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8.22

민사판례

2층 전세, 1층 월세 살던 세입자, 집이 경매에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

요즘처럼 부동산 경기가 안 좋을 때, 혹시나 내가 살고 있는 집이 경매에 넘어가면 어떻게 될지 걱정하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다가구 주택의 경우, 다른 층에 전세나 월세 세입자가 있는 경우 더욱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오늘은 건물의 일부에 대한 전세권과 임차권이 경매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보증금을 다 못 받았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법원 판결을 바탕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2층에 전세, 1층 일부에 월세로 살고 있는 세입자가 있는 건물이 경매에 넘어갔습니다. 2층 전세권자는 월세 세입자보다 먼저 전입신고를 했지만, 경매로 인해 전세권이 소멸했습니다. 이 경우 1층 월세 세입자의 권리에도 영향이 있을까요? 또, 월세 세입자가 경매에서 보증금을 전부 돌려받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부분 전세권의 소멸과 다른 부분 임차권의 관계

법원은 건물 일부(예: 2층)에 설정된 전세권은 그 부분에만 효력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2층 전세권이 경매로 소멸하더라도, 다른 부분(예: 1층 일부)에 살고 있는 월세 세입자의 임차권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1층 월세 세입자는 계속해서 살 권리가 있습니다. (민법 제303조 제1항, 제318조, 민사소송법 제608조 제2항, 대법원 1992. 3. 10.자 91마256, 257 결정 참조)

2. 보증금을 전부 못 받은 세입자의 권리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해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부여합니다. 대항력은 집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더라도 계속 살 수 있는 권리이고, 우선변제권은 경매 시 다른 채권자보다 먼저 보증금을 돌려받을 권리입니다.

만약 세입자가 경매에서 보증금 전액을 배당받지 못한 경우, 남은 보증금에 대해서는 새 집주인(경락인)에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 즉, 경락인은 이전 집주인의 지위를 이어받아 남은 보증금을 돌려줄 책임이 있습니다. 세입자는 보증금을 전부 돌려받을 때까지 집을 비워주지 않아도 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2항, 제3조의2 제1항, 제4조 제2항, 제8조 제1항, 대법원 1986. 7. 22. 선고 86다카 466, 467, 468, 469 판결, 대법원 1993. 12. 24. 선고 93다39676 판결, 대법원 1996. 7. 12. 선고 94다37646 판결, 대법원 1997. 8. 29. 선고 97다11195 판결 참조)

결론적으로, 위 사례에서 1층 월세 세입자는 2층 전세권의 소멸과 관계없이 자신의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매에서 보증금 전액을 돌려받지 못한 경우, 남은 금액을 경락인에게 요구하며 보증금을 전부 돌려받을 때까지 집을 비워주지 않아도 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경매와 전세권, 내 권리는 안전할까?

건물 일부에 대한 전세권이 경매로 소멸하더라도, 다른 부분에 대한 전세권은 유효하며 경락인이 인수해야 한다. 또한, 존속기간이 남아있는 전세권은 경매로 소멸되지 않는다.

#전세권#경매#소멸#존속기간

상담사례

우리집은 안전할까? 건물 일부 전세권 경매와 다른 세입자

건물 일부(예: 2층)에 설정된 전세권 경매는 해당 부분(2층)에만 효력이 있으며, 다른 부분(예: 1층)의 세입자 권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전세권 경매#일부 전세권#타 세입자 영향#임차권 보호

상담사례

2층만 전세 계약했는데, 집주인이 전세금 안 돌려주면 집 전체를 경매에 넘길 수 있을까요?

단독주택 일부(ex. 2층) 전세 계약 후 전세금 미반환 시, 해당 부분의 분할등기가 가능하면 부분 경매, 불가능하면 전세금 반환 소송 후 전체 강제경매를 통해 우선변제 받을 수 있다.

#전세금 미반환#건물 일부 전세#분할등기#경매

상담사례

2차 경매, 내 보증금은 어떻게 되나요? (우선변제권 이야기)

1차 경매에서 우선변제권을 행사해도 보증금 전액을 못 받으면, 2차 경매에서는 우선변제권이 소멸되어 남은 보증금을 받을 수 없고, 1차 낙찰자에게 대항력으로 남은 보증금 반환을 요구해야 한다.

#2차 경매#우선변제권#대항력#보증금

민사판례

전세보증금 못 돌려받았을 때, 집 팔려도 계속 살 수 있을까?

세입자가 전세금을 다 돌려받지 못했더라도, 집주인이 바뀌어도 계속 살 수 있다. 은행이 세입자의 보증금반환채권을 사들여 경매에서 일부만 배당받았더라도 마찬가지다.

#전세보증금#일부배당#대항력 유지#세입자 거주권

민사판례

세입자가 집을 낙찰받으면 어떻게 될까? - 임대차와 배당에 관한 이야기

전세 계약이 되어있는 집이 경매에 넘어갔을 때, 세입자가 직접 그 집을 낙찰받으면 전세 계약은 종료되고, 세입자는 보증금을 바로 배당받을 수 있다.

#경매낙찰#세입자#전세계약종료#보증금배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