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허가결정

사건번호:

93마549

선고일자:

19930706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민사소송법 제617조 제3항의 "집행기록에 표시된 이해관계인의 주소"의 의미

판결요지

민사소송법 제728조, 제617조 제3항에 의하면 부동산임의경매에 있어 이해관계인에 대한 경매기일의 통지를 집행기록에 표시된 이해관계인의 주소에 등기우편으로 발송하여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위에서 말하는 이해관계인의 주소는 집행기록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주소 중 최근의 주소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728조, 제617조 제3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재항고인】 태평양생명보험 주식회사 【원심결정】 수원지방법원 1993.3.11 자 93라47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수원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재항고 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면 재항고인은 이 사건 경매 부동산 중 건물에 관하여 1991.10.31. 주소지를 서울 강남구 (주소 1 생략)로 하여 전세금 598,059,000원의 전세권설정등기를 경료한 후 다시 1992.3.2. 주소지를 서울 강남구 (주소 2 생략)로 하여 전세금 398,706,000원의 전세권설정등기를 경료한 사실(부동산임의경매신청서에 첨부된 등기부등본, 기록 27,30장) 및 경매법원은 1992.8.25.의 경매기일에서 부터 1993.2.3.의 경매기일에 이르기까지 각 재항고인에 대한 경매기일통지서를 위 (주소 1 생략)를 주소지로 하여 송달한 채(1992.12.24.의 경매기일에 있어서는 위 주소지에 보낸 경매기일통지서의 송달불능보고서에 재항고인이 이사간 곳이 위 (주소 2 생략)로 표시되어 있었는데도 같은 기일의 경매기일통지서를 위 (주소 1 생략)로 다시 등기우편에 의한 발송송달을 한 다음 위 1993.2.3.의 경매기일 통지서 역시 위 (주소 1 생략)로 송달하여 송달불능 되자 같은 주소지로 등기우편에 의한 발송송달을 하였다)경매절차를 진행시킨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민사소송법 제728조, 제612조 제3항에 의하면 부동산임의경매에 있어 이해관계인에 대한 경매기일의 통지를 집행기록에 표시된 이해관계인의 주소에 등기우편으로 발송하여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위에서 말하는 이해관계인의 주소는 집행기록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주소 중 최근의 주소여야 할 것이므로 경매법원이 경매기일통지서들을 위와 같이 재항고인이 이사하기 전의 종전 주소지로 송달한 것은 잘못이라 할 것이고, 한편 기록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이 사건 건물 및 공동담보가 된 토지의 각 최저경매가격이 저감된 내용과 각 경매가격이 저감된 내용과 각 경매가격 그리고 이 사건 전세권보다 선순위 근저당권들의 채권최고액 등에 비추어 이 사건 전세권 중 적어도 뒤에 설정된 전세권에 관하여는 위와 같은 최저경매가격의 저감으로 인하여 전세금액 전액에 대한 만족을 얻는 데 영향이 없었다고 단정할 수가 없다. 결국 재항고인에 대한 위 각 송달은 적법한 송달이라고 할 수 없고 최저경매가격을 순차 저감한 것 또한 적법한 것이 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이를 간과하여 이루어진 위 1993.2.3.의 경매기일에 이루어진 경락은 적법하다고 할 수 없는데도 경락을 허가한 경매법원의 경락허가결정은 위법한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 등기우편에 의한 발송송달을 적법하다고 하여 이 사건 경락허가결정에 아무런 위법사유가 없다고 한 원심결정에는 심리를 다하지 않았거나 집행기록에 표시된 이해관계인의 주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어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원 천경송(재판장) 윤 관 김주한(주심) 김용준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윤관 김주한(주심)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동산 경매, 등기우편으로 통지하면 송달된 것으로 봐요!

부동산 경매에서 법원이 이해관계인에게 경매 기일을 등기우편으로 통지하면, 실제로 받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법적으로는 통지가 도달된 것으로 본다.

#경매#기일통지#등기우편#송달간주

민사판례

전세권자에게 경매기일 통지, 회사에 보내면 안돼요!

경매 대상 부동산에 전세권을 설정한 사람(이해관계인)에게 경매기일을 통지할 때, 그 사람이 대표이사로 있는 회사에 회사 이름으로만 보낸 것은 효력이 없다.

#경매기일 통지#전세권자#회사#대표이사

민사판례

부동산 경매, 주소 변경 안 하면 큰일나요!

부동산 경매 시, 법원은 등기부에 적힌 주소로 경매기일을 통지합니다. 만약 권리자가 주소 변경이나 상속 등기를 하지 않아 통지를 받지 못하더라도, 법원이 등기부상 주소로 통지한 순간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권리자는 자신의 손해를 감수해야 합니다.

#경매기일 통지#등기부상 주소#효력 발생#권리자 책임

민사판례

경매기일 통지와 절차상 하자, 알고보면 간단한 이야기

경매기일 통지서가 이사 등의 사유로 송달되지 못했더라도, 법원이 다른 주소로 다시 보내 우편송달을 했다면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경매 진행 과정에서의 일부 절차상 미흡함(경락가격 3회 호창, 경락인 주소 호창 누락 등)은 경매의 효력을 무효로 할 만큼 중대한 하자가 아니라는 판결입니다.

#경매기일 통지#송달#절차 하자#재항고 기각

민사판례

경매 절차에서의 통지 의무, 어디까지일까요?

경매 절차에서 이해관계인(예: 저당권자, 다른 채권자 등)이 외국에 있거나 주소가 불분명하더라도, 법원은 매각기일과 매각결정기일을 반드시 통지해야 합니다.

#경매#이해관계인#통지의무#매각기일

민사판례

경매절차, 늦게 참여한 사람에게도 모든 기일을 통지해야 할까요?

경매 시작 전에 이미 모든 이해관계인에게 경매기일을 통지한 후, 새롭게 권리신고를 한 사람에게는 다시 통지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경매#통지#권리신고#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