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01.21

민사판례

건물만 샀는데 땅도 쓸 수 있을까? -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다를 때, 건물 주인이 땅을 사용할 권리가 있는지 궁금하신 적 있으신가요? 바로 "법정지상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건물만 매입했을 때에도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이 인정되는지, 그리고 법정지상권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건물만 사도 땅 쓸 권리가 생길까?

네, 생깁니다! 원래 땅과 건물 주인이 같았는데, 건물만 팔았더라도 건물을 철거하기로 한 특별한 약속이 없다면 건물 주인은 땅 주인에게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즉, 건물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땅을 사용할 권리가 생기는 것이죠. (민법 제366조)

2. 어떤 건물에 법정지상권이 인정될까?

법정지상권은 아무 건물에나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견고한 건물"이어야 하는데요, 이는 외부 충격이나 화재에 대한 저항력이 있고, 해체하기 어려운 건물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지어진 건물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판단 기준은 건물의 재질, 구조, 내구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민법 제280조 제1항 제1호)

3. 건물을 새로 짓거나 고치면 법정지상권은 어떻게 될까?

기존에 있던 건물에 법정지상권이 인정된 후에 건물을 증축, 개축하거나 아예 새로 짓더라도 법정지상권은 계속 인정됩니다. 하지만, 그 범위는 기존 건물을 유지·사용하는 데 필요한 땅으로 한정됩니다. 새로 지은 부분까지 땅을 사용할 권리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민법 제366조)

4. 이전 땅 주인이 땅을 사용했던 기간도 내 점유 기간에 포함될까?

땅을 일정 기간 점유하면 시효취득을 통해 땅의 소유권을 얻을 수 있습니다(민법 제245조 제1항). 하지만 원래 땅과 건물 주인이 같았다면, 그 기간은 점유 기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땅과 건물 주인이 달라진 시점부터 점유 기간을 계산해야 합니다.

관련 판례

  • 대법원 1995. 7. 28. 선고 95다9075, 9082 판결
  • 대법원 1988. 4. 12. 선고 87다카2404 판결
  • 대법원 1990. 7. 10. 선고 90다카6399 판결
  • 대법원 1991. 4. 26. 선고 90다19985 판결
  • 대법원 1993. 6. 25. 선고 92다20330 판결

법정지상권은 복잡한 개념이지만, 땅과 건물의 소유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여 법정지상권과 관련된 문제에 현명하게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만 샀는데 땅도 내 땅이라고?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포기했을 수도 있어요!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같다가 건물만 팔면서 땅은 임대하기로 계약하면, 건물 주인은 땅을 계속 쓸 수 있는 법정지상권을 포기한 것으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법정지상권#포기#건물매매#토지임대

민사판례

건물과 땅 주인이 다를 때,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그 위의 건물 주인이 같았다가 매매 등으로 달라진 경우, 건물 철거 약정이 없으면 건물 주인이 땅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권리(관습법상 법정지상권)가 인정된다는 기존 대법원 판례를 유지한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효력 유지#대법원 판례#건물 철거 약정

상담사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건물 주인은 그대로?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미등기 건물을 함께 판 경우, 건물 소유자가 땅 주인이 바뀌었다고 해서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을 주장하여 땅 사용권을 얻기는 어렵다.

#법정지상권#미등기건물#토지경매#소유권이전

민사판례

땅 주인과 건물 주인, 꼭 같아야 할까? 땅 사용 범위와 건물 범위도 꼭 같아야 할까?

땅 사용 권리(지상권)를 가진 사람과 그 땅 위 건물 등(지상물)의 소유자가 꼭 같을 필요는 없고, 지상권 범위와 매매되는 지상물 범위도 다를 수 있다.

#지상권#지상물#소유권분리#범위

상담사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내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건물 소유주가 서류 위조 등 불법적인 이유로 달라진 경우, 건물주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없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토지 건물 소유자#적법한 원인#원인 무효

민사판례

건물 샀다고 땅까지 내 땅? 관습상 법정지상권, 제대로 알고 갑시다!

건물만 사면 땅 사용 권리(관습상 법정지상권)도 자동으로 넘어오는 건 아니다. 하지만 건물 산 사람은 이전 건물주를 대신해서 땅 사용 기간 연장(갱신청구권)을 요구할 수 있다.

#관습상 법정지상권#양도#갱신청구권#대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