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2다3342
선고일자:
199212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교도소 내에서 수감자 상호간의 폭행치사사고에 대하여 교도관의 감독소홀로 인한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교도소 내에서 수감자 상호간의 폭행치사사고에 대하여 교도관의 감독소홀로 인한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국가배상법 제2조
대법원 1979.7.10. 선고 79다521 판결(공1979,12097), 1986.9.9. 선고 85다카2658 판결(공1986,1382)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12.17. 선고 91나3766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 판결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 산하의 ○○○○교도소 1사 하층 16호실에 수감되어 있던 소외 1이 1990.1.28. 05:00경 같은 호실에 수감되어 있던 망 소외 2가 잠을 자지 않고 중얼거린다는 이유로 위 소외 2의 목과 가슴 등 전신을 주먹으로 30여 회, 발로 허벅지 부분을 10여 회 때리고 이를 피하여 창문쪽으로 달아나는 위 소외 2의 멱살을 잡아 꿇어앉힌 후 주먹으로 머리, 목 등 상체를 7, 8회 때리고 잠시 후 다시 위 소외 2가 방실내 변기통에 가래침을 뱉는다는 이유로 그의 목, 가슴 등 상체를 주먹으로 10회 때려 그에게 좌우늑골골절 및 전신피하출혈상 등을 입히고, 그로 하여금 같은 날 12:15경 △△△△△병원으로 후송중 이로 인한 외상성 쇼크로 사망에 이르게 한 사실, 위 사고당시 위 망 소외 2는 위 소외 1로부터 구타를 당하면서 신음소리를 내고 당직교도관이던 소외 3이 2회에 걸쳐 그 방실 앞을 지날 때 “사람 살려 주세요,” “딴 방으로 보내 주세요”라고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위 소외 3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위 소외 1의 구타행위를 적극적으로 제지하거나 위 소외 2를 다른 방실로 옮기는 등의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사실을 각 인정한 다음, 위 사고는 피고 소속 공무원인 소외 3이 교도관으로서 교도소 내의 수감자 상호간의 폭력사고 방지에 필요한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은 직무집행상의 과실로 일어난 것이라고 판단하여 국가배상법 제2조에 따른 피고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는 한편, 위 망 소외 2로서도 1990.1.22. 위 16호실에 들어온 이후 위 소외 1로부터 계속 구타를 당해 왔으면서도 이를 교도관에게 신고하지 않았고 사고당일도 잠을 자지 않고 중얼거리다가 구타를 당하게 된 사실을 인정하고, 피고의 손해배상책임의 범위를 정함에 있어 망인의 위와 같은 과실을 20%로 참작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검토하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주장과 같은 사실오인이나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으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민사판례
죄질이 다른 미결수들을 같은 방에 수용하고 감시를 소홀히 하여 폭행치사 사건이 발생한 경우,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민사판례
경찰관은 유치장 내 폭력을 예방하고 제지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소홀히 하여 폭행 사건이 발생하면 국가가 배상 책임을 진다.
민사판례
정신질환을 앓던 수용자가 교도소에서 자살한 사건에서 교도관의 주의 의무 위반을 인정하여 국가의 배상 책임을 물은 판례입니다. 교도소는 수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의무가 있으며, 특히 자살 위험이 있는 수용자에 대해서는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상담사례
교도소 내 폭행 피해자가 가해자의 징벌 처분에 불만족해 국가배상을 청구했으나, 담당 공무원의 고의나 중과실이 인정되기 어려워 배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민사판례
허리와 머리 통증을 호소하던 구금자가 경찰서와 교도소에서 제대로 된 의료 조치를 받지 못하고 사망한 사건에서, 국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구치소 당직 교도관은 수용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의무가 있으며, 이를 소홀히 하여 수용자가 사망한 경우 업무상과실치사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