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12.10

민사판례

건물 매매와 임차보증금, 알쏭달쏭한 법적 관계 정리!

건물을 사고팔 때, 기존 임차인의 보증금 문제는 항상 골치 아프죠. 최근 대법원 판례를 바탕으로 건물 매매와 관련된 임차보증금 반환, 명도, 유익비 등 헷갈리기 쉬운 법적 관계를 짚어보겠습니다.

1. 건물 매수인의 임차보증금 반환 책임 인정과 법원의 판단

건물을 매수하면서 기존 임차인의 보증금 반환 책임을 떠안았다고 스스로 인정한 경우, 나중에 말을 바꾸기는 어렵습니다. 매수인이 "임대기간 종료 후 건물 명도와 동시에 임차보증금을 주겠다"라고 약속했다면 이는 보증금 반환 책임을 인수했음을 자인한 것으로 봅니다. 이런 상황에서 임차인에게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하는 것은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법원은 매수인 스스로 인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판단했기 때문에 당사자처분권주의나 변론주의 원칙에도 어긋나지 않습니다. (민사소송법 제188조)

2. 조건부 공탁의 효력

임차보증금을 법원에 공탁하면서 "건물 명도 확인서를 제출해야 돈을 찾아갈 수 있다"는 조건을 붙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사실상 명도를 먼저 요구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변제로서의 효력이 없습니다. 즉, 임차인은 건물을 명도하지 않아도 공탁금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민법 제487조, 제491조, 제536조, 공탁법 제9조, 대법원 1979.10.30. 선고 78누378 판결 등)

3. 유익비 청구와 변론 재개

임차인이 건물에 투자한 유익비를 청구하려면 재판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주장해야 합니다. 단순히 변론 재개를 신청한다고 해서 법원이 무조건 받아들여 주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재판 진행 상황 등을 고려하여 변론 재개 여부를 결정합니다. (민사소송법 제132조, 제183조, 대법원 1979.7.24. 선고 79다747,748 판결 등)

4. 가집행 선고의 효력

1심 판결에서 건물 명도와 함께 가집행 선고가 내려진 경우, 항소심에서 특별히 언급이 없더라도 가집행의 효력은 유지됩니다. 따라서 항소심 판결에서 가집행 효력 유지 여부를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았다고 해서 위법은 아닙니다. (민사소송법 제201조)

결론: 건물 매매와 임대차 관계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는 복잡하고 다양합니다. 관련 법률과 판례를 잘 살펴보고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쟁 발생 시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매매 시 임차인의 보증금, 누가 돌려줘야 할까?

건물을 팔 때 새 건물주가 세입자의 보증금을 돌려주는 책임(임대차보증금 반환채무)을 넘겨받더라도, 세입자가 이에 동의하지 않으면 원래 건물주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판결입니다.

#건물매매#임차인#보증금반환채무#면책적 채무인수

민사판례

건물 매매 후 임대차보증금, 누가 돌려줘야 할까?

건물 주인이 바뀌면서 새 주인이 세입자의 보증금 반환 의무를 맡기로 했더라도, 세입자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면 원래 주인에게도 여전히 보증금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건물매매#임차인#보증금반환#채무인수

민사판례

집 팔고 나서 세입자 보증금, 누가 돌려줘야 할까요?

집주인이 집을 팔면서 새 집주인이 세입자의 보증금을 돌려줄 책임을 넘겨받는 경우, 세입자가 이를 알고도 이사 가지 않고 계속 살았다고 해서 무조건 새 집주인과의 계약을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없다. 특히 새 집주인이 빚이 많아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워 보이는 상황이라면 더욱 그렇다.

#보증금#채무인수#임차인#승낙

민사판례

임대차보증금 승계 조건의 부동산 매매, 계약 해제는 가능할까?

매매대금보다 임대차보증금이 더 큰 부동산 매매에서, 매수인이 임대차보증금 반환채무를 계약 체결일에 승계한 것이 아니라 잔금 지급일에 승계하기로 약정한 경우, 매도인은 잔금 지급일 전에 약정해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임대차보증금 승계#잔금 지급일#약정해제권#매매계약 해제

민사판례

전세보증금 돌려받을 권리, 누구에게 있을까? - 임대차 계약과 보증금 반환채권 양도에 관하여

세입자가 다른 사람에게 임대차계약의 권리와 의무를 넘겨줄 때(포괄 양도) 보증금 반환채권도 함께 넘어가는데, 이를 다른 채권자에게 주장하려면 확정일자 있는 통지/승낙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채권자가 압류 등으로 돈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임대차계약#권리의무 포괄 양도#보증금반환채권#대항력

민사판례

임대차 종료 후 임차인의 의무와 손해배상 책임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에도 임차인은 보증금을 돌려받을 때까지 건물을 유치할 수 있지만,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다해야 하며, 이를 어겨 건물이 훼손되면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임대인 명의의 공과금 미납으로 인한 손해도 임차인이 배상해야 한다.

#임대차 종료#임차인#주의의무#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