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내 집 마련의 기쁨 뒤에 따라오는 그림자, 재산세 완벽 정복!

드디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셨나요?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집을 소유한다는 것은 기쁨과 동시에 책임도 따르는 법이죠. 그중 하나가 바로 재산세입니다. 오늘은 재산세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되는지, 납부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재산세, 너의 정체는?

쉽게 말해, 재산세는 토지, 건축물, 주택, 항공기, 선박 등을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의 발전을 위해 사용되는 지방세의 일종이죠. (지방세법 제104조)

2. 재산세, 누가 내야 할까? (납세의무자)

기본적으로 6월 1일 (과세기준일) 현재 재산을 실제로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지방세법 제107조 제1항)

  • 공동으로 소유(공유)한 경우: 각자의 지분만큼 납부합니다.
  • 주택의 건물과 땅 주인이 다른 경우: 건물과 땅의 시가표준액 비율에 따라 세금을 나눠서 납부합니다.

하지만 등기상 소유자와 실제 소유자가 다를 경우 등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지방세법 제107조 제2항 및 시행규칙 제53조를 참고하세요.

3. 재산세, 어떤 재산에 부과될까? (과세대상)

재산세는 토지, 건축물, 주택, 항공기, 선박에 부과됩니다. (지방세법 제105조)

특히 토지는 용도에 따라 종합합산, 별도합산, 분리과세 대상으로 나뉘는데, 이 분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지방세법 제106조 제1항, 시행령 제101조~제103조) 자세한 내용은 시행령을 참고하시면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재산세, 어떻게 계산할까?

재산세는 과세표준 x 세율로 계산합니다.

  • 과세표준: 시가표준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한 금액입니다. (지방세법 제110조 제1항, 시행령 제109조) 토지와 건축물은 시가표준액의 70%, 주택은 60%가 적용됩니다. (2024년부터 1세대 1주택의 경우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더 낮아집니다 - 시행령 제109조, 110조의2)
  • 세율: 재산의 종류와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다릅니다. (지방세법 제111조 제1항, 제111조의2 제1항) 자세한 세율표는 위에 제시된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5. 재산세, 언제 어떻게 납부할까?

재산세는 재산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합니다. (지방세법 제108조)

납부기간은 재산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지방세법 제114조, 제115조)

  • 토지: 9월 16일 ~ 9월 30일
  • 건축물: 7월 16일 ~ 7월 31일
  • 주택: 7월 16일 ~ 7월 31일 (1/2), 9월 16일 ~ 9월 30일 (1/2) - 단, 재산세가 20만원 이하인 경우 7월에 한 번에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선박/항공기: 7월 16일 ~ 7월 31일

납부세액이 많을 경우 물납(부동산으로 납부)이나 분할납부를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지방세법 제117조, 제118조, 시행령 제116조 제1항)

6. 재산세, 안 내도 되는 경우도 있을까? (비과세)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재산, 공익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산 등은 재산세가 면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방세법 제109조) 자세한 내용은 지방세법 시행령 제107조와 제108조를 확인해주세요.

재산세, 이제 어렵지 않죠? 꼼꼼히 확인하고 제때 납부하여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취득세 완전 정복!

부동산 취득 시 60일 이내에 취득가액 기준으로 계산된 취득세(1~4%, 주택은 차등)와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를 납부해야 하며, 감면 혜택 및 중과세율 적용 여부는 관련 법령 확인이 필요하다.

#취득세#과세표준#세율#신고납부

생활법률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취득세 완벽 정리!

부동산 취득 시 60일 이내에 취득가액의 2.8%(고급주택은 최대 10.8%)에 해당하는 취득세를 신고·납부해야 하며, 미이행 시 가산세가 부과된다.

#취득세#부동산#과세표준#세율

생활법률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취득세 완전 정복!

부동산, 차량 등을 취득할 때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납세의무자가 취득세(취득세+농특세+지방교육세)를 납부해야 하며, 취득 유형, 물건 종류, 취득 방식 등에 따라 과세 여부, 과세표준, 세율, 납세지가 달라진다.

#취득세#부동산#차량#기계장비

생활법률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취득세 완벽 정리!

부동산 취득 시, 취득가액 기준 2.8%(일반) 또는 14%(고급주택/별장)의 취득세를 60일(상속 6~9개월) 이내 신고·납부해야 하며, 미이행시 가산세가 부과된다.

#취득세#부동산#과세표준#세율

생활법률

상속받은 재산에도 세금이?! 상속 취득세 완전 정복!

상속받은 재산(부동산, 차량, 회원권 등)은 6개월(해외거주시 9개월) 내에 취득세(과세표준 x 세율)를 신고·납부해야 하며, 미이행시 가산세가 부과되고, 한정승인 시에도 납부 의무가 발생한다.

#상속#취득세#과세표준#세율

생활법률

부자들의 세금, 종합부동산세 & 종합소득세 완전정복!

종합부동산세는 고가 부동산 보유자에게, 종합소득세는 국내 소득자에게 부과되며, 부동산 관련 종합소득세 비과세 항목도 존재한다.

#종합부동산세#종합소득세#부동산#세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