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9.04.13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변경, 어디까지 허용될까? - 사기죄 기망행위 추가 사례

피고인이 사기죄로 기소되었는데, 재판 중 검사가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습니다. 과연 어떤 경우에 공소장 변경이 허용되는 걸까요? 오늘은 기망행위 추가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합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위조된 어음을 사용하여 금융기관 직원을 속이고 돈을 편취한 혐의(사기죄)로 기소되었습니다. 검사는 처음에는 피고인이 위조된 어음을 진짜처럼 제시하며 거짓말을 했다는 내용으로 기소했는데, 재판 과정에서 "피고인은 사실 빚이 많고 재산에도 담보가 설정되어 있어 어음을 할인받더라도 갚을 능력이 없었다"는 내용을 추가로 기재하여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습니다. 즉, 기존의 거짓말 외에 '갚을 능력이 없다는 점을 숨긴 것'도 기망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쟁점: 기망행위 추가는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치는가?

1심 법원은 검사의 공소장 변경 신청을 기각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를 뒤집었습니다.

핵심은 형사소송법 제298조 제1항입니다. 이 조항은 검사가 법원의 허가를 얻어 공소장에 기재된 공소사실을 변경할 수 있지만,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한도"에서만 허용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이 사건에서 검사가 추가한 기망행위는 "피고인이 어음 할인을 받을 당시 돈을 갚을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는 점"으로, 기존 공소사실(위조 어음 제시)과 동일한 사기 사건에 대한 '기망행위의 방법'을 추가한 것에 불과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사건의 핵심 내용이 바뀐 것이 아니므로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75. 10. 23. 선고 75도2712 판결 참조)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검사의 공소장 변경 신청을 불허한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공소장 변경은 허용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판례입니다.

결론

이 판례는 검사가 공소장의 기망행위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공소사실의 동일성'이라는 기준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단순히 기망행위의 방법을 추가하는 것은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사기죄 공소장 변경, 어디까지 허용될까?

처음 기소된 사기 사건에서 검사가 공소장 변경을 통해 피해자와 피해 금액을 추가했는데, 법원이 이를 허용하고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됐다. 왜냐하면 추가된 내용은 원래 사건과 "기본적인 사실관계"가 달라서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인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소장변경#피해자추가#피해금액추가#공소사실동일성

형사판례

필로폰 교부인가, 사기인가? 공소장 변경의 한계

검사가 피고인의 필로폰 교부 혐의에 대해 사기 혐의를 예비적으로 추가하는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으나, 대법원은 두 혐의의 사실관계가 근본적으로 달라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친다고 판단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했습니다. 즉, 공소장 변경은 기존 공소사실과 동일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는 것입니다.

#공소장변경#공소사실의 동일성#필로폰 교부#사기

형사판례

검사가 공소장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을까? - 공소장 변경의 한계

검찰이 재판 중 공소장을 변경할 수 있지만, 원래 공소사실과 같은 사건이라고 볼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본 판례는 보이스피싱 사기 사건에서 검찰이 재판 도중 '범죄단체 조직' 혐의를 추가한 것이 공소사실 동일성을 벗어난 변경이라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했습니다.

#공소장변경#공소사실동일성#보이스피싱#범죄단체조직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변경, 언제까지 허용될까? - 공소사실 동일성에 대한 이야기

검사가 재판 중 공소장 내용을 변경하려면 법원의 허가가 필요한데, 이때 '공소사실의 동일성'이 유지되어야 허가됩니다. 이 판례는 공소사실의 동일성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판단하는지 보여줍니다.

#공소장변경#공소사실동일성#컴퓨터등사용사기#전자서명법위반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변경, 어디까지 허용될까?

검사가 공소장에 기재된 죄명이나 적용 법조를 변경하려면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법원은 변경 전후 공소사실의 핵심 내용이 동일하다면 허가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관세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건에서 검사가 목재이용법 위반으로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는데, 원심이 이를 거부한 것을 대법원이 뒤집은 사례입니다.

#공소장변경#공소사실동일성#죄명변경#법조변경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 없이도 유죄? 기본적 사실 동일성의 의미

피고인의 방어권에 문제가 없다면, 공소장을 변경하지 않고도 공소사실과 조금 다르게 사실을 인정해 유죄 판결을 내릴 수 있다.

#공소장변경#사실인정#유죄#방어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