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7다44089

선고일자:

199804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취득시효에 있어서 점유 기간의 기산일을 임의 선택할 수 있는 경우 [2] 미등기 토지에 대한 취득시효 완성 후 완성 당시 소유자 명의로의 소유권보존등기 및 그에 기한 상속등기가 경료된 경우, 새로운 이해관계인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3] 미등기 토지에 대하여 소유자의 상속인 명의로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의한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된 경우, 시효취득에 영향을 미치는 소유자 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취득시효 기간의 계산에 있어 그 점유 개시의 기산일은 임의로 선택할 수 없으나, 소유자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취득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있는 시점에서 보아 그 기간이 경과된 사실만 확정되면 된다. [2] 토지에 대한 점유로 인한 취득시효 완성 당시 미등기로 남아 있던 토지에 관하여 소유권을 가지고 있던 자가 취득시효 완성 후에 그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하더라도 소유자에 변경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그러한 등기 명의자로부터 상속을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자가 있다 하여도 취득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있는 시점에서 역산하여 취득시효 기간이 경과되면 그에게 취득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있다. [3] 점유시효취득 대상인 미등기 토지에 대하여 소유자의 상속인 명의로 구 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77. 12. 31. 법률 제3094호로 제정되어 1978. 12. 6. 법률 제3159호로 개정된 것)에 따른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졌다 하여도 이는 시효취득에 영향을 미치는 소유자 변경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1] 민법 제245조 제1항/ [2] 민법 제245조 제1항/ [3] 민법 제245조 제1항,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3094호, 1984. 12. 31. 실효) 제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7. 26. 선고 91다8104 판결(공1991, 2245), 대법원 1993. 11. 26. 선고 93다30013 판결(공1994상, 196), 대법원 1994. 2. 8. 선고 93다41303 판결(공1994상, 1005) /[2] 대법원 1995. 2. 10. 선고 94다28468 판결(공1995상, 1298), 대법원 1995. 3. 28. 선고 94다59905 판결(공1995상, 1749) /[3] 대법원 1995. 9. 26. 선고 95다9624, 9631 판결(공1995하, 3523), 대법원 1997. 12. 26. 선고 97다42663 판결(공1998상, 503)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창원지법 1997. 8. 22. 선고 96나6213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1.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소외 1이 1944. 11. 8. 소외 2로부터 이 사건 임야 중 19,834㎡를 매수하면서 그 경계를 아래로는 소외 3의 묘지 아래 부분으로, 위로는 소외 4의 묘지 바깥 동쪽 부분으로 정하였고, 소외 5는 1945. 11. 23. 소외 1로부터 이를 다시 매수하였는데, 소외 5는 그가 매수한 부분이 오솔길을 경계로 하여 그 아래 부분인 이 사건 임야로 알고 그 때부터 이를 점유한 사실을 인정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없다. 따라서 이 점 상고이유는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취득시효기간의 계산에 있어 그 점유 개시의 기산일은 임의로 선택할 수 없으나 소유자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취득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있는 시점에서 보아 그 기간이 경과된 사실만 확정되면 되는 것이고(대법원 1991. 7. 26. 선고 91다8104 판결, 1994. 2. 8. 선고 93다41303 판결 등 참조), 토지에 대한 점유로 인한 취득시효 완성 당시 미등기로 남아 있던 토지에 관하여 소유권을 가지고 있던 자가 취득시효 완성 후에 그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하더라도 소유자에 변경이 있다고 볼 수 없으며(대법원 1995. 2. 10. 선고 94다28468 판결, 1995. 3. 28. 선고 94다59905 판결 등 참조), 그러한 등기명의자로부터 상속을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자가 있다 하여도 취득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있는 시점에서 역산하여 취득시효 기간이 경과되면 그에게 취득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6이 1917. 12. 10. 이 사건 임야를 사정받았고, 소외 6이 1943. 4. 21. 사망하여 그의 장남으로 호주상속인인 소외 2가 이를 상속받았으며, 소외 2가 1960. 2. 27. 사망하여 그의 장남으로 호주상속인인 소외 7이 다른 상속인과의 묵시적 협의에 따라 이를 단독으로 상속받았는데, 김영철은 1981. 4. 13.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77. 12. 31. 법률 제3094호로 제정되어 1978. 12. 6. 법률 제3159호로 개정된 것)에 따라 미등기 부동산을 상속받은 자로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친 사실,소외 7이 1992. 9. 7. 사망하여 1993. 10. 21. 피고들 앞으로 협의분할에 의한 재산상속을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사실을 인정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조치는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 등이 없으며, 사정이 이러하다면, 김영철 앞으로 이 사건 임야에 대한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졌다 하여 취득시효 기간 중 소유자가 변동된 경우라고 볼 수 없고,소외 7이 사망하여 피고들 앞으로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하여도 취득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있는 시점에서 역산하여 취득시효 기간이 경과되면 피고들에게 취득시효 완성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이므로, 원고들이 1996. 11. 1.부터 역산하여 20년 이상 이 사건 임야를 점유하여 1996. 11. 1. 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원심판결에 취득시효의 기산점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따라서 이 점 상고이유도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3. 원고들이 피고 1로부터 이 사건 임야 내에 입목을 벌채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받은 일이 있다고 하여 이 사건 임야를 피고들의 소유로 승인하였다고 볼 수 없으므로, 이로써 시효진행이 중단되었거나 원고들이 시효이익을 포기하였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한 원심의 조치는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취득시효의 중단 또는 포기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따라서 이 점 상고이유도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4.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 이임수 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20년 넘게 땅을 점유하면 내 땅이 될 수 있을까? - 점유취득시효 이야기

