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사정

사건번호:

95후958

선고일자:

199509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 소정의 품질 오인 우려의 판단기준 나. 한글로 "거꾸로 가는 시계"라고 표시하여 구성된 상표가 지정상품인 시계류의 품질을 오인·혼동케 할 우려가 있는 상표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가.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에서 정하고 있는 상품의 품질의 오인을 일으키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란 그 상표의 구성 자체가 그 지정상품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과 다른 성질을 갖는 것으로 수요자를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를 말하고, 어느 상표가 품질 오인을 생기게 할 염려가 있는지의 여부는 일반 수요자를 표준으로 거래통념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나. 본원상표는 한글로 "거꾸로 가는 시계"라고 표시하여 구성된 것이고, 그 지정상품은 손목시계, 벽시계 등 각종 시계류로서 이러한 시계류에 있어서의 품질, 즉 본래적으로 갖추고 있는 성질이란 시간의 계측기구로서의 성질과 더불어 거래통념상 시·분침이 있는 시계의 일반적 속성으로서 "시계 방향으로 돈다"는 성질도 포함되므로 본원상표를 손목시계, 벽시계 등 지정상품에 사용하게 되면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시계가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과는 반대로, 즉 거꾸로 가는 시계로 상품의 품질을 오인·혼동케할 우려가 있다.

참조조문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

참조판례

가.나. 대법원 1990.10.23. 선고 88후1007 판결(공1990,2419), 1992.6.23. 선고 92후124 판결(공1992,2282), 1994.12.9. 선고 94후623 판결(공1995상,496), 1995.5.12. 선고 94후2162 판결(공1995상,2126), 1995.7.28. 선고 95후187 판결(공1995하,2992)

판례내용

【출원인, 상고인】 【상대방, 피상고인】 특허청장 【원심심결】 특허청 항고심판소 1995.4.20. 자 93항원2416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출원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에서 정하고 있는 상품의 품질의 오인을 일으키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란 그 상표의 구성자체가 그 지정상품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과 다른 성질을 갖는 것으로 수요자를 오인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를 말하고, 어느 상표가 품질오인을 생기게 할 염려가 있는지의 여부는 일반 수요자를 표준으로 거래통념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당원 1990.10.23. 선고 88후1007 판결; 1992.6.23. 선고 92후124 판결; 1994.12.9. 선고 94후623 판결 각 참조).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본원상표는 한글로 "거꾸로 가는 시계"라고 표시하여 구성된 것이고, 본원상표의 지정상품은 손목시계, 벽시계 등 각종 시계류로서 이러한 시계류에 있어서의 품질 즉, 본래적으로 갖추고 있는 성질이란 시간의 계측기구로서의 성질과 더불어 거래통념상 시·분침이 있는 시계의 일반적 속성으로서 "시계 방향으로 돈다"는 성질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므로 본원상표를 손목시계, 벽시계 등 지정상품에 사용하게 되면 일반수요자로 하여금 시계가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과는 반대로 즉, 거꾸로 가는 시계로 상품의 품질을 오인·혼동케 할 우려가 있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잘못이 없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출원인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박만호(주심) 박준서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내 브랜드랑 똑같은 상표가 시계에 붙어있다면?!

이미 유명 의류 브랜드로 알려진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시계에 사용하려는 경우, 소비자들이 의류 브랜드에서 만든 시계로 오인할 수 있으므로 상표 등록이 거부될 수 있다.

#유사상표#시계#의류#소비자혼동

특허판례

유명 의류 브랜드 상표, 시계에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이미 유명 의류 브랜드로 인식된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시계에 사용하는 경우, 소비자들이 의류 브랜드와 관련 있는 제품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상표 등록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상표#유사상표#의류#시계

특허판례

빛 반사 원단에 숨겨진 상표, 그 존재를 인정받다

반사 기능을 가진 원단에 표시된 상표는 일반 소비자가 쉽게 알아보기 어려워도, 해당 원단을 사용하는 제조업자들이 출처표시로 인식하고 사용한다면 상표로서의 효력을 가진다.

#반사원단#상표#효력#출처표시

특허판례

내 상표인데 왜 등록이 안되죠? - 상표법 위반 논란에 대한 해석

이미 다른 회사가 사용하던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등록하려 할 때, 누가 선사용상표의 진정한 권리자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상표등록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상표를 사용하는 회사가 아니라, 상표 선택, 사용 통제, 품질 관리 등 실질적인 권한을 가진 회사가 권리자로 인정됩니다.

#상표권#선사용상표#권리자 판단#실질적 권한

특허판례

내 상표, 괜찮을까? 상표 사용과 권리범위 확인에 대한 법원 이야기

특정 표장이 상품의 식별표지로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표장이 기존 등록상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에 대한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소송에서 권리남용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확인대상표장#상표사용#등록상표#권리범위확인소송

특허판례

내 상표, 안 썼다고 뺏길 수 있나요? - 상표 사용과 취소심판에 대한 이야기

이 판례는 상표권 취소심판에서 상표의 '사용'으로 인정되는 범위와 상표 유사 여부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의 수출도 상표 사용으로 인정된다는 점과, 유사상표 사용은 상표 사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상표권#취소심판#상표 사용#O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