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2다8521

선고일자:

19921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제소전화해조서에 의하여 이루어진 소유권이전등기의 효력을 다투는 방법(=준재심) 나. 합동수사단 수사관 등의 강박에 의하여 의사표시를 한 자에 대한 강박의 상태가 종료한 시점을 비상계엄해제시로 볼 것이지 그가 합동수사단에서 석방된 날로 볼 것이 아니라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소유권이전등기가 제소전화해조서에 의하여 이루어진 경우 제소전화해가 준재심에 의하여 취소되지 않는 한 그 기판력에 모순, 저촉되는 주장을 할 수 없다. 나. 합동수사단 수사관 등의 강박에 의하여 의사표시를 한 자에 대한 강박의 상태가 종료한 시점을 비상계엄해제시로 볼 것이지 그가 합동수사단에서 석방된 날로 볼 것이 아니라고 한 사례.

참조조문

가. 민사소송법 제202조, 제206조, 제431조 / 나. 민법 제110조, 제146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2.12.28. 선고 81다카1247 판결(공1983,352), 1990.12.11. 선고 90다카24953 판결(공1991,468), 1992.10.27. 선고 92다19033 판결(공1992,3271) / 나. 대법원 1991.9.10. 선고 91다18989 판결(공1991,2518), 1992.8.14. 선고 91다29811 판결(공1992,2651)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대한민국 외 3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준열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1.21. 선고 91나24757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고 1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 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원고 1로부터 피고 대한민국 앞으로 경료된 소유권이전등기는 그 판시와 같은 제소전화해조서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적법히 인정한 후 그 제소전화해가 준재심에 의하여 취소된 바 없는 이 사건에 있어 그 기판력에 모순, 저촉되는 주장을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 1의 피고들에 대한이 사건 주위적 및 예비적 청구를 배척하였는 바, 이는 옳고 반대의 견해에선 논지는 이유가 없다. 2. 원고 2, 원고 3 소송대리인들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원심이, 원고 2, 원고 3의 피고 대한민국에 대한 원심판시 별지 제4,5목록 기재 주식의 증여가 무효라는 원고들의 주장에 대하여 그 증여 당시 원고들의 의사결정의 자유가 완전히 박탈되어 있었다고 볼만한 증거가 없고 이 사건과 같이 법률행위인 증여행위의 성립과정에 불법이 개재된 경우에는 의사의 흠결 내지 의사표시의 하자문제는 별론으로 하고 그 자체를 민법 제103조 소정의 무효로 되는 반사회질서행위라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배척하고, 나아가 강박을 이유로 위 주식의 증여의 의사표시를 취소한다는 원고들의 주장에 대하여 원고 정해영가 합동수사단 제3국 사무실에서 석방되었다는 1980.8.23. 이후에도 원고들이 어떤 강박의 상태에 있었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는 이 사건에 있어 그로부터 3년의 제척기간이 경과하여 취소권이 소멸하였다는 이유로 이를 배척하였음은 옳고,(다만 강박의 상태가 비상계엄해제시에 종료하였다고 할 것을 합동수사단에서 석방된 날로부터 강박의 상태가 종료하였다고 한 것은 잘못이지만 어떻게 보든 강박으로 인한 의사표시의 취소권이 소멸한 후에 취소의 의사표시를 한 것은 기록상 분명하므로 그와 같은 잘못은 판결결과에 영향이 없다)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자의적으로 취사선택한 위법이 있거나 의사결정의 자유가 완전히 박탈된 상태에 관한 법리오해, 민법 제103조 및 제110조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이에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원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제소전화해 취소와 소유권이전등기의 효력

법원의 조정으로 미리 소송을 방지하는 제소전화해가 나중에 잘못된 것으로 밝혀져 취소되더라도, 그 화해에 따라 이루어진 소유권이전등기 자체가 무조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소유권 관계에 맞는 등기라면 유효할 수 있습니다.

#제소전화해#준재심#소유권이전등기#기판력

상담사례

강압에 의한 증여,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 제소전화해까지 했다면?

강압에 의한 증여 후 제소전화해를 했다면, 제소전화해조서를 취소하는 판결을 받은 후 3년 이내에 증여 취소를 해야 소유권을 되찾을 수 있다.

#강압 증여#취소권#제척기간#제소전화해

민사판례

강압에 의한 재산 증여, 돌려받을 수 있을까?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이루어진 증여라도, 증여 의사를 표현했다면 그 자체는 유효하며, 불공정한 법률행위나 비진의 의사표시로 보기 어렵다는 판결.

#강박#증여#효력#의사표시

민사판례

제소전화해와 채권자대위권 행사의 충돌

소유권 분쟁 중인 부동산에 대해, 소유자가 제3자와 제소전화해를 통해 소유권을 이전한 후, 원래 소유권을 주장하던 사람이 소유자를 대위하여 제3자 명의의 등기 말소를 청구할 수 없다는 판결. 제소전화해의 효력을 인정한 판례입니다.

#제소전화해#소유권말소#채권자대위권#기각

생활법률

돈 갚았는데 집을 못 돌려받는다고요? 제소전화해,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돈을 다 갚았다면 제소전화해로 집을 넘겨줬더라도 돌려받을 수 있지만, 제소전화해는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

#제소전화해#가등기#담보#채무 변제

민사판례

빌려준 돈, 돌려받으려면 '조건'까지 꼼꼼히 따져야 할까? 제소전화해와 기판력 이야기

돈을 빌려주고 돈을 갚지 않으면 담보로 잡은 부동산의 소유권을 넘겨받기로 하는 제소전화해를 했더라도, 나중에 돈을 빌려준 사람이 돈을 갚으라고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소전화해는 단지 돈을 갚으면 소유권을 넘겨받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는 내용일 뿐, 돈을 갚아야 할 채무 자체를 확정하는 효력은 없기 때문이다.

#제소전화해#기판력#채무#소유권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