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2다29689

선고일자:

19921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갑이 여동생인 을에게 부동산에 관한 등기명의를 신탁하였으나 을이 남편 병과 합의하여 병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경우 갑과 병의 신분관계와 등기경위 등에 비추어 갑이 이를 묵시적으로 추인함으로써 병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명의수탁자로서의 등기로서 유효하게 되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갑이 여동생인 을에게 부동산에 관한 등기명의를 신탁하였으나 을이 남편 병과 합의하여 병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경우 갑과 병의 신분관계와 등기경위 등에 비추어 갑이 이를 묵시적으로 추인함으로써 병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명의수탁자로서의 등기로서 유효하게 되었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186조[명의신탁], 제13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제주지방법원 1992.6.18. 선고 91나34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원심은, 피고 1이 원고가 일본에 건너간 후인 1961년경 원고의 여동생인 소외 1과 결혼한 다음 장모(원고의 어머니)를 부양하고 원고 선대의 분묘를 수호·관리하면서 이 사건 부동산을 경작·관리하여 오던 중, 원고가 위 소외 1에게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등기명의를 신탁하자 위 명의신탁에 기하여 위 소외 1의 명의로 등기를 하려다가 그와 같이 등기를 경료할 경우에 부과될 세금문제 등을 고려하여 위 소외 1과의 합의하에 자신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사실, 그 후 위 피고는 원고의 초청으로 여러차례 일본을 왕래하면서 원고에게 이러한 등기경료사실을 알렸으나 원고는 이를 전해 듣고도 그로부터 3년이 지나도록 자신의 명의로 소유명의를 환원하지 않은 채 이를 묵인하여 온 사실, 원고는 1989년경 위 피고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일화 금 250만엔에 매수할 것을 제의하였으나 위 피고가 위 매매대금중 금 50만엔 밖에 준비하지 못함으로써 위 매매가 결렬되자, 1989.8.14. 소외 2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일화 금300만엔에 매도하기로 하여 그에 따른 매매계약서를 작성함에 있어 위 피고를 입회시켜 그로 하여금 매도인으로 서명·무인하게 하고 계약서에 소유명의자를 위 피고로, 실제소유자를 원고로 기재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위에서 인정되는 원고와 위 피고와의 신분관계, 등기경위 및 그 이후의 정황에 비추어 볼 때 원고는 무효인 위 피고의 위와같은 등기경료행위를 묵시적으로 추인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위 피고 명의의 위 소유권이전등기는 명의수탁자로서의 등기로서 유효하게 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관계증거를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그 과정에 소론과 같이 심리를 제대로 하지 아니한 채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나 묵시적 추인에 관한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동산 등기, 그 숨겨진 이야기: 등기의 추정력과 진실

부동산 등기부에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어 있으면, 등기된 사람은 이전 소유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적법하게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등기 원인에 대한 주장이 등기부와 다르더라도 그 추정력은 쉽게 깨지지 않으며, 등기의 무효를 주장하는 쪽에서 그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등기#추정력#소유권#무효

민사판례

땅 주인이 동생 몰래 땅을 팔았는데, 동생들이 가만히 있었다면?

형이 동생들 몰래 땅을 팔았는데, 동생들이 이 사실을 알고도 오랫동안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심지어 땅에 있던 조상의 묘까지 이장한 경우, 동생들이 형의 행위를 암묵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암묵적 동의#토지 매매#이장#추인

민사판례

땅 주인이 진짜 누구야? 동생 명의로 땅 등기했는데… 명의신탁 분쟁!

형이 동생 이름으로 땅 등기를 해놓고 나중에 돌려달라고 소송을 냈는데, 1심과 2심 법원은 형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관련 증거들을 다시 살펴보고, 동생 명의의 등기는 사실 형의 땅을 동생 이름으로 맡겨둔 '명의신탁'이라고 판단하여 2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명의신탁#토지#등기#대법원

민사판례

몰래 땅 판 사람 대신 내가 책임져야 하나요? - 묵시적 추인이란 무엇일까요?

대리권 없이 타인의 이름으로 계약한 경우라도, 진짜 주인(본인)이 나중에 그 계약을 인정하는 행동을 하면(묵시적 추인), 그 계약은 유효하게 됩니다.

#무권대리#묵시적 추인#계약 효력#민법 제130조

상담사례

내 땅인데 남의 이름으로? 등기 때문에 골치 아프시죠? 대리권 없는 제3자가 내 땅을 팔았다면?

타인 명의로 잘못된 부동산 등기가 발생했을 경우, 등기의 추정력 때문에 원래 소유자가 대리권 부존재 등 잘못된 등기를 입증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등기부등본을 꼼꼼히 확인하고 대리권 설정 시 신중해야 한다.

#등기#추정력#소유권#대리권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네 이름으로 되어 있지? - 공동명의 부동산의 명의신탁과 점유

할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땅을 공동으로 소유하던 손자들 중 한 명이 다른 손자들의 지분까지 자신의 명의로 등기했을 경우, 그 지분에 대해서는 명의신탁으로 인정되며, 명의수탁자의 땅 점유는 자주점유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공동상속#명의신탁#점유#자주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