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96다36852

선고일자:

19961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원소유자에 의하여 도로부지로 무상제공된 토지를 경매에 의하여 취득한 자의 배타적 사용수익권의 행사 및 부당이득반환청구의 가부(소극)

판결요지

토지의 원소유자가 토지의 일부를 도로부지로 무상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포기하고 이에 따라 주민들이 그 토지를 무상으로 통행하게 된 이후에 그 토지의 소유권을 경매에 의해 특정승계한 자는, 그와 같은 사용수익의 제한이라는 부담이 있다는 사정을 용인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사정이 있음을 알고서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도로로 제공된 토지 부분에 대하여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고,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그 토지의 일부를 도로로서 점유·관리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자에게 어떠한 손해가 생긴다고 할 수 없으며 지방자치단체도 아무런 이익을 얻은 바가 없으므로 이를 전제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도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211조 , 제74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7. 24. 선고 92다15970 판결(공1992, 2535), 대법원 1994. 9. 30. 선고 94다20013 판결(공1994하, 2850)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이용덕 (소송대리인 변호사 장일환) 【피고,피상고인】 완주군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호남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김대현) 【원심판결】 전주지법 1996. 7. 11. 선고 95나6734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일반적으로 경매에 의하여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려는 자는 경매기일의 공고 내용이나 법원에 비치된 경매물건명세서 또는 집행기록의 열람 등의 방법에 의하여 당해 토지의 위치, 현황과 부근 토지의 상황 등을 미리 점검해 볼 것이라는 점은 경험칙상 당연히 예상되는 바이고, 따라서 토지의 원소유자가 그 토지를 인근 주민들의 통행로로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포기하고 이에 따라 주민들이 그 토지를 무상으로 통행하게 된 이후에 그 토지의 소유권을 특정승계한 자는 그 토지 상에 위와 같은 사용수익의 제한이라는 부담이 있다는 사정을 용인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사정이 있음을 알고서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다 할 것인데, 판시 증거에 의하면, 이 사건 토지 중 원심판시 (ㄱ), (ㄴ) 부분은 이 사건 토지의 원소유자인 소외 고병각이 1976년경 새마을사업 당시 도로부지로 무상제공하여 아스팔트 포장 및 보도블록이 설치된 다음 전북 완주군 고산면 소재지 중심도로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있었고, 그러던 중 1990. 3. 3. 이 사건 토지의 소재지에 거주하는 원고가 경매절차에서 이 사건 토지를 경락받았는데 위 경매절차에서 제출된 감정평가서에는 이 사건 토지 중 일부의 현황이 도로라는 점이 기재되어 있는 사실이 인정되므로 그렇다면, 이 사건 토지의 원소유자가 토지의 일부를 도로부지로 무상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포기하고 이에 따라 주민들이 그 토지를 무상으로 통행하게 된 이후에 이 사건 토지의 소유권을 특정승계한 원고는 위와 같은 사용수익의 제한이라는 부담이 있다는 사정을 용인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사정이 있음을 알고서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원고는 도로로 제공된 토지 부분에 대하여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고, 따라서 피고가 이를 도로로서 점유·관리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원고에게 어떠한 손해가 생긴다고 할 수 없으며, 피고도 아무런 이익을 얻은 바가 없다 할 것이므로 이를 전제로 한 원고의 부당이득반환청구는 이유 없다고 판시하였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간다. 또한 사실관계가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다면, 원고도 이 사건 토지 중 도로 부분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한 원심의 판단은 같은 취지의 당원의 판례( 1994. 9. 30. 선고 94다20013 판결, 1992. 7. 24. 선고 92다15970 판결 등 참조)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리고 논지가 지적하는 당원 1990. 12. 21. 선고 90다5528 판결, 1992. 2. 14. 선고 91다22032 판결 등은 이 사건과 사실관계를 달리하는 것들로서 적절한 선례가 되지 못한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안용득 지창권(주심)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 내 땅이 도로로 쓰이고 있다면? 부당이득 반환 받을 수 있을까?

경매로 산 땅이 도로로 사용되더라도, 전 소유주가 자발적으로 통행로 제공을 위해 땅을 남겨둔 경우, 구매자는 사용·수익권을 주장하기 어려워 지자체에 부당이득반환청구가 어렵다.

#토지#도로#부당이득반환청구#사용수익권포기

민사판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도로로 쓰던 땅값 달라고 할 수 있을까?

원래 땅 주인이 땅 일부를 도로로 무상 제공한 후, 그 땅을 경매 등으로 취득한 사람은 지자체에 도로 사용료를 청구할 수 없다.

#도로#경매#사용료 청구#부당이득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못 쓰게 해?! 도로로 쓰이는 내 땅 돌려받을 수 있을까?

오래전부터 도로로 사용되던 땅을 경매로 산 사람이 지자체에 땅을 돌려달라고 소송했지만, 법원은 땅 주인의 이러한 행위를 권리남용으로 판단하여 소송을 기각했습니다.

#권리남용#도로#경매#소송기각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도로로 쓰고 있지?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 이야기

원래 주인이 땅을 도로로 쓰라고 내놓은 뒤에, 새 주인이 그 사실을 알고 땅을 샀다면, 나중에 구청에서 도로 포장공사를 해도 새 주인은 구청에 돈을 요구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토지 소유권#도로#부당이득#구청

민사판례

내 땅인데 도로로 쓰고 있다면?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 이야기

건물 신축 시 건축법에 따라 도로에 접하도록 일정 공간을 비워둔 경우, 이 공간이 도로로 사용되더라도 토지 소유자가 소유권을 포기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판결.

#건축법 공지#소유권 포기#부당이득반환#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땅 주인이 길로 쓰라고 내놓은 땅, 내 맘대로 막을 수 있을까?

땅 주인이 택지를 개발하면서 도로를 만들어 주민들에게 제공한 경우, 그 도로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포기한 것으로 본 판례입니다. 단순히 주차표시나 하수도 공사를 했다고 해서 지자체가 도로를 점유·관리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택지개발#도로제공#사용수익권포기#지자체 점유관리 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