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취득자격증명발급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98두12437

선고일자:

199904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동산경매사건의 최고가매수신고인이 경락기일에 경매법원에 제출할 목적으로 농지취득자격증명발급신청을 하였으나 행정청의 적극적인 처분 없이 경락기일이 도과한 경우, 위 신고인에게 부작위 위법확인을 구할 소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적극) 및 부작위 위법 여부의 판단 기준시(=사실심 구두변론종결시)

판결요지

부동산강제경매사건의 최고가매수신고인이 애당초 농지취득자격증명발급신청을 한 목적이 경락기일에서 경매법원에 이를 제출하기 위한 데에 있고 행정청이 적극적인 처분을 하지 않고 있는 사이 위 경락기일이 이미 도과하였다 하더라도, 위 사실만으로 위 신고인이 부동산을 취득할 가능성이 전혀 없게 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므로 위 경락기일이 이미 도과함으로써 위 신고인이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을 실익이 없게 되었다거나 행정청의 부작위에 대한 위법확인을 구할 소의 이익이 없게 되었다고 볼 수는 없으며, 또한 부작위 위법 여부의 판단 기준시는 사실심의 구두변론종결시이므로 행정청이 원심판결선고 이후에 위 신고인의 위 신청에 대하여 거부처분을 함으로써 부작위 상태가 해소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볼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2조 제1항, 제4조 제3호, 제36조, 농지법 제8조 제1항, 제2항, 농지법시행령 제8조 제1항, 제10조, 농지법시행규칙 제7조 제3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0. 9. 25. 선고 89누4758 판결(공1990, 2174), 대법원 1991. 11. 8. 선고 90누9391 판결(공1992, 124), 대법원 1992. 6. 9. 선고 91누11278 판결(공1992, 2156), 대법원 1992. 7. 28. 선고 91누7361 판결(공1992, 2569), 대법원 1992. 10. 27. 선고 92누5867 판결(공1992, 3315)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부여군 옥산면장 【원심판결】 대전고법 1998. 6. 19. 선고 97구369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대전지방법원 강경지원 96타경(사건번호 1 생략) 부동산강제경매사건의 최고가매수신고인으로서, 경락기일인 1997. 6. 20. 위 법원에 농지취득자격증명을 제출하기 위하여 1997. 6. 17. 피고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취득농지로 하는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신청을 하였으나, 피고는 원고의 신청서에 농지관리위원회 위원 2인의 농지취득자격 확인이 누락되었다는 이유로 원심변론종결일까지 아무런 처분도 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하였다. 원심은 나아가, 피고가 원고의 신청에 대하여 아무런 처분을 하지 아니하고 있는 것은 위법하며, 원고로서는 행정청의 응답을 신속하게 하여 부작위 또는 무응답이라고 하는 소극적 위법상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위 부작위가 위법하다는 확인을 구할 법률상의 이익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니, 원심의 이러한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의 이익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그리고 원고가 애당초 이 사건 농지취득자격증명발급신청을 한 목적이 1997. 6. 20. 실시예정인 경락기일에서 경매법원에 이를 제출하기 위한 데에 있고 피고가 적극적인 처분을 하지 않고 있는 사이 위 경락기일이 이미 도과하였다 하더라도, 위 사실만으로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을 취득할 가능성이 전혀 없게 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므로 위 경락기일이 이미 도과함으로써 원고가 이 사건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을 실익이 없게 되었다거나 피고의 부작위에 대한 위법확인을 구할 소의 이익이 없게 되었다고 볼 수는 없으며, 또한 부작위 위법 여부의 판단기준시는 사실심의 구두변론종결시이므로(대법원 1992. 7. 28. 선고 91누7361 판결, 1990. 9. 25. 선고 89누4758 판결 등 참조), 피고가 원심판결선고 이후에 원고의 이 사건 신청에 대하여 거부처분을 함으로써 부작위 상태가 해소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볼 것은 아니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정귀호 이용훈 조무제(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농지 경매와 농지취득자격증명에 관한 이야기

지목이 '전'인 토지가 현재 다른 용도로 사용되더라도 농지로서의 기능을 쉽게 회복할 수 있다면 여전히 농지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농지를 경매로 취득하려면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미리 제출해야 하며, 매각불허가 결정 이후에 제출하는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농지#경매#농지취득자격증명#매각불허가

민사판례

농지 경매, 취득자격증명 없으면 낙찰 불가!

농지 경매에서 낙찰자가 매각 결정일까지 농지취득자격증명서를 제출하지 못하면, 설령 행정기관의 부당한 거부 때문이라도 매각은 불허됩니다.

#농지경매#농지취득자격증명서#매각불허가#행정기관거부

민사판례

경매로 농지를 샀는데, 농지취득자격증명이 없다면?

경매를 통해 농지를 낙찰받았을 때 농지취득자격증명을 경매 절차 중에 제출하지 않고 낙찰 후에 제출해도 소유권 취득에 문제가 없다.

#농지경매#농지취득자격증명#낙찰후제출#소유권인정

민사판례

농지 경매 낙찰 후, 농지취득자격증명 제출 시기와 항고

농지를 경매로 낙찰받았지만 농지취득자격증명을 제출하지 못해 낙찰 불허가 결정을 받은 경우, 항고심 진행 중에 증명을 제출하면 항고법원은 이를 고려하여 다시 판단해야 한다.

#농지경매#낙찰불허#항고#농지취득자격증명

일반행정판례

자경농지 확인증명 발급 거부는 행정소송 대상일까?

8년 이상 자경한 농지의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위한 '자경농지 확인증명' 발급을 시장이 거부했더라도, 신청인에게 증명서 발급을 요구할 법적 권리가 없으므로 행정소송 대상이 아니다.

#자경농지 확인증명#발급거부#행정소송#기각

생활법률

농지 사려면?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받기!

농지를 취득하려면 원칙적으로 농지취득자격증명이 필요하지만, 국가/지자체, 상속, 담보농지 취득 등 예외적인 경우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농지의 경우에는 필요 없다.

#농지취득자격증명#농지법#발급#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