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찰허가

사건번호:

99마5148

선고일자:

20000816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물건명세서 작성에 중대한 하자가 있음을 이유로 낙찰을 불허하고 다시 입찰기일을 진행하게 된 경우, 물건명세서 작성의 하자가 계속된 채 진행된 입찰기일들은 모두 위법하여 그 입찰기일에서 최저입찰가격이 저감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위법하다는 이유로 경매법원으로서는 위법하게 저감된 최저입찰가격이 아닌 당초의 최저입찰가격을 최저입찰가격으로 하여 입찰을 진행하여야 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물건명세서 작성에 중대한 하자가 있음을 이유로 낙찰을 불허하고 다시 입찰기일을 진행하게 된 경우, 물건명세서 작성의 하자가 계속된 채 진행된 입찰기일들은 모두 위법하여 그 입찰기일에서 최저입찰가격이 저감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위법하다는 이유로 경매법원으로서는 위법하게 저감된 최저입찰가격이 아닌 당초의 최저입찰가격을 최저입찰가격으로 하여 입찰을 진행하여야 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633조 제6호 , 제635조 제2항 , 제643조 제3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지법 1999. 8. 3.자 99라4352 결정 【주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에서 당초 경매법원이 감정인의 평가를 거쳐 정한 최초의 최저입찰가격은 432,375,300원이었고, 경매법원은 이를 기초로 입찰기일을 진행하였으나 2차례에 걸쳐 적법한 입찰이 없자 최저입찰가격을 차례로 저감하여 최저입찰가격이 276,720,190원이 된 제3회 입찰기일에서 입찰을 실시한 결과 신청외인으로부터 303,000,000원에 입찰이 있자 제1차 낙찰을 허가한 사실, 재항고인(임차인)의 즉시항고로 인하여 항고법원은 이 사건 부동산 중 토지와 건물 부분의 최선순위근저당권설정일자가 서로 다름에도 물건명세서에 이를 구분하지 않은 중대한 하자가 있다는 이유로 제1차 낙찰허가결정을 취소하고 낙찰을 불허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기록에 의하면 종전 항고법원의 판단과 같은 물건명세서 작성의 하자는 제1회 입찰기일 이후 제3회 입찰기일까지 계속되었으므로(기록 142정, 158정, 174정) 그와 같이 하자가 있음에도 진행된 입찰기일들은 모두 위법하고, 따라서 그 입찰기일에서 최저입찰가격이 저감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위법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전 항고법원의 결정에 따라 다시 입찰기일을 진행하게 된 경매법원으로서는 그와 같이 위법하게 저감된 최저입찰가격이 아닌 당초의 최저입찰가격 432,375,300원을 최저입찰가격으로 하여 입찰을 진행하여야 된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록에 의하면 경매법원은 이에 이르지 아니하고 당초 제3회 입찰기일까지 위법하게 저감된 276,720,190원을 다시 최저입찰가격으로 결정·공고하여 제4회 입찰기일을 진행한 다음 이 사건 낙찰을 허가하였으므로 이는 민사소송법 제633조 제6호 소정의 최저경매가격의 결정에 중대한 하자가 있는 때에 해당하여 위법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민사소송법 제643조 제3항, 제635조 제2항에 의하여 항고법원으로서는 항고이유의 제기가 없더라도 직권으로 이러한 점을 심리하여 경매법원의 낙찰허가결정의 당부를 살펴보았어야 함에도 원심은 이에 이르지 아니한 채 항고이유의 제출이 없고, 기록을 살펴보아도 직권으로 취소할 만한 위법사유를 발견할 수 없다는 이유로 항고를 기각하고 말았으니 이는 잘못이라고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재항고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유지담 배기원(주심)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경매 물건명세서에 임차인 배당요구 누락, 낙찰 불허가 사유일까?

경매 물건명세서에 선순위 임차인의 배당요구 사실이 기재되지 않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낙찰을 불허할 만큼 중대한 하자라고 볼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명세서의 하자가 입찰자의 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가 중요합니다.

#경매#물건명세서#임차인#배당요구

민사판례

경매에서 부동산 표시 오류와 최저입찰가격 문제, 낙찰 취소될 수 있을까?

경매 대상 부동산의 표시가 잘못되고, 최저입찰가격 결정에도 중대한 하자가 있어 낙찰이 취소된 사례입니다. 지하구조물이 포함된 토지 경매에서, 지하구조물의 위치와 면적을 정확히 공고하지 않고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최저입찰가격을 잘못 산정한 것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경매#부동산 표시 오류#최저입찰가격 결정 오류#낙찰 취소

민사판례

경매 물건명세서, 꼼꼼히 확인해야 하는 이유!

경매 물건명세서에 중요한 정보가 빠지거나 잘못 기재되면 낙찰이 불허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차인의 존재와 보증금 정보가 정확하게 기재되지 않으면, 낙찰자가 예상치 못한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법원은 낙찰을 불허할 수 있습니다.

#경매#물건명세서#임차인 정보 누락#낙찰 불허

민사판례

경매 최저입찰가격, 잘못 알려줘도 낙찰은 유효할까?

경매 법원이 실수로 최저입찰가격을 잘못 알려줬더라도 입찰 날짜는 제대로 알려줬다면, 그 사실만으로는 낙찰이 잘못됐다고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경매#최저입찰가격 오류#낙찰허가결정 취소#입찰기일 통지

민사판례

경매 최저가, 너무 낮게 잡힌 거 아닌가요?

경매 부동산에 설정된 근저당권의 채권 총액이 감정가보다 훨씬 높다면, 감정가가 지나치게 낮게 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 경우 최저경매가격 결정에 중대한 하자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경매#최저경매가격#이의#감정가

민사판례

경매 재개시 최저가격, 너무 낮추면 안 돼요!

경매에서 최저 입찰가격을 너무 많이 낮추면 불법으로 간주되어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경매#최저가격#과도인하#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