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4다22569

선고일자:

1994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교도소 내에서 수감자 상호간의 폭행치사사고에 대하여 교도관의 감시 소홀로 인한 국가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국가 소속 공무원으로서 행형업무를 담당하는 교도관으로서는 미결수들을 수용함에 있어서는 그 죄질을 감안하여 구별 수용하여야 하고, 수용시설의 사정에 의하여 부득이 죄질의 구분 없이 혼거수용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미결수들 사이의 폭력에 의한 사적 제재 등 제반 사고를 예상하여 감시와 시찰을 더욱 철저히 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년 미결수들을 수용함에 있어 그 죄질이 현저히 다른 강도상해범과 과실범을 같은 방에 수용하고도 철저한 감시의무를 다하지 못함으로써 수감자 상호간의 폭행치사사고가 일어나도록 한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여 국가에게 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참조조문

국가배상법 제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9.9. 선고 85다카2658 판결(공1986,1382), 1992.12.22. 선고 92다3342 판결(공1993상,553), 1993.9.28. 선고 93다17546 판결(공1993하,2959)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4.3.30. 선고 94나35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제1심판결을 인용하여, 피고 소속 공무원으로서 행형 업무를 담당하는 교도관으로서는 미결수들을 수용함에 있어서는 그 죄질을 감안하여 구별 수용하여야 하고, 수용시설의 사정에 의하여 부득이 죄질의 구분없이 혼거수용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미결수들 사이의 폭력에 의한 사적 제재 등 제반사고를 예상하여 감시와 시찰을 더욱 철저히 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에 있어서는 소년 미결수들을 수용함에 있어 그 죄질이 현저히 다른 강도상해범과 과실범을 같은 방에 수용하고도 위와 같은 철저한 감시의무를 다하지 못함으로써 이 사건 사고가 일어나도록 한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여 피고에게 배상책임을 인정하였는바,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 판단은 정당하다고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김석수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교도소 내 폭행 사망, 국가 책임 인정!

교도소 안에서 수감자 간 폭행으로 한 명이 사망했는데, 교도관이 제대로 감독하지 않아 사고를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교도관#감독 소홀#수감자 폭행 사망#국가 배상 책임

민사판례

교도소 내 수용자 자살, 국가의 책임은?

정신질환을 앓던 수용자가 교도소에서 자살한 사건에서 교도관의 주의 의무 위반을 인정하여 국가의 배상 책임을 물은 판례입니다. 교도소는 수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의무가 있으며, 특히 자살 위험이 있는 수용자에 대해서는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교도소#수용자#자살#교도관

민사판례

경찰서 유치장 폭행, 국가의 책임은 어디까지?

경찰관은 유치장 내 폭력을 예방하고 제지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소홀히 하여 폭행 사건이 발생하면 국가가 배상 책임을 진다.

#경찰서#유치장#폭행#국가배상

민사판례

경찰서와 교도소의 책임, 구금자 사망 사건

허리와 머리 통증을 호소하던 구금자가 경찰서와 교도소에서 제대로 된 의료 조치를 받지 못하고 사망한 사건에서, 국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판례입니다.

#구금자 사망#국가배상#주의의무 위반#의료 조치 미흡

상담사례

교도소 내 폭행, 징벌만 받으면 끝? 국가배상은 받을 수 있을까?

교도소 내 폭행 피해자가 가해자의 징벌 처분에 불만족해 국가배상을 청구했으나, 담당 공무원의 고의나 중과실이 인정되기 어려워 배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교도소 폭행#국가배상#형사처벌#징벌

형사판례

교도관의 주의의무 위반과 업무상과실치사상죄

구치소 당직 교도관은 수용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의무가 있으며, 이를 소홀히 하여 수용자가 사망한 경우 업무상과실치사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구치소#당직 교도관#수용자 사망#업무상과실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