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오랫동안 함께했던 내 차, 이제는 놓아줘야 할 때가 왔나요? 중고차 폐차,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폐차 절차와 필요한 서류, 주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
1. 폐차는 어디서? 자동차해체재활용업체(폐차장)을 찾아주세요!
폐차는 아무 곳에서나 할 수 있는 게 아니에요. 반드시 **자동차해체재활용업체(일반적으로 '폐차장'이라고 부릅니다)**를 통해 진행해야 합니다 (자동차관리법 제2조제9호 및 제13조제1항제1호). 이들은 폐차 요청된 자동차를 인수하고, 재사용 가능한 부품을 회수하며, 폐차 및 말소등록 신청 대행까지 맡아 처리해 줍니다.
2. 폐차 요청, 어떻게 할까요? 필요한 서류를 꼼꼼히 챙겨 폐차장으로!
폐차장에 직접 방문하여 폐차를 요청해야 합니다. 이때 다음 서류들을 꼭 챙겨가세요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41조제1항 및 별지 제93호서식).
3. 폐차, 안되는 경우도 있나요?
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폐차가 불가능합니다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42조제1항).
4. 폐차 후 말소등록은 필수!
폐차장에 차량을 넘겼다고 끝이 아니에요. 자동차등록사업소에 말소등록을 신청해야 합니다 (자동차관리법 제13조제1항제1호). 폐차장에서 발급받은 폐차인수증명서가 필요하며 (자동차관리법 제58조제6항제1호 및 자동차등록규칙 제37조제1항제3호), 폐차장을 통해 말소등록 신청을 대행할 수도 있습니다.
5. 폐차장이 폐차를 거부할 수 있나요?
폐차장은 위에서 언급한 폐차 금지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폐차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42조제2항).
이제 중고차 폐차, 자신 있게 진행할 수 있겠죠? 꼼꼼하게 서류를 준비하고 절차를 따라 진행하면 어렵지 않게 낡은 차와 작별 인사를 할 수 있습니다.
생활법률
낡은 차를 폐차하려면 등록된 폐차장에 의뢰하여 법적 절차(자동차폐차요청서 및 관련 서류 제출, 폐차인수증명서 발급, 자동차 말소등록)를 진행해야 하며, 조건에 따라 노후 경유차 폐차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중고차 매매(업체/개인), 증여 시 필요한 서류와 절차(이전등록 필수) 및 매매업체 관련 법규, 수수료, 의무, 책임 등을 정리하여 안전한 거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생활법률
차량 폐차, 반품, 차령초과, 면허취소 등의 사유 발생 시 1개월 이내 말소등록을 해야 하며, 미이행시 최대 10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태료가 부과된다.
생활법률
중고차 구매 후 15일 이내에 차량등록사무소에서 이전등록을 해야 하며, 미등록 시 최대 50만원의 과태료 및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중고차 판매 시, 개인 거래는 높은 판매 가격 가능성 대신 복잡한 절차와 사후 문제 발생 위험이 있고, 매매상 거래는 편리하지만 수수료 발생 및 낮은 판매 가격을 감수해야 한다. 어떤 방식을 선택하든 관련 법규와 절차를 숙지하고 계약서를 꼼꼼히 작성하여 안전하게 거래해야 한다.
생활법률
차량 도난 시 당황하지 말고 1) 경찰에 도난 신고 후 확인서 발급, 2) 보험사에 도난 사실 통지, 3) 필요시 말소등록 신청, 4) 차량 발견 시 재등록하고, 허위 도난 신고 및 대포차 거래는 절대 금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