, 민법 부칙 제10조의 취지에 비추어 보면, 그 법률행위가 민법 시행일 전에 이루어진 것에 한한다고 해석되는바, 원심에 이르기까지의 피고 3의 일관된 주장은 이 사건 부동산의 소유자이던 권수원 및 권태상가 1951.경에 사망하고 원고가 단독상속인이 되어 위 부동산을 상속받았는데, 그 후 상속등기를 마치기 전인 1963.10.경에 피고 권정상이 원고로부터 이를 매수하였다는 것이어서 권리변동의 원인일자와 매도인이 이 사건 소유권이전등기의 원인증서인 보증서나 확인서의 기재와 부합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매매가 1963.10.에 이루어졌다면 이는 농지특조법에 의하여 등기할 수 있는 경우에도 해당하지 아니하므로피고 3 명의의 위 등기는 그 추정력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결국 원심판결에는 농지특조법의 적용대상 및 그 등기의 추정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3. 이에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는 판단을 생략하고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옛날 법으로 등기한 땅, 쉽게 무효 안 된다?!

과거 토지 소유권 정리 목적으로 시행되었던 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가 된 경우, 그 등기는 실제 소유권과 일치한다고 추정됩니다. 이 추정을 뒤집으려면 단순히 등기 과정에서의 절차상 오류나 보증서 내용과 실제 취득 경위가 다르다는 주장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등기가 **명백히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심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필요합니다.

#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번복 요건#충분한 증거

민사판례

옛날 방식으로 등기했는데, 그게 진짜 내 땅이라는 증거가 될까요? (특조법 등기의 함정)

옛날 부동산 특별법(부동산소유권 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이용해서 등기하려면 1974년 12월 31일 이전에 땅을 사고팔았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그 이후 거래는 이 법으로 등기할 수 없고, 등기가 되어 있어도 효력이 없습니다.

#옛날 부동산 특별법#등기#1974년 12월 31일#대법원

민사판례

옛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 누구에게서 땅을 샀는지가 중요할까?

옛날 부동산 등기 정리가 제대로 안 됐을 때 간편하게 등기할 수 있도록 만든 '부동산 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를 했다면, 진짜 소유자로부터 직접 사지 않고 다른 사람을 통해서 샀더라도 그 등기는 유효하다.

#부동산 특별조치법#등기 유효#제3자 양수#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옛날 땅 문서 정리, 함부로 했다간 큰일나요!

과거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특별조치법)을 통해 토지 소유권 등기를 마친 사람이, 등기 당시 주장했던 취득 원인과 다른 시점의 증여를 주장했으나, 법원은 해당 법률의 적용 시점과 맞지 않아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특별조치법#토지 소유권#증여#시점 불일치

민사판례

옛날 농지 소유권 등기에 관한 법률과 등기의 효력

옛날 농지 관련 특별법에 따라 만들어진 소유권 등기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효하며, 단순히 다른 사람이 그 땅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그 등기를 무효화할 수 없다.

#농지#특별조치법#소유권보존등기#효력

민사판례

옛날 방식으로 땅 등기했는데, 나중에 취득 원인 다르게 말해도 등기 유효할까?

과거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이하 특별조치법)에 따라 토지 등기를 마친 사람이 등기할 때 제출한 서류(보증서, 확인서)에 적힌 취득 원인과 실제 취득 원인이 다르다고 주장하더라도, 그 주장만으로는 등기의 효력이 부정되지 않는다.

#특별조치법#등기 효력#취득원인 불일치#등기 추정력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