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6.08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재판 과정에서 검사가 공소장 내용을 바꾸는 것을 공소장 변경이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공소장 변경 절차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피고인은 공소장 변경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쟁점 1: 서면 변경 신청과 구술 변경 신청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할까요? 형사소송규칙 제142조 제1항에 따르면, 검사는 공소장 변경을 원할 때 법원에 서면으로 공소장변경허가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다만, 같은 조 제5항은 피고인에게 유리하거나 피고인이 동의하는 경우, 공판정에서 구술로 변경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예외를 두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에서 검사는 서면으로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습니다. 대법원은 검사가 서면으로 변경 신청을 한 경우, 구술 변경에 대한 규정(제5항)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피고인의 동의가 없더라도 서면 변경 절차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관련 조문: 형사소송규칙 제142조 제1항, 제5항, 형사소송법 제298조 제1항)

쟁점 2: 공판조서의 증명력

피고인은 공판 과정에서 자신에게 충분한 진술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공판조서에 따르면 피고인과 변호인에게 충분한 진술 및 증거 제출 기회가 주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공판조서는 공판 과정을 기록한 문서인데, 명백한 오류가 없는 이상 공판조서의 내용은 절대적인 증명력을 가집니다. 다른 자료로 공판조서의 내용을 뒤집을 수는 없습니다. 이 사건에서도 공판조서의 기재 내용이 명백한 오류라고 볼 만한 근거가 없었기에 대법원은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관련 조문: 형사소송법 제56조, 관련 판례: 대법원 1996. 4. 9. 선고 96도173 판결, 대법원 2002. 7. 12. 선고 2002도2134 판결)

결론

대법원은 검사의 서면 공소장 변경 절차에 문제가 없고, 공판조서에도 피고인에게 충분한 방어권이 보장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이 판결은 공소장 변경 절차와 공판조서의 증명력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 피고인에게 바로 알려야 할까요?

검사가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을 때, 법원이 피고인에게 변경된 내용을 즉시 알려주지 않아도, 피고인의 방어권이 심각하게 침해되지 않았다면 판결에는 문제가 없다는 판례입니다.

#공소장변경#부본송달지연#방어권#실질적영향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변경, 법원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검사가 항소심에서 피해자와 횡령액을 추가하는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으나, 법원이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재판을 진행하여 판결한 것은 위법하다는 판례입니다.

#공소장 변경#법원 의무#공소사실 동일성#방어권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 언제까지 가능할까?

공소장 변경은 재판의 심리가 끝나기 전까지만 가능합니다. 재판이 끝난 후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변경할 수 없습니다.

#공소장 변경#심리 종결 전#형사소송법 제298조 제1항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변경, 법원이 강제할 수 있을까?

법원은 검사에게 공소장 변경을 요구할 의무가 없다. 공소장 변경 요구 여부는 법원의 재량이다.

#공소장 변경#법원 재량#석명권#상고기각

형사판례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했을 때, 나한테도 알려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검사가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을 때, 법원은 피고인과 변호인 *모두*에게 변경 신청서를 보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둘 중 *한 명*에게만 보내도 문제가 없다.

#공소장변경#신청서 송달#피고인#변호인

형사판례

재판 끝나고 검사가 공소장 변경하려면? 꼭 다시 재판해야 할까?

재판이 모두 끝난 후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하려고 해도 법원은 꼭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공소장 변경#재판 종결#불허#형사소송법 제298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