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는 시간을 알려주는 도구입니다. 그런데 '거꾸로 가는 시계'라는 상표를 시계에 붙일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안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상표는 제품의 품질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상표는 단순한 이름표가 아닙니다. 어떤 제품인지, 누가 만들었는지, 그리고 어떤 품질인지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상표 때문에 제품의 품질을 잘못 생각하게 된다면 소비자들은 혼란을 겪을 수 있겠죠? 바로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에서는 상품의 품질을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는 등록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거꾸로 가는 시계'는 품질 오인의 우려가 있다?
대법원은 '거꾸로 가는 시계'라는 상표가 시계의 품질을 오인하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시계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거꾸로 가는 시계'라는 상표를 보면 소비자들은 실제로 거꾸로 가는 시계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제품 설명을 자세히 읽어보면 오해를 풀 수도 있겠지만, 대법원은 일반적인 소비자의 입장에서 판단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모든 소비자가 제품 설명을 꼼꼼히 읽어볼 수는 없겠죠.
대법원의 판단 기준은 '거래 통념'
대법원은 상표가 품질 오인의 우려가 있는지 판단할 때 '거래 통념'을 기준으로 합니다. 거래 통념이란 일반적인 소비자들이 상품에 대해 가지는 상식적인 생각을 말합니다. 시계가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입니다. 따라서 '거꾸로 가는 시계'라는 상표는 이러한 거래 통념에 어긋나기 때문에 품질 오인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과 판례
이 판례는 상표를 등록할 때 제품의 품질과 관련하여 소비자에게 어떤 인상을 주는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재미있거나 독특한 상표라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특허판례
이미 유명 의류 브랜드로 알려진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시계에 사용하려는 경우, 소비자들이 의류 브랜드에서 만든 시계로 오인할 수 있으므로 상표 등록이 거부될 수 있다.
특허판례
이미 유명 의류 브랜드로 인식된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시계에 사용하는 경우, 소비자들이 의류 브랜드와 관련 있는 제품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상표 등록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특허판례
반사 기능을 가진 원단에 표시된 상표는 일반 소비자가 쉽게 알아보기 어려워도, 해당 원단을 사용하는 제조업자들이 출처표시로 인식하고 사용한다면 상표로서의 효력을 가진다.
특허판례
이미 다른 회사가 사용하던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등록하려 할 때, 누가 선사용상표의 진정한 권리자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상표등록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상표를 사용하는 회사가 아니라, 상표 선택, 사용 통제, 품질 관리 등 실질적인 권한을 가진 회사가 권리자로 인정됩니다.
특허판례
특정 표장이 상품의 식별표지로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표장이 기존 등록상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에 대한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소송에서 권리남용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특허판례
이 판례는 상표권 취소심판에서 상표의 '사용'으로 인정되는 범위와 상표 유사 여부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의 수출도 상표 사용으로 인정된다는 점과, 유사상표 사용은 상표 사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