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4.20

세무판례

결손금 있는 회사에 재산 증여시, 주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을까? (조세법률주의 위반 판례 해설)

안녕하세요! 오늘은 결손금이 있는 회사에 재산을 증여했을 때, 주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조세법률주의 원칙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이니 집중해주세요!

사건의 개요

결손금이 있는 회사의 주주들과 특수관계에 있는 사람이 그 회사에 주식을 증여했습니다. 세무서는 증여받은 회사의 주주들이 이익을 얻었다고 간주하고 증여세를 부과했습니다. 주주들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 세무서가 적용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조항이 조세법률주의 원칙에 위배되는지 여부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해당 시행령 조항이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조세법률주의 원칙: 헌법(제38조, 제59조)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요건은 법률로 정해야 하고, 세법을 해석할 때에도 함부로 확대해석하거나 유추적용해서는 안 됩니다.
  2. 위임입법의 한계: 법률에서 시행령 등에 세부 내용을 위임하더라도, 위임받은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 됩니다. (헌법 제95조)
  3. 시행령 조항의 문제점: 법률에서는 주주가 "이익을 얻은 경우"에만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규정했는데, 해당 시행령은 회사에 재산이 증여되면 주주가 이익을 얻은 것으로 "간주"하여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했습니다. 이는 주주가 실제로 이익을 얻었는지와 관계없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므로, 법률의 취지와 위임 범위를 벗어난 것입니다.
  4. 법률 개정의 효력: 비록 나중에 법률이 개정되어 시행령에 위임하는 규정이 생겼더라도, 여전히 해당 시행령 조항은 법률의 취지와 위임 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무효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헌법 제38조, 제59조, 제95조
  •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10. 1. 1. 법률 제991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제1항, 제2항
  •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11. 12. 31. 법률 제111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항, 제3항, 제31조 제1항, 제41조 제1항
  •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2014. 2. 21. 대통령령 제251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1조 제6항
  • 대법원 2007. 5. 17. 선고 2006두8648 전원합의체 판결
  • 대법원 1995. 6. 30. 선고 93추83 판결
  • 대법원 2009. 3. 19. 선고 2006두19693 전원합의체 판결

결론

이 판결은 조세법률주의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세금 부과는 법률에 근거해야 하고, 행정기관은 법률에서 정한 범위를 벗어나 자의적으로 세금을 부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회사에 대한 재산 증여와 관련된 세금 문제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였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결손 없는 회사에 재산 증여 시 주주에게 증여세 부과할 수 있을까?

결손이 없는 회사에 누군가 주식을 증여했을 때, 기존 주주가 얻는 이익에 대해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증여받은 회사가 결손이 없고, 해당 증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해 이미 법인세가 납부되었다면, 기존 주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주식증여#결손없는법인#주주이익#증여세

세무판례

결손 없는 회사에 부동산 증여, 주주에게 증여세 과세할 수 있을까?

이월결손금 없이 증여 당시 사업연도에만 결손금이 있는 법인에 증여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법인이 증여세 부과 대상인 '특정법인(결손금 등이 있는 법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증여일까지의 실제 손익을 따져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사업연도 말에 결손금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특정법인으로 보아 증여세를 부과할 수는 없다는 의미입니다.

#증여세#특정법인#결손금#증여일

세무판례

결손금 있는 회사에 인척이 부동산 증여하면 증여세 내야 할까?

부실 기업에 대한 친인척의 부동산 증여로 인해 기업 주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한 처분은 위법하다. 증여로 인해 주주가 실제로 이익을 얻었는지와 관계없이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한 시행령 조항은 법률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 무효이기 때문이다.

#증여세#위법#시행령#무효

세무판례

회사에 돈 빌려줬다고 증여세를 내라고? 🤨

최대주주가 있는 회사에 개인이 돈을 무이자로 빌려준 경우, 그 회사가 이익을 얻었더라도 해당 개인에게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은 위법하다. 세금을 매기려면 법률에 명확한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관련 시행령 조항이 법률에서 정한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이다.

#무상대부#증여세#위법#시행령

세무판례

증여세와 양도소득세, 이중과세일까? 그리고 결손 없는 법인에 재산 증여 시 증여세는?

결손이 없거나 적은 법인에 누군가 재산을 증여했을 때, 그 법인의 주주가 얻게 되는 이익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이는 증여세법에서 결손 법인에 대한 증여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결손없는 법인#증여#주주 이익#증여세 불가

세무판례

결손 없는 법인에 대한 증여와 증여세 과세

결손이 없거나 결손금보다 적은 금액의 증여를 받은 법인의 주주가 얻은 이익에 대해서는, 해당 법인이 이미 법인세를 납부했을 경우, 주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

#증여세#법인#주주#결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