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6.08

민사판례

농부의 가동연한, 63세까지 인정된 사례

안녕하세요. 오늘은 농업에 종사하던 분의 가동연한을 법원이 어떻게 판단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가동연한이란 소득 활동을 할 수 있는 나이를 뜻하는데요, 손해배상 소송에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특히 사고로 인해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된 경우, 가동연한까지 얻을 수 있었던 수입을 배상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사례는 사고 당시 61세였던 농부의 가동연한을 법원이 63세까지로 인정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지지하며 상고를 기각했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대법원은 사고 당시 피해자의 나이(61세)와 건강 상태, 그리고 60세 이상 인구의 농업 종사 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심의 판단이 타당하다고 보았습니다. 즉, 60세가 넘었다고 해서 바로 일을 그만둘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건강 상태와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가동연한을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죠.

이 사건에서 주목할 점은 법원이 단순히 나이만을 기준으로 가동연한을 정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농촌에서는 60세 이상의 고령 인구도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61세 농부의 가동연한을 63세까지로 인정한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민법 제763조 (제393조)

(참고) 이 사건에서는 특정 참조 판례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60대 농부의 가동연한, 65세까지 인정된 사례

60세 7개월의 농부가 사고를 당했을 때, 법원은 그 농부의 가동연한(일할 수 있는 나이)을 65세까지로 인정했습니다. 일반적인 노동자의 가동연한은 60세까지로 보는 판례가 있지만, 농촌의 현실과 농부의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65세까지 일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농부#가동연한 65세#농촌 현실#손해배상

민사판례

농업 종사자의 가동연한, 만 60세 넘길 특별한 사정 있어야 인정

농촌에서 일하는 사람의 소득 손실을 계산할 때 일할 수 있는 나이(가동연한)는 보통 60세까지로 봅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60세를 넘겨서도 일할 수 있다고 인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농업#가동연한#60세#손해배상

민사판례

50대 농부의 가동연한, 63세까지 인정된 사례

교통사고를 당한 54세 농부의 가동연한(일할 수 있는 나이)을 법원이 63세까지로 인정했습니다. 농촌의 고령화 추세와 피해자가 사고 당시까지 농사를 짓고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한 판결입니다.

#농부#가동연한#63세#교통사고

민사판례

57세 농부의 가동연한, 63세까지 인정된 사례

교통사고로 사망한 57세 농부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법원은 농촌의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여 이 농부가 63세까지 일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가동연한#농부#63세#교통사고

민사판례

50대 농부의 가동연한, 65세까지 인정된 사례

교통사고로 사망한 52세 농부의 가동연한을 65세까지로 인정한 판례. 당시 농촌의 현실과 망인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판단.

#가동연한#농부#65세#교통사고

상담사례

60대 농민, 교통사고 사망 시 손해배상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가동연한에 대한 이야기)

60대 농민의 교통사고 사망 시 손해배상은 일반적인 가동연한(60세)을 넘어 건강 상태, 실제 농업 활동 여부 등을 고려하여 65세까지 인정될 수 있으며, 개별 사건의 구체적 사실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교통사고 사망#60대 농민#손해배상#가동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