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9.07.27

민사판례

건물 증축과 근저당권, 누구에게 우선권이 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물 증축과 관련된 복잡한 법률 이야기를 쉽게 풀어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사례는 기존 건물에 증축을 했을 때, 기존에 설정된 근저당권이 증축 부분에도 효력이 미치는지, 그리고 여러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을 때 어떤 근저당권이 우선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한 회사가 기존 공장 건물에 증축을 진행했습니다. 이 회사는 이미 기존 건물에 대해 여러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고 근저당권을 설정해 둔 상태였습니다. 증축 이후, 기존 근저당권자들은 증축 부분에도 자신의 근저당권 효력이 미친다는 변경등기를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러 은행이 서로 자신의 근저당권이 우선한다고 주장하면서 발생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과 별개의 독립된 건물인지 아니면 기존 건물의 일부인지에 따라 판단이 달라진다고 설명했습니다.

1. 증축 부분이 독립된 건물인 경우

만약 증축 부분이 독립된 건물이라면, 기존 건물에 설정된 근저당권은 증축 부분에 효력이 미치지 않습니다. 단순히 '증축으로 인한 건물표시변경등기'를 했다고 해서 기존 근저당권이 자동으로 증축 부분까지 확장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집합건물의소유및관리에관한법률 제1조, 민법 제215조, 부동산등기법 제15조 제1항, 제101조 참조) 증축 부분을 담보로 하려면 새롭게 근저당권 설정을 해야 합니다.

2.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의 일부인 경우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의 일부로 판단되면, 기존에 설정된 근저당권은 별도의 변경등기 없이도 증축 부분에 효력이 미칩니다. (민법 제358조, 부동산등기법 제63조 참조) 따라서 '근저당권 효력변경등기'는 불필요하며, 설사 했다 하더라도 아무런 효력이 없습니다. 이 경우, 여러 근저당권이 존재한다면, 등기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됩니다. 먼저 등기된 근저당권이 우선권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건물 증축 후 단순 건물표시변경등기만으로는 기존 근저당권이 증축 부분에 효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증축 부분이 독립된 건물인지, 기존 건물의 일부인지가 중요합니다.
  • 기존 건물의 일부로 판단되면 기존 근저당권 효력이 미치고, 등기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집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1993. 3. 9. 선고 92다41214 판결
  • 대법원 1996. 8. 20. 선고 94다44705, 44712 판결
  • 대법원 1999. 7. 27. 선고 98다35020 판결

이처럼 건물 증축과 근저당권은 생각보다 복잡한 법률 문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건물 증축했는데, 내 근저당권은 어떻게 되나요? 🤔

건물 증축 후 건물표시변경등기 시, 증축 부분은 기존 건물과 동일하게 취급되어 기존 저당권 순위가 유지되므로, 별도의 변경등기와 무관하게 기존 저당권자의 우선순위가 그대로 적용된다.

#건물 증축#저당권#건물표시변경등기#우선순위

상담사례

세입자가 건물 증축했는데, 은행 빚도 같이 갚아야 할까요? (저당권 효력 범위)

세입자의 건물 증축은 그 독립성(구조/용도/거래가능성/증축의도)에 따라 기존 저당권 효력 범위 밖에 있을 수 있으나, 집주인과의 사전 약정이 중요하다.

#저당권#증축#독립성#약정

세무판례

건물 증축 부분의 소유권, 어떻게 정해질까요?

여러 회사가 공동으로 소유한 건물에 증축을 한 경우, 증축 부분에 대해 각 회사가 각자의 공간에 대한 구분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입니다. 법원은 단순히 증축 부분을 각자 사용하기로 내부 합의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구분소유권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건물 증축#구분소유권#공유지분#취득세

민사판례

건물 증축과 저당권 효력 범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

이 판례는 건물의 증축 부분이 기존 건물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어떤 건물이 다른 건물의 종물로 인정되어 저당권의 효력이 미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물리적으로 붙어있는 것뿐 아니라, 용도와 기능, 경제적 효용, 소유자의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증축#종물#부합#저당권

민사판례

건물 증축과 경매, 알아두면 쓸모있는 부동산 상식!

건물 증축 시, 증축 부분이 구조상·이용상 독립적이더라도 소유자가 구분하려는 의사가 없으면 별도의 구분소유권 객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또한, 일괄경매 시에는 각 부동산의 처분대금을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각 부동산별로 최저경매가격을 정해야 합니다.

#증축#구분소유권#일괄경매#최저경매가격

민사판례

건물 증축 및 합체 후, 기존 저당권은 어떻게 될까요?

여러 개의 구분된 건물이 증축, 개축, 합체되어 하나의 건물이 된 경우, 이전 건물에 설정된 저당권은 새로운 건물의 지분에 대한 권리로 변경되며, 이전 건물에 대한 경매는 진행할 수 없다.

#건물 증개축#합체#저당권#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