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11.13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로 인한 지목변경과 개발부담금, 그리고 납부고지서의 하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허가로 인한 지목 변경 시 개발부담금 부과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꽤 복잡한 내용이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사건의 개요

원고는 논(田)으로 지목된 토지에 창고를 짓기 위해 건축허가를 받았고, 창고가 완공되어 사용검사까지 받았습니다. 그런데 창고 건축으로 인해 토지의 지목이 사실상 대지(垈)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달성군수(피고)는 원고에게 개발부담금을 부과했고,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건축허가를 받아 건물을 지었을 뿐, 토지에 대한 별도의 물리적 개발행위(땅을 파거나 흙을 쌓는 등의 행위)가 없었는데도 개발부담금을 내야 하는가?
  2. 개발부담금 부과의 기준 시점은 언제인가? 그리고 관련 법령은 유효한가?
  3. 개발부담금 산출 근거가 없는 납부고지서는 잘못된 것인데, 이전에 받은 예정변경통지서로 이러한 잘못이 보완될 수 있는가?

법원의 판단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1. 건축허가로 인한 지목변경은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이다. 건축법에 따른 건축허가를 받아 건물을 지었고, 그 결과 토지의 지목이 사실상 변경되었다면, 실제로 땅을 파거나 흙을 쌓는 등의 물리적 개발행위가 없었더라도 개발부담금을 부과해야 한다.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 제5조 제1항 제10호, 구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시행령 제4조 [별표 1]의 10호)
  2. 개발부담금 부과 종료 시점은 건축물 사용검사일 또는 임시사용승인일이다. 토지 개발과 건축을 함께 하는 경우, 개발부담금 부과 종료 시점은 건축물 사용검사일이다. 만약 사용검사 전에 임시사용승인을 받았다면, 임시사용승인일이 기준이 된다. 관련 법령은 유효하다.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 제5조 제1항 10호, 제9조 제3항, 구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시행령 제4조 [별표 1]의 10, 제7조 제1항 [별표 2]의 10, 제8조, 건축법 제18조, 대법원 1998. 7. 10. 선고 97누20946 판결)
  3. 예정변경통지로 납부고지서의 하자가 보완될 수 있다. 납부고지서에 개발부담금 산출 근거가 없더라도, 이전에 산출 근거가 포함된 예정변경통지를 받았다면 납부고지서의 하자는 보완된 것으로 본다.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 제15조, 개발이익환수에관한법률시행령 제13조, 대법원 1993. 7. 13. 선고 92누13981 판결, 대법원 1994. 3. 25. 선고 93누19542 판결, 대법원 1995. 6. 29. 선고 95누2326 판결, 대법원 1997. 12. 26. 선고 97누9390 판결)

결론

결국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피고인 달성군수의 개발부담금 부과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건축허가를 받아 건물을 지으면서 지목이 사실상 변경된 경우, 토지에 대한 직접적인 물리적 개발행위가 없더라도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이 판결은 건축허가와 개발부담금 부과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토지 이용 계획을 세울 때, 이러한 법적 내용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건물 짓고 지목 바뀌면 개발부담금 내야 할까?

건물 신축으로 인해 토지의 지목이 변경되는 경우, 토지에 대한 별도의 물리적 개발행위(땅파기, 흙쌓기 등) 없이도 개발부담금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

#개발부담금#건축#지목변경#불로소득

일반행정판례

땅을 파헤치지 않고 건물만 지어도 개발부담금을 내야 할까?

건물을 지어서 땅의 용도가 바뀌면, 땅을 파거나 흙을 쌓는 등의 직접적인 형질 변경 공사가 없었더라도 개발부담금을 내야 할 수 있습니다.

#개발부담금#지목변경#건축물 건축#형질변경

일반행정판례

밭에 건물 지으면 개발부담금 내야 할까? 지목변경과 개발부담금에 대한 이야기

논밭(전)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대지처럼 쓰이던 땅에 건물을 지어 정식으로 대지로 지목 변경한 경우, 개발부담금을 내야 하는지 여부와 개발부담금 계산 기준에 대한 판례입니다.

#개발부담금#지목변경##

일반행정판례

도시계획구역 내 농지 형질변경과 개발부담금

도시계획구역 안에 있는 농지의 형질을 변경할 때는 개발부담금을 내야 한다. 개발부담금 계산은 실제로 형질 변경 허가를 받은 땅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도시계획구역#농지#형질변경#개발부담금

일반행정판례

창고 신축하면 무조건 개발부담금 내야 할까?

단순히 창고를 짓고 지목을 변경했다고 해서 무조건 개발부담금을 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토지 형질 변경으로 땅값이 오를 만한 토지 개발 사업을 했을 때만 개발부담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개발부담금#창고 신축#지목 변경#토지 형질 변경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와 개발부담금 부과 시점, 그리고 개발이익 환수에 대한 여러 쟁점들

건축허가를 받아 개발제한구역 내 땅에 건물을 지은 경우, 토지 형질 변경 허가 등을 따로 받지 않았더라도 개발부담금을 내야 하며, 그 시작 시점은 건축허가일, 종료 시점은 건축물 사용검사일(또는 임시사용승인일)이다. 또한, 개발제한구역 내 개발이익에도 부담금이 부과되며, 기초공제나 사후 가격 하락에 따른 환급 규정이 없더라도 위헌이 아니다.

#개발부담금#부과시점#건축허가일#사용검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