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10.11

일반행정판례

공금 횡령 외 다른 징계 사유가 함께 있을 때, 퇴직급여 삭감될까?

공무원이 잘못을 저질러 징계를 받으면 퇴직급여를 깎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공금 횡령이나 유용은 퇴직급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비리 행위인데요. 그런데 만약 공금 횡령 외에도 다른 징계 사유가 함께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공무원 퇴직급여 제한, 법은 어떻게 말할까?

구 공무원연금법(2009. 12. 31. 법률 제9905호로 개정되기 전) 제64조 제1항 제3호는 "금품 및 향응수수, 공금의 횡령·유용으로 징계 해임된 때"에는 퇴직급여와 퇴직수당을 감액하여 지급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공금 횡령·유용으로 해임되면 퇴직급여를 덜 받게 되는 것이죠.

사례 소개: 불륜, 거짓 출장, 그리고 공금 유용

한 초등학교 교장 선생님이 불륜 관계에 있던 여성과 벤처농업박람회에 동행하면서 이를 출장으로 처리하여 출장비를 수령했습니다. 또한, 학교 전화를 사적으로 이용하기도 했죠. 이러한 사실들이 밝혀지면서 교장 선생님은 해임 처분을 받았고, 공무원연금공단은 퇴직급여를 감액하여 지급했습니다.

쟁점: 공금 유용이 주된 징계 사유인가?

이 사건의 핵심은 교장 선생님의 해임 사유 중 공금 유용이 주된 사유였는지 여부입니다. 만약 공금 유용이 주된 사유가 아니라면 퇴직급여 감액은 부당할 수 있기 때문이죠.

법원의 판단: 불륜, 품위 유지 의무 위반이 주된 해임 사유

법원은 교장 선생님의 해임이 주로 불륜 관계 및 품위 유지 의무 위반 때문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공금 유용은 부수적인 사유였고, 그 자체만으로는 해임에 이를 정도는 아니라고 본 것입니다. 따라서 공무원연금법 제64조 제1항 제3호에서 말하는 '공금의 횡령·유용으로 징계 해임된 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고, 퇴직급여 감액은 부당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핵심 정리:

공무원이 공금 횡령·유용 외 다른 징계 사유와 함께 해임된 경우, 공금 횡령·유용이 주된 해임 사유가 아니라면 퇴직급여가 감액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법원은 입법 목적, 규정의 연혁,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참고) 이 글에서 소개된 판례는 서울고등법원 2011. 4. 29. 선고 2010누27518 판결이며, 대법원에서도 이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의 공금 유용과 퇴직급여 감액

공무원이 청사 신축 공사비를 허위로 부풀려 사적으로 사용한 경우, 이는 공금 유용에 해당하여 퇴직급여가 감액될 수 있다.

#공무원#공사대금 허위 부풀리기#공금 유용#퇴직급여 감액

일반행정판례

공무원의 금품 수수와 퇴직급여 감액, 그 기준은?

공무원이 금품 및 향응 수수로 해임되었을 때 퇴직급여를 감액하는 법 조항의 해석에 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금품을 받았다고 무조건 감액되는 것이 아니라, 공무원의 지위를 이용했고 청렴의무를 위반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공무원이 지위와 관련 없이 사기로 돈을 편취한 것이므로 퇴직급여 감액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공무원#금품수수#퇴직급여 감액#공무원 지위 이용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퇴직급여 감액, 알고 계셨나요?

재직 중 범죄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공무원은 직무 관련성과 무관하게 퇴직급여가 감액되며, 퇴직 후 부과된 환수금은 퇴직연금에서 공제할 수 없다.

#공무원#퇴직급여#감액#환수금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횡령과 당연퇴직: 시간의 경계에 대하여

개정된 국가공무원법 시행 전후에 걸쳐 저지른 범죄 행위가 포괄일죄(여러 개의 행위가 하나의 죄를 구성하는 것)로 처벌된 경우, 법 시행 후에 해당하는 범죄 부분만 따로 떼어내 당연퇴직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공무원#당연퇴직#포괄일죄#법 시행 시점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횡령 등 여러 죄로 벌금형 받으면 무조건 당연퇴직?

공무원이 횡령죄 등과 다른 죄를 함께 저질러 하나의 벌금형을 받았다면, 그 벌금형이 300만원 이상이더라도 횡령죄 등으로 인한 공무원 당연퇴직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공무원#횡령죄#경합범#벌금형

일반행정판례

해임 기간 중 범죄, 퇴직급여에 영향 줄까?

해임되었다가 나중에 복직된 공무원이 해임 기간 중 저지른 범죄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았더라도, 해임 기간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었으므로 공무원연금법에 따른 퇴직급여 지급 제한 대상이 아니다.

#해임#범죄행위#공무원연금#지급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