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12.22

민사판례

공장 가동 중단했는데도 차임 내야 할까? 임대차 계약 해지 후 차임 상당 금전 지급에 대한 법원의 판단

안녕하세요. 오늘은 임대차 계약 해지 후 차임 상당의 금전 지급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건물주 입장에서는 세입자가 나가지도 않고, 영업도 하지 않으면서 차임도 내지 않으니 답답한 상황이죠. 이런 경우 법원은 어떤 판단을 내릴까요?

사건의 개요

T사는 N사에 건물을 임대했습니다. 그런데 N사가 차임을 연체하자 T사는 임대차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N사는 계약 해지 통보를 받은 후 공장 가동을 중단했지만, 설비는 그대로 둔 채 건물을 비워주지 않았습니다. T사는 N사에게 계약 해지 후 건물 인도일까지의 차임 상당 금액을 청구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의 판단

1심 법원은 N사가 공장 가동을 중단한 시점까지의 차임은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그러나 2심 법원은 N사가 공장 가동을 중단한 이후에는 건물로부터 실질적인 이득을 얻지 않았으므로 그 이후의 차임은 지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2심 법원은 T사의 청구가 부당이득반환청구라고 보고, 실제 이득이 없으니 반환할 것도 없다고 본 것이죠.

대법원의 판단

하지만 대법원은 2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T사가 비록 1심에서는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했지만, 2심에서는 N사의 불법점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추가했다고 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N사가 공장을 가동하지 않더라도 건물을 불법적으로 점유하고 있으므로, 건물 인도 완료 시까지 차임 상당의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대법원은 민사소송법 제136조 제1항, 제4항에 따라 법원은 당사자의 주장이 불명확하거나 불완전한 경우 석명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즉, 2심 법원은 T사가 손해배상청구를 추가했는지 명확히 확인하고 의견 진술 기회를 줘야 했는데, 그러지 않고 부당이득반환청구만을 전제로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민사소송법 제253조의 선택적 병합의 원칙에 따라, T사의 청구가 선택적 병합이라면 하나의 청구만 기각하고 다른 청구는 판단하지 않은 것 역시 위법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대법원 2008. 9. 11. 선고 2006다50338 판결, 대법원 2017. 9. 26. 선고 2015다11984 판결) 에서는 법원의 석명의무에 대해, **(대법원 1998. 7. 24. 선고 96다99 판결, 대법원 2017. 10. 26. 선고 2015다42599 판결)**에서는 선택적 병합에서의 판단 누락의 위법성에 대해 판시하고 있습니다. 본 사건에서도 대법원은 이러한 법리에 따라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2심 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결론

이 판례는 임대차 계약 해지 후에도 세입자가 건물을 비워주지 않고 점유하고 있는 경우, 건물주는 부당이득반환청구뿐 아니라 불법점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도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또한, 법원은 당사자의 주장을 명확히 하고 석명권을 적절히 행사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임대차 계약 종료 후 건물 무단 점유, 차임 내야 할까?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에도 세입자가 건물을 계속 사용하면, 건물주에게 월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부당이득으로 돌려줘야 합니다. 다만, 건물주가 다른 방법으로 수익을 얻을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부당이득 반환 의무는 없습니다. 이러한 특별한 사정에 대한 입증 책임은 건물주에게 있습니다.

#임대차 계약 종료#건물 계속 점유#부당이득 반환#건물주 입증 책임

민사판례

임대차 계약 종료 후 건물 점유와 부당이득, 그리고 보증금 공제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 세입자가 집을 비워주지 않고 있어도, 실제로 그 집을 사용해서 이익을 얻지 않았다면 집주인에게 돈을 물어줄 필요는 없다. 또, 보증금 반환 판결이 나왔더라도 집주인은 별도로 밀린 월세 등을 청구할 수 있다.

#임대차 종료#점유#부당이득#임대차보증금

민사판례

임대차 계약 종료 후, 건물 점유만으로 부당이득일까? 보증금과의 관계는?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임차인이 건물을 계속 점유하더라도 실제로 사용·수익하지 않았다면 부당이득반환 의무가 없으며, 임차인의 미납금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임대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보증금에서 공제된다.

#임대차계약종료#건물점유#부당이득반환의무#보증금공제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보증금 못 받았는데 차임까지 내야 할까요?

상가 임대차 계약이 끝났더라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기 전까지는 계속 장사를 하면서 시세대로 비싼 차임이 아니라, 기존 계약대로 차임을 내면 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못 받았다고 해서 시세대로 비싼 돈을 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상가임대차#보증금반환#차임#시세

민사판례

전대차 계약 종료 후 차임 상당 부당이득 반환 의무

건물 소유주가 임차인과의 계약을 해지하고 전차인에게 직접 건물 명도를 요구한 경우, 전차인은 더 이상 원래 임차인에게 차임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또한, 보증금에서 차임 등을 공제하고 남은 금액을 반환받는 조건으로 건물을 명도하기로 한 경우, 이 청구에는 보증금을 초과하는 차임 상당의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임대차계약해지#전차인#차임지급의무#부당이득반환

상담사례

내 공장에 몰래 세입자 들였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임차인 A의 무단 전대로 인해 B를 내보내려면 A와의 임대차 계약을 해지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임대차 계약 해지#전대#계약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