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헌법에서 보장하는 중요한 권리 중 하나인 신체의 자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서 신체의 자유가 침해되는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어떤 경우에 신체의 자유가 침해되는지, 실제 사례들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징벌의 한계: 금치처분 수형자의 운동 금지 🏋️♂️
감옥에 갇힌 수형자라고 해서 모든 자유를 박탈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헌법재판소는 금치처분을 받은 수형자에게 운동을 완전히 금지하는 것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판단했어요. 징벌의 목적이 있더라도, 최소한의 인간적인 대우는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헌재 결정례 참조)
2. 과도한 계구 사용: 상시적인 수갑 ⛓️
교도소에서 수감자 관리를 위해 수갑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도주, 자살, 자해 등을 막기 위한 목적이라도 1년 이상 상시적으로 수갑을 채우는 것은 과도하다고 판단했어요. 식사, 용변, 취침 등 일상생활조차 제대로 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 행위라는 것이죠. (헌재 2003.12.18., 2001헌마163)
3. 정신병원에서의 인권: 격리·강박의 남용 🏥
정신병원에서 환자를 격리하거나 강박하는 것은 엄격한 법적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환자를 쉽게 통제하려는 목적으로, 또는 정당한 절차 없이 함부로 격리·강박하는 것은 신체의 자유 침해입니다. (인권위 2010. 8. 9. 10진정216400)
4. 표현의 자유와 신체의 자유: 집회 현장에서의 사진 촬영 📸
집회 현장에서 사진을 찍는다고 해서 함부로 체포될 수는 없습니다. 단순히 경찰력 행사 과정을 촬영하고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만으로 체포하는 것은 신체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입니다. (인권위 2010. 8. 23. 09진인4568)
5. 긴급체포와 수갑: 범죄사실 부인을 이유로 한 수갑 사용 🚨
긴급체포된 사람이 범죄사실을 부인한다고 해서 바로 수갑을 채울 수는 없습니다. 경찰장구 사용은 필요성이 인정되는 상황에서만 허용됩니다. (인권위 2009. 6. 23. 09진인1146)
6. 진술거부권: 나를 지키는 방패 묵비권🛡️
수사 과정에서 진술을 거부할 권리는 헌법이 보장하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지 않고 받은 진술은 증거능력이 없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대법원 2010. 5. 27. 선고 2010도1755 판결), (헌재 2002. 1. 31. 2001헌바43), (인권위 2004. 8. 23. 03진인6361)
7. 영장주의: 영장 없는 구금은 불법 📜
영장 없이 함부로 사람을 구금할 수 없습니다. 영장대기자를 경찰서 보호실에 유치하는 것도 제한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위법입니다. (대법원 1999. 4. 23. 선고 98다41377 판결), (인권위 2008. 4. 28. 08진인28)
8.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나의 권리를 지켜줄 조력자 🤝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권리는 단순히 변호인을 만나는 것뿐만 아니라, 수사기록 열람 등을 통해 충분한 방어권을 행사하는 것까지 포함합니다. (대법원 2000. 11. 28. 자 2000모66 결정), (헌재 1997. 11. 27. 94헌마60), (인권위 2004. 3. 31. 03진인6458)
오늘 알아본 사례들을 통해 신체의 자유가 얼마나 중요한 권리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모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생활법률
헌법 제12조는 불법 체포, 구금, 고문, 강요된 자백을 금지하고, 영장에 의한 체포·구속·압수·수색, 변호인의 조력, 적부심사, 미란다 원칙 고지 등을 통해 신체의 자유를 보장한다.
민사판례
교도소에서 징벌 대상이 된 수용자의 운동을 제한하는 것은 교도소장의 재량이며, 금치 처분을 받은 수용자에게 운동을 제한하는 것이 위법하지 않다는 판결입니다.
생활법률
일상생활에서 병력, 재산 정보, 성적 자기결정, 통신 내용, 개인정보 등이 타인에게 공개되거나 수집되는 것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통신의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을 침해하는 행위이며,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상담사례
수치심을 유발하는 부적절한 방식의 신체검사는 여경이 진행했더라도 법령 위반 및 신체의 자유 침해로 국가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
민사판례
범죄 혐의로 체포된 피의자가 법원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기자들에게 얼굴이 촬영되어 초상권을 침해당한 사건에서, 국가가 피의자 보호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배상 책임을 인정한 판결.
민사판례
교도소가 너무 좁아서 재소자들이 기본적인 생활도 어렵다면, 국가가 재소자의 인권을 침해한 것이므로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1인당 면적이 2㎡ 미만이면 위법으로 판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