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10년 넘은 빚, 저당 잡힌 땅 경매에 넘어갈 수 있을까요?

돈을 빌리고 10년 넘게 갚지 않았는데, 갑자기 땅이 경매에 넘어간다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사례를 통해 저당권과 소멸시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철수(甲)는 영희(乙)에게 3억 원을 빌리면서 철수 소유의 땅(A토지)에 저당권을 설정했습니다. 하지만 10년이 지나도록 철수는 빚을 갚지 않았고, 영희 또한 딱히 독촉하는 등의 행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빌린 돈에 대한 소멸시효(빌려준 사람이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기간)가 지나버렸습니다. 철수는 이를 근거로 "더 이상 빚을 갚을 의무가 없다"는 것을 확인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런데 소송이 시작되자 영희는 갑자기 "저당 잡힌 땅을 경매에 넘기겠다"며 경매를 신청했습니다.

과연 경매는 유효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경매는 무효입니다.

민법 제162조 제1항에 따르면, 채권이 시효로 소멸한 때에는 그 담보도 함께 소멸합니다. 즉, 돈을 빌려준 영희의 채권이 소멸시효 완성으로 사라졌기 때문에, 땅에 설정된 저당권 역시 효력을 잃게 됩니다.

대법원도 이와 같은 입장입니다. 대법원 1978. 10. 10. 선고 78다910 판결에 따르면, "경매개시결정 이전에 피담보채권(빌려준 돈)이 소멸됨에 따라 근저당권이 소멸된 경우, 그 소멸된 근저당권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경매개시 결정을 비롯한 일련의 절차 및 경락허가결정은 모두 무효"입니다.

따라서 위 사례에서 영희가 이미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을 근거로 경매를 신청했기 때문에, 경매 절차가 진행되더라도 모든 절차와 경락허가결정은 무효가 됩니다. 철수의 땅은 경매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핵심 정리:

  • 돈을 빌려주고 저당권을 설정했더라도 소멸시효가 지나면 채권과 저당권 모두 효력을 잃습니다.
  • 소멸된 저당권을 근거로 진행된 경매는 무효입니다.

이처럼 소멸시효와 저당권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관련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빚의 소멸시효, 경매로 돈 받으면 다시 살아날까?

소멸시효가 지난 채무라도 채무자가 경매 진행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채권자가 경매를 통해 배당금을 수령하면, 채무는 묵시적 승인으로 소멸시효 이익이 포기되어 유효하게 남을 수 있다.

#소멸시효#경매#묵시적 승인#채권

상담사례

10년 넘은 빚, 경매까지 당했는데 안 갚아도 되나요? 😥 (근저당, 소멸시효)

10년 넘은 빚이라도 근저당 설정된 부동산이 경매되고 채무자가 소멸시효 완성을 주장하지 않으면 빚을 인정한 것으로 간주되어 남은 빚도 갚아야 할 수 있다.

##소멸시효#근저당#경매

상담사례

15년 전 갚은 빚, 저당권 말소 어떻게 해야 할까요? 😰

15년 전 갚은 빚의 저당권 말소는 채권자 사망 및 변제 증명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0년 채권 소멸시효 완성에 따라 저당권 말소 소송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

#저당권 말소#소멸시효#채권#변제

상담사례

돈 빌려주고 저당 잡았는데, 빌려준 돈과 저당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겼어요! 경매 신청 할 수 있을까요?

돈과 저당권을 양수받고 저당권 이전등기를 마쳤다면 채권 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했어도 경매 신청이 가능하고, 후순위 저당권자는 이를 문제 삼을 수 없다.

#저당권#채권양도#경매#대항요건

상담사례

돈 빌려준 사람 바뀌었는데, 압류할 수 있을까요? (저당권과 채권양도)

저당권과 채권이 함께 양도된 경우, 양수인은 채무자에게 양도 사실을 통지하지 않아도 압류를 신청할 수 있고, 채무자는 압류 과정에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저당권#채권양도#압류#경매

상담사례

땅에 건물 짓고 있는데, 땅만 저당 잡히면 건물도 같이 경매될까요?

땅에 저당권 설정 당시 건물 공사 진행 정도에 따라, 건물 존재와 가치를 예측 가능한 수준이면 건물은 경매에서 제외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땅과 함께 경매될 수 있습니다.

#땅 저당#건물 경매#건축 진행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