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7.11.14

일반행정판례

내 버스로 일하는데, 산재보험 적용될까요? - 버스 기증 후 회원으로 활동한 사람은 근로자인가?

자가용 버스로 예비군 수송 일을 하다 다쳤는데 산재보험을 받을 수 없다고요? 어떤 경우에 산재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걸까요? 오늘은 버스를 기증하고 수송협회 회원으로 활동하다 재해를 당한 분의 산재보험 적용 여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자신의 버스를 ○○○수송협회에 기증하고 회원으로 가입했습니다. 이후 협회에서 지정해준 군부대 인력 수송 업무를 하다가 재해를 당했고, 산재보험 급여를 신청했지만 거부당했습니다.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가 산재보험법상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재보험법상 근로자: 산재보험 급여를 받으려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여야 합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조 제2호, 제49조 제1항)

  • 근로자 판단 기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인지 판단할 때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업무 내용, 지휘·감독 여부
    • 근무시간·장소 구속 여부
    • 업무 대체 가능성
    • 비품, 도구 등 소유 관계
    • 급여 형태 (기본급, 고정급, 근로소득세 원천징수 여부)
    • 근로 제공의 계속성, 전속성
    • 사회보장제도 적용 여부
    • 당사자의 경제·사회적 조건 등
  • 이 사건의 핵심: 원고는 ○○○수송협회에 소속되어 임금을 목적으로 일한 근로자가 아니라, 자신의 차량을 이용해 영업을 하는 사업주에 가깝다고 판단했습니다. 협회가 군부대로부터 운송 용역을 받아 회원들에게 배정했지만, 회원에 대한 보수 규정이 없었고, 수입금을 회원이 직접 수금하여 협회에 입금한 후 제반 비용을 공제한 나머지를 받는 구조였습니다. 또한,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협회 통제 없이 자유롭게 영업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원고는 근로자보다는 사업주에 가깝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조 제2호, 제40조, 제41조, 제42조, 제43조, 제44조, 제49조 제1항
  • 구 근로기준법(1997. 3. 13. 법률 제5309호로 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 대법원 1996. 6. 11. 선고 96누1504 판결
  • 대법원 1996. 7. 30. 선고 96도732 판결
  • 대법원 1997. 2. 14. 선고 96누1795 판결

결론

이 판례는 근로자성 판단에 있어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소속 단체가 있고 업무를 수행한다고 해서 모두 근로자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인 관계를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특히 이 사건처럼 자신 소유의 차량을 이용하여 운송업에 종사하는 경우, 근로자보다는 사업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버스로 일하는데 산재보험 받을 수 있을까요? (수영장 회원 운송 기사님 사례)

자신의 버스로 수영장 회원 운송 기사처럼 일하더라도 수영장의 지시·감독 아래 종속적으로 일한다면 근로자로 인정되어 산재보험 적용 가능성이 높다.

#산재보험#자가용 버스#수영장 운송기사#근로자성

일반행정판례

지입차주, 산재보험 적용 대상일까? - 사업자 vs. 근로자

자신의 화물차를 소유하고 운송하는 지입차주는, 운송회사와 계약을 맺고 일하더라도 회사의 지시·감독을 받는 근로자가 아니라 독립적인 사업자로 판단되어 산재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지입차#근로자#사업자#산재보험

민사판례

이삿짐센터 트럭 운전기사, 산재보험 적용 대상? 알고 보면 나도 근로자일지도!

이삿짐센터에서 일하는 트럭 운전기사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보험)의 보호를 받는 근로자로 인정된 사례입니다. 계약 형식이 고용계약인지, 도급계약인지보다 실제로 사용자에게 종속되어 일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삿짐센터#트럭운전기사#산재보험#근로자

일반행정판례

시용기간 중 사고, 산재보험 적용될까? - 시용기간에도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다!

버스회사 견습기사가 시용기간 중 무임금으로 교육 및 운행 연습을 하다가 사고를 당했는데, 대법원은 이 견습기사도 근로자로 인정하여 산재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시용기간 중이라도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종속되어 근로를 제공했다면 근로계약이 성립한 것으로 보고, 임금을 받지 않았더라도 산재보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용기간#근로계약#무임금#산재보험

민사판례

지입차주, 산재보험 적용 대상일까?

중장비 지입차주는 산재보험 적용 대상인 근로자로 볼 수 없다.

#지입차주#산재보험#근로자성#종속성

일반행정판례

지입차주, 산재보험 적용 대상일까?

중장비 지입차주가 사고를 당했을 때 산재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지입차주가 실질적으로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했는지가 핵심 판단 기준이며, 본 사례에서는 근로자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지입차주#산재보험#근로자성#종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