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03.10

민사판례

공무원 유족보상금과 구상권, 그 범위에 대하여

공무원이 공무 중 사고로 사망하면 유족에게는 여러 종류의 지원이 제공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유족보상금인데요, 이 유족보상금은 단순히 유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공무상 사망으로 인한 손실을 보상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치 교통사고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손해배상을 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런데 만약 제3자의 불법행위로 공무원이 사망한 경우, 이미 유족보상금을 지급한 국가(공무원연금관리공단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가해자에게 이미 지급한 금액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구상권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국가는 가해자에게 얼마까지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판례는 그 범위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1. 위자료는 구상 대상이 아닙니다.

유족보상금은 실질적인 손해를 보전하는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는 구상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국가는 가해자에게 유족에게 지급된 위자료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 (대법원 1998. 11. 19. 선고 97다36873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2. 구상 범위는 실제 지급된 유족보상금 한도입니다.

국가는 유족에게 지급된 유족보상금을 초과하여 가해자에게 구상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유족보상금으로 1억 원을 지급했는데, 가해자에게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액이 1억 5천만 원이라 하더라도 국가는 1억 원까지만 구상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법 제33조 제2항)

3. 구상 대상은 수급권자의 손해배상 채권입니다.

국가가 가해자에게 직접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이 아니라, 유족이 가해자에게 가지는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신 행사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유족이 가해자에게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액이 유족보상금보다 적다면, 국가 역시 그 금액만큼만 구상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1987. 7. 21. 선고 86다카2948 판결, 1997. 6. 27. 선고 95다18772 판결 등 참조)

이번 판례는 공무원 유족보상금과 관련된 구상권의 범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국가와 유족, 그리고 가해자 사이의 권리관계를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무원연금법 제42조 제3호, 제33조 제1항, 제2항을 함께 참고하시면 더욱 깊이 있는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무원 유족보상금과 손해배상, 이중으로 받을 수 있을까?

공무원이 사고로 사망했을 때, 유족에게 지급되는 유족보상금과 가해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손해배상의 관계를 다룬 판례입니다. 유족보상금을 지급한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은 가해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지만, 그 범위는 유족보상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 유족의 손해배상청구권으로 한정되며, 위자료 청구권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일실퇴직연금을 계산할 때 유족연금을 공제해야 합니다.

#공무원#유족보상금#손해배상#공무원연금관리공단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유족보상금, '구상' 결정에 대한 소송은 가능할까?

공무원이 공무 중 사망했을 때, 유족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한 결정에서 '구상' 부분은 소송으로 다툴 수 없다.

#공무원#유족보상금#구상권#소송

민사판례

공무원 유족연금과 손해배상, 이중으로 받을 수 있을까?

업무 중 사고로 사망한 공무원의 유족이 받는 유족연금은 손해배상금에서 공제되지 않습니다. 즉, 가해자 측은 유족연금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손해배상의 전체 금액을 지급해야 합니다.

#공무원#유족연금#손해배상금#공제불가

상담사례

공무원의 실수, 국가가 책임져야 할까? 구상권에 대해 알아보자!

공무원이 경과실로 배상금을 선지급한 경우, 국가에 구상권을 행사하여 배상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공무원#실수#국가배상#구상권

민사판례

공무원 재직 중 사망 시 퇴직금 손해배상은 어떻게 계산될까?

업무 중 사고로 사망한 공무원의 유족들이 받을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공무원연금에서 받는 유족급여를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퇴직금을 기준으로 계산하지만, 유족급여를 받는 만큼 이중으로 보상받지 않도록 손해배상액에서 빼야 공정하다는 내용입니다.

#공무원#사망#손해배상#유족급여

민사판례

공무원 퇴직연금과 유족연금, 그리고 손해배상

공무원 퇴직연금을 받던 사람이 사고로 사망했을 때, 유족이 손해배상을 청구하면 사망으로 인해 받지 못하게 된 퇴직연금(일실퇴직연금)을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족이 유족연금도 받는다면, 이중으로 돈을 받는 것이 되므로 일실퇴직연금에서 유족연금을 빼고 계산해야 합니다. 유족 중 일부만 유족연금을 받더라도, 남은 금액은 모든 상속인이 법대로 나눠 상속합니다.

#공무원#퇴직연금#사망#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