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토지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8두3464

선고일자:

199805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지방세법시행령상 종합토지세의 분리과세대상 토지인 '전·답·과수원'의 요건 [2] 현황부과의 원칙을 규정한 지방세법시행령 제194조의17이 조세법률주의에 반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분리과세의 대상이 되는 전·답·과수원은 공부상 등재된 지목에 관계 없이 적어도 그 사실상의 현황이 농작물의 경작 또는 다년성식물의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와 그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일 것을 요한다. [2] 종합토지세는 보유하는 토지에 담세력을 인정하여 과세하는 수익세적 성격을 지닌 재산세로서 당해 토지를 보유하는 동안 매년 독립적으로 과세기준일 현재의 토지의 현황이나 이용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므로 현황부과의 원칙을 규정한 지방세법시행령 제194조의17의 규정은 모법의 위임에 따라 그 입법 취지를 구현하기 위한 것일 뿐 과세요건을 확대하였거나 새로운 과세요건을 규정한 것이 아니어서 형식상으로나 실질적으로 조세법률주의에 반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지적법 제5조, 지적법시행령 제6조 제1호, 제2호, 제3호, 지방세법 제234조의15 제2항 제3호, 제4항,제234조의16 제3항, 지방세법시행령 제194조의15 제1항 제2호 (가)목, 제194조의17/ [2] 헌법 제38조, 제59조, 지방세법시행령 제194조의17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9. 12. 선고 96누2873 판결(공1997하, 3180) /[2] 대법원 1982. 11. 23. 선고 82누221 전원합의체 판결(공1983, 223), 대법원 1995. 3. 17. 선고 94누8686 판결(공1995상, 1767)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서울특별시 강동구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8. 1. 9. 선고 97구3481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지방세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34조의15 제2항 제3호, 제4항 및 제234조의16 제3항의 각 규정에 의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 전·답·과수원 …의 가액'을 종합토지세의 종합합산과세표준에서 분리시켜 별도의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분리과세의 대상으로 삼고 있고, 이에 따라 같은법시행령(이하 "시행령"이라 한다) 제194조의15 제1항 제2호 (가)목은 위 법규정에서의 '전·답·과수원(이하 이 조에서 "농지"라 한다)'이라 함은 "그 소재지 구·시·군 및 그에 인접한 구·시·군 또는 농지의 소재지로부터 20㎞ 이내의 지역에 과세기준일 현재 6월 이상 주민등록이 되어 있고 사실상 거주하는 개인이 영농을 목적으로 소유하는 농지. 다만, 특별시·광역시(군지역을 제외한다)·시지역(읍·면지역을 제외한다)의 도시계획구역 안의 농지는 개발제한구역과 녹지지역 안에 있는 것에 한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시행령 제194조의17은 "종합토지세의 과세대상 토지가 공부상 등재현황과 사실상의 현황이 다를 경우에는 사실상의 현황에 의하여 종합토지세를 부과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 한편, 지적법 제5조 및 같은법시행령 제6조 제1, 2, 3호에 의하면 지목의 구분에 있어서 '전·답·과수원'이라 함은 그 실제상황이 농작물의 경작 또는 다년성식물의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와 그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를 뜻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규정들을 종합하여 보면, 위 분리과세의 대상이 되는 전·답·과수원은 공부상 등재된 지목에 관계 없이 적어도 그 사실상의 현황이 농작물의 경작 또는 다년성식물의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와 그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일 것을 요한다고 할 것이고, 또한 종합토지세는 보유하는 토지에 담세력을 인정하여 과세하는 수익세적 성격을 지닌 재산세로서 당해 토지를 보유하는 동안 매년 독립적으로 과세기준일 현재의 토지의 현황이나 이용상황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므로(대법원 1995. 3. 17. 선고 94누8686 판결 등 참조) 현황부과의 원칙을 규정한 위 시행령 제194조의17의 규정은 모법의 위임에 따라 그 입법 취지를 구현하기 위한 것일 뿐 과세요건을 확대하였거나 새로운 과세요건을 규정한 것이 아니어서 형식상으로나 실질적으로 조세법률주의에 반한다고 할 수 없다. 원심판결의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토지의 지목이 비록 전이지만 과세기준일인 1996. 6. 1. 현재 원고가 이를 실제로 경작하고 있지 아니한 비농지인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토지의 사실상의 현황에 따라 이를 분리과세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종합합산과세의 대상으로 삼은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는바,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의 이러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인의 위법이 없으며, 소론이 들고 있는 대법원 1995. 9. 26. 선고 95누7857 판결은 이러한 판단에 아무런 방해가 되지 아니한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정귀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농사 안 짓는 땅, 종합토지세 덜 낼 수 있을까?

농사짓지 않는 땅은 지목이 논이나 밭, 과수원으로 등록되어 있어도 종합토지세를 계산할 때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종합토지세#분리과세#경작#미경작

세무판례

종합토지세 분리과세, 어디까지 해줄 건가요?

이 판결은 종합토지세를 매길 때 어떤 땅은 따로 세금을 매기는 '분리과세'를 하는데, 그 대상이 법에 정해진 것만 해당한다는 내용입니다. 즉, 법에 명시되지 않은 토지는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종합토지세#분리과세#매립지#법률해석

세무판례

한국토지공사 소유 토지, 종합토지세 분리과세 대상?

한국토지공사가 취득 후 5년 이내에 매각하거나, 5년이 지나지 않은 토지는 종합토지세 분리과세 대상으로 인정된다는 판결.

#한국토지공사#종합토지세#분리과세#5년

세무판례

농지 대토, 양도소득세 감면받으려면 '실제 경작'이 핵심!

농지를 팔고 다른 농지를 샀을 때 양도소득세를 감면받으려면, 원래 땅과 새로 산 땅 모두 실제로 경작에 사용해야 합니다. 단순히 서류상 지목이 농지인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농지#대토#양도소득세#감면

세무판례

한 집에 딸린 땅이 여러 필지라면? 종합토지세 계산법!

한 집에 딸린 땅이 여러 필지로 나뉘어 있거나 여러 명이 공동으로 소유한 경우에도, 땅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종합토지세와 분리과세 대상을 정하고, 각자의 지분만큼 세금을 나눠서 내야 한다.

#종합토지세#부속토지#여러 필지#공유

세무판례

주택건설사업 토지, 종부세 내야 할까? 분리과세 대상 여부 따져보기

주택건설사업에 사용되는 토지라도 모든 토지가 종합부동산세 분리과세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일정 규모 이상의 주택 건설 사업으로, 주택법에 따른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토지만 분리과세 대상이 됩니다. 규모가 작거나 사업계획승인 대상이 아닌 주택건설사업, 또는 도시정비법에 따른 사업시행인가만 받은 경우는 분리과세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종합부동산세#분리과세#주택건설사업#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