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6.07.29

형사판례

게임 점수 저장 카드, 사행성 게임으로 처벌될 수 있다?

게임을 하면서 얻은 점수를 카드에 저장하고, 이 카드를 다른 사람에게 팔거나 사서 게임을 이어 할 수 있다면? 편리해 보이지만, 이런 행위가 불법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게임 점수 저장 카드와 관련된 사행성 게임 문제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행성 게임, 뭐가 문제일까요?

게임산업법은 게임물을 이용한 도박이나 그 밖의 사행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제28조 제2호). 여기서 '사행행위'란 운에 따라 돈을 잃거나 딸 수 있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게임 결과가 우연에 의해 결정되고, 그 결과로 재산상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한다면 사행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게임 점수 카드, 왜 사행성 게임으로 이어질까요?

게임에서 얻은 점수를 저장한 카드가 다른 사람에게 돈을 받고 거래될 수 있다면, 이 카드는 단순한 점수 저장 도구를 넘어 경제적 가치를 지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게임 점수를 얻기 위해 게임을 하는 행위가 마치 도박처럼 변질될 수 있습니다. 즉, 게임의 결과(점수)가 우연에 의해 결정되고, 그 결과물(점수 카드)이 재산상 이익(현금 거래)으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대법원은 어떻게 판단했을까요?

이번 대법원 판례에서는 게임 제공업자가 게임 점수를 저장한 멤버십 카드를 발급하고, 이 카드가 실제로 현금 거래되는 상황을 사행행위로 판단했습니다. 카드에 이름과 전화번호 등 간략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더라도, 실제로 카드 소지자를 확인하는 절차가 없다면 누구든 카드를 사용하여 게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재산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카드를 발급한 게임 제공업자는 게임산업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 게임 결과가 우연에 의해 결정되고, 그 결과물이 재산상 이익으로 연결될 수 있다면 사행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게임 점수를 저장한 카드가 현금 거래된다면, 게임 제공업자는 게임산업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카드에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더라도, 실질적인 본인 확인 절차가 없다면 사행성을 조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8조 제2호, 제44조 제1항 제1호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게임 점수를 저장해주는 쿠폰, 불법일까요?

게임 결과로 얻은 점수를 적립하고, 이를 나중에 게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쿠폰을 발행하는 행위는 게임산업법이 금지하는 '경품 제공'에 해당한다.

#게임 점수#쿠폰#경품#게임산업법 위반

형사판례

'바다이야기' 게임장 운영, 어떤 처벌 받을까? - 게임산업법 위반과 사행성 게임물

이 판례는 게임산업법상 '사행성 게임물'의 정의와 이를 이용한 영업행위에 대한 처벌 가능성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게임기 자체에서 돈이나 경품이 나오는 경우에만 '사행성 게임물'로 보고, 게임 결과물을 별도로 환전해주는 행위는 게임산업법 위반으로 처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반면, 사행성 게임물을 이용하게 하거나 경품을 제공하는 행위 자체는 게임산업법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점, 사행성 게임물 제공 영업의 무허가 운영 역시 게임산업법 위반이 아니라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사행성 게임물#게임산업법 위반#게임 결과물 환전#경품 제공

형사판례

사행성 게임 경품 금지, 합법? 위법?

문화관광부가 사행성이 우려되는 게임물에 대해 경품 제공을 금지하는 고시를 제정했는데, 이것이 법에 위반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대법원은 해당 고시가 법률의 위임 범위 내에서 정당하게 제정된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사행성 게임물#경품 제공 금지#고시#합법

형사판례

게임장 불법 경품 제공, 사행성 게임장 처벌 가능할까?

게임물 자체가 사행성이 없더라도, 불법 경품이나 환전을 제공하여 사행심을 조장하는 게임장 운영은 사행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불법 경품#환전#사행행위#게임장

형사판례

사행성 게임장 운영, 게임산업법 위반일까?

사행성 게임물을 이용한 영업은 게임산업법상 게임제공업에 해당하지 않아 허가 없이 영업하거나 경품을 제공해도 게임산업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지만, 게임 결과물 환전은 처벌 가능하다.

#사행성 게임물#게임산업법#게임제공업#허가

형사판례

게임장 경품, 법대로 하세요! - 사행성 게임물과 경품 제공 제한에 대한 법원의 판단

옛날 게임법(음반·비디오물 및 게임물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경품 제공 기준에 따라, 문화관광부가 사행성이 높다고 판단한 게임에 대해 경품 제공을 금지하는 고시를 만들었는데, 이 고시가 게임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게임 경품#제공 제한 고시#위법성#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