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2.27

민사판례

갑자기 끼어든 차 때문에 발생한 2차 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운전 중 갑자기 끼어드는 차 때문에 발생하는 사고는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교통사고 유형입니다. 오늘 살펴볼 사례는 끼어든 차량 때문에 옆 차선 차량과 충돌한 후, 그 충격으로 인해 또 다른 차량과 2차 사고를 낸 경우, 1차 충돌 차량 운전자에게 과실이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4차선 도로의 3차선을 주행 중이던 A 차량은 1차선에서 갑자기 끼어든 B 차량과 부딪혔습니다. 충격으로 밀려난 A 차량은 약 30m 떨어진 곳에 정차해 있던 C 차량과 2차 충돌 사고를 일으켰습니다. A 차량의 스키드 마크(급제동 시 타이어 자국)는 우측 바퀴에만 15m 가량 남았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A 차량 운전자에게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15m나 되는 스키드 마크와 충돌 지점 사이의 30m 거리를 고려했을 때, A 차량 운전자가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했다면 2차 사고를 막을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A 차량 운전자는 갑작스러운 충돌로 중심을 잃고 옆으로 밀리는 상황에서, 2차 사고를 막기 위해 급제동하는 것 외에 더 이상의 주의의무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은 원심이 다음과 같은 점을 더 심리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제한 속도 내에서 주행 중이던 A 차량이 옆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30m 이내에 정지할 수 있는지 여부
  • A 차량의 좌측 옆부분이 충격을 받았는데 우측 바퀴에만 스키드 마크가 생긴 점, 제동 당시 A 차량의 속도와 조향장치 조작 방법 등

즉, 대법원은 갑작스러운 사고 상황에서 운전자가 할 수 있는 행동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A 차량 운전자에게 과실이 있다고 단정하기 위해서는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내용)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대법원 1983. 8. 23. 선고 83도1328 판결
  • 대법원 1985. 6. 25. 선고 85도784 판결
  • 대법원 1991. 9. 10. 선고 91도1746 판결

이 판례는 갑작스러운 사고 상황에서 운전자의 주의의무를 어디까지 요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비슷한 사고를 당했거나, 가해자로 지목된 경우, 이 판례를 참고하여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내 차선으로 가는데 왜 내 잘못? 차선 근접 운전과 교통사고 책임

자신의 차로로 주행 중이던 운전자가 갑자기 다른 차로에 가까이 붙여 운전했다고 해서 무조건 교통사고의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른 차로의 차량에게 실질적인 위험이나 방해를 초래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차로근접#교통사고#과실#실질적 위험

상담사례

도로 밖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차! 나한테도 책임이 있을까?

도로 밖에서 차가 갑자기 튀어나와 사고가 나더라도 직진 차량은 전방 주시 의무 등 안전운전 의무 위반 시 일부 과실이 인정될 수 있다.

#교통사고#과실비율#안전운전 의무#진입차량

민사판례

중앙선 침범 사고, 누구의 잘못일까?

왕복 4차선 도로에서 상대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는 것을 보았더라도, 상대 차량이 내 차선까지 침범할 것을 예상하고 미리 회피할 의무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단, 상대 차량이 내 차선에 들어온 후에도 충돌을 피할 수 있었는지는 따져봐야 합니다.

#중앙선 침범#회피 의무#예측 가능성#사고

상담사례

고속도로 차선 줄어들 때 사고, 나도 책임이 있을까? (3차로→2차로 합류 사고)

3차로에서 2차로 합류 구간 사고 시, 끼어든 차량의 과실이 더 크지만, 2차로 주행 차량도 안전운전 의무 소홀 시 일부 책임이 있을 수 있다.

#고속도로#차선감소#합류사고#과실비율

민사판례

빙판길 교통사고, 내 잘못도 있을까? 중앙선 침범 사고 시 주의의무에 대해 알아보자

중앙선 침범 사고에서, 내 차선을 지키며 운전하던 운전자도 과속이나 지정차로 위반 등의 과실이 있다면 사고 발생이나 피해 확대에 대한 책임을 일부 부담할 수 있다.

#중앙선 침범#과실 책임#과속#지정차로 위반

민사판례

3차선 도로에서 옆 차선 오토바이와 접촉사고, 과연 자동차 운전자의 잘못일까?

3차선 도로에서 2차선으로 주행 중이던 자동차가 3차선에서 주행하던 오토바이와 충돌한 사고에서, 자동차 운전자에게 오토바이가 차선을 벗어나 충돌할 것을 예견하고 미리 속도를 줄이는 등의 주의의무는 없다는 판결.

#3차선 도로#2차선 주행#오토바이 충돌#예견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