20년 동안 땅을 점유하면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는데, 이때 점유 시작 시점을 언제로 봐야 하는지, 중간에 땅 주인이 바뀌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20년이 넘는 점유 사실이 확인되면 점유 시작 시점은 크게 중요하지 않으며, 땅 주인이 바뀌어도 20년 점유가 계속되었다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점유취득시효#20년 점유#소유권 취득#점유 시작 시점

민사판례

20년간 땅을 점유했다면 내 땅일까? 점유취득시효와 소멸시효 이야기

20년 동안 땅을 점유해서 내 땅으로 만들었다 하더라도, 그 땅에 대한 점유를 잃은 후 10년 안에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하지 않으면 권리가 사라진다.

#점유취득시효#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소멸시효#채권적청구권

민사판례

20년 넘게 땅을 썼는데 내 땅이 아니라니?! 점유취득시효,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20년간 땅을 점유했어도, 등기하기 전에 다른 사람에게 소유권이 넘어가면 시효취득을 주장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상속인 간 지분 정리 후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시효취득#점유#등기#소유권

상담사례

20년 넘게 살았는데, 땅 주인이 바뀌었어요! 내 땅이 될 수 있을까요? (점유취득시효)

20년 점유취득시효 후 등기 전 소유자가 바뀌면 새 소유자 등기 시점부터 다시 20년 점유 시 소유권 취득 가능하며, 중간에 소유자가 또 바뀌어도 점유취득시효는 유지된다.

#점유취득시효#20년#소유의사#평온공연한 점유

민사판례

20년 넘게 땅을 점유했어도 내 땅이 아닐 수 있다?! - 점유와 취득시효 이야기

20년간 땅을 점유했더라도, 그 땅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준 후에는 원래 소유자에게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점유취득시효#20년 점유#소유권#양도

민사판례

20년 넘게 땅을 점유했어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을까요?

20년 넘게 땅을 점유했더라도, 그 기간이 지난 *후*에 땅의 소유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다면, 20년 점유 사실을 근거로 새 소유자에게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점유취득시효#20년 점유#소유권 이전#새로운 소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