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군대 다녀온 기간, 퇴직금 받을 때 포함될까요? 🤨

직장 생활 중 군대에 다녀온 시간, 퇴직금 계산할 때 포함되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군 복무 기간은 퇴직금 계산을 위한 근속 기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군 복무도 직장 생활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하시지만, 법적으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대법원은 현행 병역법 제74조 제1항 및 제2항에서 군 복무 후 복직과 승진 시 군 복무 기간을 근무 기간으로 간주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퇴직금 지급과는 관련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93.1.15. 선고 92다41986 판결). 즉, 승진은 군 복무 기간을 고려해 주지만, 퇴직금 계산 시에는 제외된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공무원과 사립학교 교원은 예외입니다. 공무원연금법(제23조 제5항 제2호)과 사립학교교원연금법(제31조 제3항)에 따라 이들의 군 복무 기간은 재직 기간에 포함되어 연금 계산에 반영됩니다. 일반 회사원과는 다른 기준이 적용되는 것이죠.

정리하자면, 일반 회사에 다니는 경우 군 복무 기간은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지 않지만, 공무원과 사립학교 교원은 포함된다는 점을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군대 휴직 기간, 퇴직금에 포함될까?

1970년 12월 31일 이후 군복무로 인한 휴직기간은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군복무#휴직기간#퇴직금#1970년 12월 31일

민사판례

퇴직금, 언제부터 받을 수 있을까? 병가나 휴직기간도 포함될까?

퇴직금은 퇴직할 때 발생하는 것이지, 근무하는 동안 조금씩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병가나 휴직기간을 고려하여 퇴직금을 각 기간별로 따로 계산해서 합산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퇴직금#발생시점#퇴직시#병가

민사판례

퇴직금 계산, 옛날 근무 기간도 포함해야 할까? 그리고 연차수당은 퇴직금에 포함될까?

퇴직금 계산 시 근로기준법 시행 이전의 근무 기간은 포함되지 않으며,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한 수당도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퇴직금 계산에 포함된다.

#퇴직금#근로기준법 시행 이전 근무기간 제외#미사용 연차수당#평균임금 포함 조건

일반행정판례

정부 수립 이전 군 복무, 연금에 포함 안 된다고?

군인연금 계산 시 정부 수립(1948년 8월 15일) 이전의 군 복무 기간은 포함하지 않는다는 군인연금법 조항은 합헌이다.

#군인연금#정부수립 이전 복무기간#합헌#차별 아님

일반행정판례

장교 임관 전 교육기간, 군인연금 산정에 포함될까?

장교가 되기 위한 준비 과정인 무관후보생 교육기간은 군인연금을 계산할 때 복무기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법에 명시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더라도 관련 법률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한 결과이며, 헌법에도 위배되지 않는다.

#무관후보생#교육기간#군인연금#복무기간

일반행정판례

예비역 장교 복무기간 인정과 퇴역연금 지급

예비역 장교로 복무하다 현역으로 임관 후 퇴직하여 퇴직일시금을 받은 사람이 나중에 예비역 복무기간을 인정받더라도, 그 사실만으로 퇴역연금을 새로 신청하거나 기존 퇴직일시금을 퇴역연금으로 바꿔달라고 요구할 권리는 없다.

#예비역 장교#복무기간 인정#퇴역연금#퇴직일시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