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임의경매절차취소

사건번호:

94마1205

선고일자:

19940905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민사소송법 제616조 제2항 소정의 매수신고가 있은 후에 경매신청 채권자에게 우선하는 주택임대보증금반환채권의 누락이 발견된 경우, 경매법원이 취해야 할 조치

판결요지

경매법원이 경매신청 채권자에게 민사소송법 제728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같은 법 제616조 소정의 통지를 함에 있어 경매신청 채권자에게 우선하는 주택임차인의 보증금반환채권이 있음을 간과하고 선순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만이 있음을 통지하여 경매신청 채권자가 위 선순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과 절차비용을 변제하고 잉여있을 가격을 정하여 매수신고를 한 때에도 경매법원이 그 후 위 보증금반환채권이 누락되었음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경매신청 채권자에게 새로이 위 통지를 하여야 하고, 경매신청 채권자가 위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위 보증금반환채권까지 변제하고 잉여 있을 가격을 정하여 매수신고를 하지 않으면 경매법원으로서는 경매절차를 취소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728조(제61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민사지방법원 1994.6.3. 자 94라160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부동산을 목적으로 하는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의 경매법원이 경매신청 채권자에게 민사소송법 제728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동법 제616조 소정의 통지를 함에 있어, 경매신청 채권자에게 우선하는 주택임차인의 보증금반환채권이 있음을 간과하고 선순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만이 있음을 통지하여 경매신청 채권자가 위 선순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과 절차비용을 변제하고 잉여있을 가격을 정하여 매수신고를 한 때에도 경매법원이 그 후 위 보증금반환채권이 누락되었음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경매신청 채권자에게 새로이위의 통지를 하여야 할 것이고, 경매신청 채권자가 위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위 보증금반환채권까지 변제하고 잉여있을 가격을 정하여 매수신고를 하지 않으면 경매법원으로서는 경매절차를 취소하는 결정을 하여야 할 것이다. 같은 취지로 판시한 원심결정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 할 수 없으므로, 재항고인이 이 사건 재항고 제기 이후인 1994.6.30. 위의 매수신고를 하였다는 사유는 재항고심에서 새로이 주장하는 사실로서 적법한 재항고이유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안용득 지창권(주심)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빚 때문에 내 집이 경매로 넘어간다?! 강제경매 완벽 정리!

빚을 갚지 못하면 채권자가 법원에 강제경매를 신청하여 채무자의 부동산을 경매로 팔아 빚을 회수하는 절차를 거치며, 신청, 개시결정, 배당요구, 매각준비, 매각실시, 매각결정, 대금납부, 배당, 소유권이전 등의 단계로 진행된다.

#강제경매#부동산#압류#채무자

상담사례

경매 배당, 깜빡하고 배당요구를 못 했어요! 😱 후순위채권자에게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경매에서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갖춘 임차인이라도 배당요구를 하지 않으면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 후순위채권자가 배당금을 수령하더라도 부당이득반환청구가 불가능하다.

#경매 배당#배당요구#우선변제권#확정일자

민사판례

경매 중 채무 변제와 경매 취소, 그리고 경매조서의 중요성

경매 진행 중 빚을 다 갚았더라도, 법원에 공식적으로 알리기 전에 누군가 낙찰 받으면 경매는 계속 진행됩니다. 법원 기록(경매조서)만 증거로 인정됩니다.

#경매#채무변제#낙찰#경매취소

민사판례

경매, 내 보증금은 안전할까? - 낙찰 후 권리신고는 늦어요!

경매로 집이 팔릴 때 세입자(임차인)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려면 경매가 확정되기 *전에* 미리 신고해야 합니다. 경매 확정 *후*에 신고하면 이를 근거로 항고할 수 없습니다. 집행관이 조사를 잘못했거나 법원의 통지를 못 받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경매#임차인#권리신고#확정 전

민사판례

경매 방해하면 손해 배상해야 할까?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잡은 부동산을 경매하려는 과정에서 채무자가 경매를 막기 위해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하고, 이로 인해 경매가 중단되었다가 나중에 채무자가 소송에서 지면 채무자는 채권자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채무자의 고의나 과실은 추정되며, 손해배상액은 경매 지연 기간 동안의 이자 상당액입니다.

#경매절차 정지 가처분#본안소송 패소#손해배상책임#채무자

민사판례

세입자가 집을 낙찰받으면 어떻게 될까? - 임대차와 배당에 관한 이야기

전세 계약이 되어있는 집이 경매에 넘어갔을 때, 세입자가 직접 그 집을 낙찰받으면 전세 계약은 종료되고, 세입자는 보증금을 바로 배당받을 수 있다.

#경매낙찰#세입자#전세계약종료#보증금배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