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07.14

민사판례

교도소 너무 좁아요! 국가가 배상해야 할까?

교도소에 수감된 경험이 있는 분들이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바로 과밀 수용으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고통 때문인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통해 교도소 과밀 수용과 국가배상책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용자의 인권, 어디까지 보장되어야 할까?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국가는 이러한 기본적 인권을 보장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비록 죄를 지어 교도소에 수감된다 하더라도, 최소한의 인간적인 대우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인간적인 대우'란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을까요? 이번 판례에서 대법원은 수용 거실의 1인당 면적, 의류, 침구, 음식의 질, 채광, 통풍, 냉난방 등 시설 상태, 운동 및 활동 시간, 의료 수준수용 환경 전반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1인당 수용 면적이 너무 좁아 기본적인 일상생활조차 어렵다면, 이는 수용자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는 위법 행위가 될 수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이는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형집행법) 제4조(인권존중) 및 제6조 제2항(시설 설비 기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기준은 형집행법 개정 이전의 구 행형법 시행 당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당시에는 명시적인 시설 기준이 없었지만, 헌법상 기본권 보장 의무를 고려했을 때 수용자의 인권은 항상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과밀수용, 언제 국가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국가가 배상 책임을 지려면 공무원의 '법령 위반'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법령 위반'은 단순히 법 조항을 어긴 것뿐 아니라, 공무원으로서 지켜야 할 인권존중, 권력남용금지, 신의성실 의무 등을 위반한 경우도 포함합니다. 즉, 교도소 과밀수용으로 수용자의 인권을 침해했다면, 이는 공무원의 법령 위반에 해당하여 국가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2㎡, 과밀수용의 기준이 되다

이번 판례에서 원고들은 수용자 1인당 면적이 2㎡ 미만인 거실에 수용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국가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대법원은 수면은 인간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교정시설에서 제공하는 매트리스 면적(약 1.4㎡)을 고려했을 때, 2㎡ 미만의 공간은 수용자의 존엄성을 침해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제 사용 가능한 면적은 도면상 면적보다 더 좁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 되었습니다.

참조 법조항 및 판례

  • 헌법 제10조 (인간 존엄과 기본권)
  •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국가배상책임)
  •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제4조 (인권존중), 제6조 제2항 (시설 설비 기준)
  • 구 행형법 제1조의3 (수용자의 기본적 인권 존중 - 현행 형집행법 제4조 및 제5조 참조)
  •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7조 제2호, 제9조
  • 수용자 피복관리 및 제작·운용에 관한 지침 제2조 [별표 7] 제2항
  •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 제1항 제3호
  • 헌법재판소 2016. 12. 29. 선고 2013헌마142 전원재판부 결정
  • 대법원 2018. 10. 25. 선고 2013다44720 판결
  •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5다224797 판결

이번 판례는 교정시설 내 수용자의 인권 보장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국가는 형벌의 집행 과정에서도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교도소 너무 좁아요! 국가가 배상해야 할까?

교도소가 너무 좁아서 수용자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침해했다면 국가가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1인당 실제 사용 가능한 면적이 너무 좁다면, 그 자체로 인권 침해로 볼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교도소#과밀수용#국가배상#인권침해

민사판례

교도소 너무 좁아요! 국가가 배상해야 할까?

교도소가 너무 좁은 공간에 재소자를 수용하면 재소자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는 것이고, 국가는 이에 대해 배상할 책임이 있다. 2㎡ 미만의 공간에 수용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국가의 배상 책임이 인정된다.

#교도소#과밀수용#국가배상#인권침해

민사판례

교도소 내 징벌과 수용자의 권리: 운동 제한은 정당한가?

교도소에서 징벌 대상이 된 수용자의 운동을 제한하는 것은 교도소장의 재량이며, 금치 처분을 받은 수용자에게 운동을 제한하는 것이 위법하지 않다는 판결입니다.

#수용자#운동 제한#교도소장 재량#금치 처분

생활법률

내 신체의 자유, 누가 침해할 수 있나요? 🚫 (헌법 이야기)

헌법재판소와 인권위 결정례를 통해 수감자 처우, 정신병원 격리, 집회·시위, 진술거부권, 영장주의, 변호인 조력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신체의 자유가 침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과도한 공권력 행사로부터 개인의 신체의 자유를 보호해야 함을 강조한다.

#신체의 자유#헌법재판소#인권위#결정례

민사판례

교도소 내 자유 제한과 소멸시효 주장의 권리남용

교도소 등에 수용된 사람의 권리 제한은 꼭 필요하고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며, 국가가 수용자의 권리 행사를 방해한 경우에는 소멸시효를 주장할 수 없다.

#수용자 권리#권리 제한#소멸시효#권리남용

일반행정판례

구속된 피고인의 접견, 기본권일까?

구속된 사람도 다른 사람을 만날 권리(접견권)가 있으며, 이는 헌법으로 보장된 기본권입니다. 교도소장은 정당한 이유 없이 접견을 막을 수 없고, '필요한 용무'의 범위도 넓게 해석해야 합니다.

#접견권#기본권#헌법#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