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4.10

형사판례

내 차로 공사장 쓰레기 버리고 돈 받았는데 불법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가용으로 공사장 쓰레기를 버리고 돈을 받은 행위가 불법 영업인지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자신의 차로 쓰레기를 버려주고 기름값 정도 받는 게 뭐가 문제냐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자칫 잘못하면 불법 자가용 영업으로 처벌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판례에서는 무죄 판결이 나왔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목수가 건축 공사장에서 목공 일을 하면서 공사장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자신의 봉고 트럭에 실어 버리고, 현장 소장에게 기름값 명목으로 돈을 받았습니다. 이를 본 누군가가 불법 자가용 영업이라며 신고했고, 검찰은 그를 자동차운수사업법 위반으로 기소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자동차운수사업법 제58조, 제72조)

쟁점

핵심 쟁점은 이 행위가 '돈을 받고 자가용을 운송에 제공하는 불법 영업'인지, 아니면 '쓰레기 처리에 대한 노력의 대가'인지였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이 목수의 행위가 불법 자가용 영업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즉, 돈을 받은 것은 단순히 쓰레기를 운반해준 대가가 아니라, 공사장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보았습니다. 차량을 이용한 것은 쓰레기 처리 작업의 일부일 뿐,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죠.

비슷한 판례

이와 유사한 판례들이 이미 존재합니다. 대법원은 과거에도 건축 자재 운반이나 농산물 운송 등에서 자가용을 이용하고 돈을 받은 경우, 그 행위의 본질이 운송 서비스 제공인지, 아니면 다른 작업의 일부인지를 살펴 불법 여부를 판단해왔습니다. (참조 판례: 대법원 1983.9.13. 선고 83도1788 판결, 1985.11.26. 선고 85도2101 판결, 1988.6.28. 선고 88도701 판결)

결론

이번 판례는 자가용을 이용하여 돈을 받는 행위라도, 그 행위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따라 불법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차를 이용했다는 사실만으로 불법 자가용 영업으로 단정 지을 수는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유사한 상황에 놓이더라도 항상 무죄 판결이 나온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각 사건의 구체적인 정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자가용 화물차, 돈 받고 빌려주면 불법일까?

돈을 받고 자가용 화물차를 빌려주는 행위는, 화물을 운송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불법 운수사업에 해당한다.

#자가용 화물차#유상 임대#불법 운수사업#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형사판례

자가용 화물차 유상운송, 의뢰인도 처벌될까?

돈을 받고 자가용 화물차로 불법 운송하는 사람은 처벌받지만, 돈을 내고 운송을 의뢰한 사람은 처벌하지 않는다.

#자가용 화물차#유상 운송#의뢰인 처벌 면제#불법 운송

형사판례

폐기물 불법 매립, 돈 받은 것도 범죄 수익일까?

폐기물 불법 매립으로 받은 돈이 범죄행위로 얻은 수익인지 단순 폐기물 처리 대가인지 명확히 구분해야 몰수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폐기물 불법 매립#범죄수익#몰수#추징

형사판례

렌터카 지입차량 유상운송, 불법일까?

렌터카 회사에 지입된 차량(자신의 차를 렌터카 회사 명의로 등록한 차)을 이용해 유상으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 경우, '자가용 불법 유상운송'으로 처벌할 수 없다.

#렌터카#지입차량#유상운송#자가용 불법 유상운송

형사판례

돈 받고 자가용으로 사람 태워주면 불법?

자가용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운송하면서 기름값이나 수고비 명목으로 돈을 받는 것은 불법 유상운송에 해당한다.

#자가용 유상운송#유류비#수고비#불법

형사판례

길거리 쓰레기에 불을 지르면 방화죄?!

길거리에 버려진 쓰레기 같은 주인 없는 물건에 불을 붙여도 방화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방화죄#무주물#공공안전#자기소유물건방화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