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공사대금, 제때 못 받을 수도 있다?! 하도급 대금 직불 동의서 함정 피하기!

자재 납품했는데 공사대금을 못 받는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죠. 특히 건설업계에서는 하도급 업체가 대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런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하도급 대금 직불 동의서"라는 제도가 있는데요, 잘못 활용하면 오히려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A 회사(자재 납품업체)는 B 회사(수급인/하도급업체)에게 공사 자재를 공급했습니다. A 회사는 대금을 확실히 받기 위해 도급인인 C 회사에게 "자재대금을 A 회사에 직접 지급하겠다"는 내용의 확인서(제1확인서)를 B 회사를 통해 받아오도록 요구했습니다. 그런데 C 회사는 제1확인서를 써주는 대신, B 회사에게 "만약 약속한 날짜까지 공사를 완료하지 못하면 제1확인서를 무효로 하겠다"는 내용의 확인서(제2확인서)를 요구했습니다. B 회사는 어쩔 수 없이 제2확인서에 동의하고 C 회사로부터 받은 제1확인서를 A 회사에 전달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B 회사는 C 회사에 대한 공사대금 채권을 A 회사에 양도한 셈이 되었죠.

여기서 핵심 질문!

C 회사가 '기한 내 공사 완료'를 조건으로 채권 양도를 무효화할 수 있을까요? 만약 B 회사가 기한 내에 공사를 끝내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요?

법적으로 따져보면...

돈을 받을 권리(채권) 중에서 누구에게 받을지 특정된 채권을 '지명채권'이라고 합니다. 지명채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려면 (1) 채무자에게 채권 양도를 알려주거나 (2) 채무자가 채권 양도에 동의해야 합니다(민법 제450조). 채무자의 동의는 양도인이나 양수인 누구에게 해도 유효합니다.

중요한 것은, 채무자가 채권 양도에 동의할 때 조건을 붙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법원 2011. 6. 30. 선고 2011다8614 판결). 이 사례에서 C 회사는 채권 양도에 동의하면서 "공사 기한 내 완료"라는 조건을 걸었습니다. B 회사가 기한 내에 공사를 완료하지 못하면, C 회사의 동의는 효력을 잃게 되고, A 회사는 C 회사에게 직접 대금을 청구할 수 없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C 회사는 법적으로 문제없이 '기한 내 공사 완료'를 조건으로 내걸 수 있고, B 회사가 기한을 어기면 A 회사는 C 회사에게 직접 대금을 청구할 권리를 잃게 됩니다.

자재 납품업체는 하도급 대금 직불 동의서를 받을 때, 반드시 조건이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조건부 동의는 언제든지 발목을 잡을 수 있는 함정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사대금 직불 약속, 과연 확실할까? 조건부 채권양도 승낙에 대한 이야기

하도급 공사에서 자재업자가 도급인에게 직접 자재대금을 받기로 하는 채권양도를 도급인이 조건부로 승낙했는데, 그 조건이 성취되어 승낙의 효력이 없어진 사례입니다. 따라서 자재업자는 도급인에게 직접 자재대금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조건부 승낙#채권양도#하도급#자재대금

상담사례

하도급 대금, 누구에게 받아야 할까요? 직불동의서와 채권양도 이야기

하도급대금 직불동의서만으로는 하수급인(丙)이 도급인(甲)에게 직접 대금 청구가 어려우며, 하도급인(乙)이 도급인(甲)에게 직접 채권양도 통지를 해야 안전하고 확실하게 대금을 받을 수 있다.

#하도급대금#직불동의서#채권양도#채권양도 통지

민사판례

하도급 대금, 약속한 날짜에 줘야죠!

하도급 계약에서 공사대금 지급일을 정해놓았다면, 그 약속대로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완공된 건물의 인수일과는 관계없이 계약서에 적힌 지급일이 우선입니다.

#하도급#공사대금#지급일#계약서

민사판례

공사대금 못 받았을 때, 법이 당신 편이 될 수 있습니다! (조건 성취 방해와 신의성실)

건물 신축 공사 하도급 계약에서, 원도급자가 하도급자의 공사 완료를 방해하면 하도급자는 공사를 완료한 것으로 간주되어 공사 대금을 청구할 수 있다.

#하도급#공사방해#대금청구#조건성취의제

민사판례

하도급 대금 못 받았을 때, 건설공제조합에 보증금 청구할 수 있을까?

하도급 업체가 원도급 업체로부터 받은 어음이 부도났을 때, 건설공제조합은 하도급 대금 지급 보증 약관에 따라 보증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하지만, 보증금액은 보증서에 기재된 한도를 넘을 수 없다.

#하도급#대금지급보증#보증기관#책임범위

상담사례

공사대금 못 받고 있어요! 양도금지특약, 나도 몰랐는데?!

채권양도금지특약이 있더라도 제3자가 그 특약을 몰랐다면, 특약을 주장하는 측에서 제3자의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을 입증해야 하므로, 제3자는 특약을 몰랐다는 사실만 입증하면 공사대금을 받을 수 있다.

#공사대금#채권양도금지특약#제3자 선의취득#악의/중과실 입증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