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5다56552

선고일자:

1996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한국도로공사가 고속도로에 대한 민법 제758조 제1항 소정의 점유자인지 여부(적극) [2] 고속도로의 추월선에 각목이 방치되어 사고의 원인이 된 경우, 한국도로공사의 공작물 보존 하자로 인한 책임을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1] 한국도로공사는 고속국도법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부장관을 대행하여 경부고속도로를 관리하여 오고 있으므로 민법 제758조 제1항이 정하는 공작물의 점유자에 해당한다. [2] 고속도로의 추월선에 각목이 방치되어 사고의 원인이 된 경우, 한국도로공사의 공작물 보존 하자로 인한 책임을 인정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758조 제1항, 고속국도법 제6조 제1항/ [2] 민법 제758조 제1항, 고속국도법 제6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8. 11. 8. 선고 86다카775 판결(공1988, 1520), 대법원 1992. 9. 14. 선고 92다3243 판결(공1992, 2864), 대법원 1992. 10. 27. 선고 92다27164 판결(공1992, 3284), 대법원 1995. 2. 14. 선고 94다28994 판결(공1995상, 1328)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한국도로공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형근) 【원심판결】 대구고법 1995. 11. 9. 선고 95나134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가.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피고는 고속국도법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부장관을 대행하여 이 사건 경부고속도로를 관리하여 왔음을 알 수 있는바,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피고는 민법 제758조 제1항이 정하는 공작물의 점유자에 해당하는 것 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소론이 들고 있는 대법원판결은 사안을 달리하는 이 사건에 적절한 것이 아니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나. 상고이유 제2점 및 제3점에 대하여 사실관계가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다면, 이 사건 고속도로의 추월선에 각목이 방치되어 있었던 것은 공작물 보존의 하자에 해당한다 할 것이고, 또한 피고가 손해의 방지에 필요한 주의를 해태하지 아니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할 것이다. 원심판결의 설시이유에 부적절한 점이 있으나, 원심의 결론은 정당하므로 논지도 이유가 없다. 2.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천경송 안용득(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고속도로 개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고속도로에 갑자기 나타난 개를 피하려다 사고가 났을 때, 도로공사의 관리 책임을 인정한 판례입니다. 또한, 피해자의 과실 비율을 정할 때는 그 이유를 명확히 밝혀야 하지만, 이 경우처럼 판결 결과에 영향이 없다면 문제 삼지 않는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고속도로#개 출현 사고#도로공사 책임#과실상계

민사판례

고속도로 화물차 덮개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고속도로에서 떨어진 화물차 덮개로 인한 사고에서 한국도로공사는 덮개 고정상태 점검 의무가 없으며, 예상치 못한 새로운 주장으로 판결이 내려진 경우에는 상대방에게 불공정하다.

#고속도로#화물차 덮개 사고#한국도로공사#점검 의무 없음

민사판례

고속도로에 떨어진 타이어, 도로공사의 책임은?

고속도로에 떨어진 타이어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을 때, 한국도로공사의 책임은 단순히 타이어가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로공사가 타이어 존재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을 경우에만 인정된다는 판례입니다.

#고속도로#낙하 타이어#사고#한국도로공사

민사판례

고속도로 드럼통 사고, 도로 관리 책임은 누구에게?

누군가 도로에 설치된 시설물을 훼손하여 사고가 발생했을 때, 도로 관리자가 그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음에도 방치했다면 책임을 져야 하지만, 관리자가 미처 알 수 없었던 짧은 시간 안에 발생한 사고라면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도로 관리자#제3자 행위#도로 위험#책임

민사판례

고속도로 방음벽 충돌사고, 도로 관리 하자는 없었다?

야간에 고속도로 곡선 구간에서 운전자가 차선을 이탈하여 갓길을 넘어 방음벽을 들이받아 사망한 사고에서, 도로 관리자인 한국도로공사에 도로 관리상의 하자가 있다고 볼 수 없다는 판결.

#고속도로#곡선구간#방음벽 충돌#도로 관리 하자

상담사례

야간 고속도로 주행 중 낙하물 사고, 누구 책임일까요? 😱

야간 고속도로 낙하물 회피 사고 발생 시, 도로 관리자(e.g., 한국도로공사)의 배상 책임은 낙하물의 종류, 방치 시간, 관리 현황, 사고 발생 시간/장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며, 관리자가 도로의 안전 유지 의무를 다했는지가 핵심 쟁점이다.

#낙하물#고속도로#사고#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