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낙찰 받았는데, 세입자가 안 나간다면? (feat. 우선변제권과 대항력)

집을 경매로 낙찰받았는데, 기존 세입자가 안 나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낙찰받은 집에 살고 있는 세입자는 보증금을 다 받지 못했다며 버티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럴 때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권리와 관련하여 경매로 집을 낙찰받은 사람과 세입자 간의 분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항력이란? 세입자가 집주인이 바뀌더라도 새로운 집주인에게 계속해서 임대차 계약의 효력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전입신고와 주택의 인도(점유)라는 두 가지 요건을 갖추면 다음 날 0시부터 대항력이 발생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우선변제권이란?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다른 채권자들보다 먼저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대항력의 요건을 갖추고 확정일자까지 받으면 우선변제권이 생깁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 제8조).

문제 상황:

세입자 갑은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집이 경매로 넘어가면서 보증금 전액을 배당받지 못했습니다. 이 경우 갑은 낙찰자(경락인)에게 나머지 보증금을 요구하며 계속 집에 살 수 있을까요? 얼마를 요구할 수 있을까요?

해결:

대법원은 이런 상황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대법원 2000다30165 판결). 세입자가 경락인에게 요구할 수 있는 보증금 잔액은 "올바른 배당순위에 따라 배당받았어야 할 금액"을 뺀 나머지입니다.

만약 배당 과정에서 실수로 더 많은 돈을 받았더라도, 경락인에게는 '배당받았어야 할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잔액만 청구할 수 있습니다. 잘못 더 받은 금액은 후순위 배당채권자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경락인에게는 그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

예시:

  • 갑의 보증금: 1억원
  • 올바른 배당순위에 따른 배당액: 7천만원
  • 실제 배당받은 금액: 8천만원

이 경우 갑은 경락인에게 2천만원(1억원 - 7천만원)을 요구하며 집에 계속 살 수 있습니다. 실제로 8천만원을 받았더라도, 경락인에게는 추가로 1천만원을 더 요구할 수 없습니다. 초과 배당된 1천만원은 후순위 배당채권자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결론:

낙찰 이후 세입자와의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매 물건의 권리관계, 특히 세입자의 보증금, 대항력, 우선변제권, 배당 순위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입자가 있다면 배당 절차가 어떻게 진행될지 예상하고, 낙찰 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미리 대비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낙찰받은 집에 세입자가 버티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우선변제권 포기와 대항력)

낙찰받은 집의 세입자가 배당 요구 후 마음을 바꿔 대항력을 주장하더라도, 법원은 낙찰자 보호를 위해 신의칙 위반으로 보고 세입자의 대항력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단,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예외 가능)

#낙찰#세입자#우선변제권#대항력

상담사례

경매 낙찰 받았는데, 세입자 나가라고 하니 대항력 주장한다고?! 😱

경매 낙찰 후 배당요구했던 세입자가 보증금 미배당 시 대항력을 주장하는 것은 낙찰자의 신뢰를 깨뜨리는 신의칙 위반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경매#낙찰#세입자#대항력

민사판례

경매로 집 샀는데, 세입자가 안 나간다고?

경매에서 세입자가 배당받을 것으로 예상되어 낙찰자가 보증금 부담 없이 낙찰받았는데, 세입자가 배당을 못 받게 되더라도 낙찰자에게 대항력을 주장하여 집을 비워주지 않겠다고 할 수는 없다.

#경매#낙찰자#임차인#배당

상담사례

전세집 경매됐는데, 내 보증금은 어떻게 되나요? (대항력 vs. 우선변제권)

전세집이 경매로 넘어가도 확정일자를 받아 대항력을 갖춘 세입자는 경매 배당요구를 하지 않았더라도 새 집주인에게 전세 계약을 주장하고 보증금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전세#경매#보증금#대항력

민사판례

경매로 집이 넘어갈 때 세입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전세나 월세로 살던 집이 경매로 넘어가면, 세입자(임차인)는 계약을 해지하고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을 권리(우선변제권)가 있습니다. 경매 과정에서 배당을 요구하는 것 자체가 계약 해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인정됩니다.

#임차주택 경매#임차인#계약해지권#우선변제권

상담사례

낙찰받은 집에 세입자가 버티면 어떡하죠? - 배당이의소송 패소 세입자의 대항력

경매 낙찰 후 배당이의소송에서 패소한 세입자가 대항력을 유지하여 집을 비워주지 않을 경우, 낙찰자는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반환하거나 경매 계약 해제 및 손해배상 청구를 고려해야 한다.

#경매#낙찰#세입자#대항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