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증여 시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는 '시가'는 어떻게 정해질까요? 최근 판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사건은 민경조 씨가 동생으로부터 토지를 증여받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세무서는 증여세를 부과하기 위해 토지의 시가를 산정해야 했는데요. 세무서는 약 1년 3개월에서 1년 10개월 전에 이루어진 해당 토지의 거래가액을 시가로 보았습니다. 민경조 씨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민경조 씨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과거의 거래가액이 현재 시가와 동일하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죠. 부동산 가격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과거 거래가액을 현재 시가로 단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판단이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대법원은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상승세를 근거로, 1년 3개월~1년 10개월 전의 거래가액이 현재 시가보다 높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습니다. 물론 그 사이에 시가가 하락하거나 토지 상황에 변화가 있었다면 달라지겠지만, 그러한 특별한 사정이 입증되지 않았다는 것이죠.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과거의 거래가액을 시가로 보아 과세한 처분은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이 판례는 증여세 부과 시 시가 산정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증여를 계획하고 있다면, 시가 산정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세금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무판례
부동산 증여 후 3년 3개월 전 감정가로 증여세를 매긴 경우, 납세자가 이에 불복할 수 있는지 여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부동산 가격 상승기에 이뤄진 과거 시점의 감정가가 현재 시가보다 높지 않다고 추정되므로 납세자의 불복이 어려움.
세무판례
증여받은 재산의 가치를 평가할 때, 일반적인 거래 가격 외에도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도 '시가'로 인정될 수 있다.
세무판례
개발이 완료된 도심 지역의 토지를 증여받은 경우, 증여일과 가까운 시점(3개월 이내)의 감정평가액을 증여 당시의 정상 가격으로 볼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세무판례
상속세나 증여세를 계산할 때 재산의 '시가'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시가 평가에 있어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 (소급 감정 포함)도 인정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과세 처분이 잘못되었을 경우, 잘못된 부분만 취소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합니다.
세무판례
가족 등 특수관계인에게 시세보다 훨씬 싸게 부동산을 팔면, 그 차액만큼 증여한 것으로 보고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이때 시세는 실제 거래가격이 없다면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감정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단순히 법에 정해진 보충적인 계산 방식으로 시세의 70% 이하에 판 경우에만 증여로 보는 것은 아닙니다.
세무판례
증여세를 부과할 때 재산 가액은 세금 부과를 *결정*한 시점이 아니라 증여 사실을 *인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