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브랜드 뉴발란스의 상징, 'N' 로고. 이 로고를 둘러싼 상표권 분쟁에서 새로운 판례가 나왔습니다. 다른 회사가 뉴발란스의 'N' 로고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자, 뉴발란스는 해당 상표가 자사 상표권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는 확인을 구하는 심판을 청구했고, 승소했습니다. 이번 판결의 핵심은 상표의 식별력을 언제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입니다.
쟁점은 '식별력' 판단 시점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바로 '식별력'입니다. 식별력이란 특정 상품의 출처를 소비자가 알아볼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 식별력은 시대 흐름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던 상표라도, 오랜 기간 사용되면서 소비자들에게 널리 인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사건의 핵심 쟁점은 바로 이 식별력을 **'등록 결정 당시'**에 판단해야 하는지, 아니면 **'심결 당시'**에 판단해야 하는지였습니다. 뉴발란스의 'N' 로고는 처음 등록될 당시에는 식별력이 약했습니다. 그러나 오랜 기간 사용되면서 뉴발란스 운동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법원, "식별력 판단 기준시는 '심결 시'"
대법원은 이 사건에서 '심결 시'를 기준으로 식별력을 판단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상표 등록 당시에는 식별력이 약했더라도, 심판 당시에 소비자들이 해당 상표를 보고 특정 상품의 출처를 인식할 수 있다면 식별력이 있다고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뉴발란스의 'N' 로고는 심결 당시 높은 식별력을 가진 것으로 인정되었고, 유사 상표 사용은 상표권 침해로 판단되었습니다.
반대 의견도 존재
이번 판결에는 반대 의견도 있었습니다. 반대 의견은 등록 당시 무효 사유가 있는 상표는 설령 나중에 식별력을 얻더라도 권리 범위 확인 심판을 청구할 이익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애초에 잘못 등록된 상표에 대해서는 권리 범위를 다툴 필요조차 없다는 것입니다.
주요 참고자료
이번 판결은 상표권 분쟁에서 식별력 판단 기준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앞으로 유사한 상표권 분쟁에서 중요한 판례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허판례
두 상표가 유사한지 판단할 때는 전체적인 느낌과 간략하게 불리는 호칭까지 고려해야 하며, 특히 외국인 성명이 포함된 상표라도 일부만으로 불릴 가능성이 있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다.
특허판례
단순한 무늬라도 오랜 사용으로 소비자에게 특정 상품의 출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표등록이 가능하다.
특허판례
운동복에 붙은 라벨과 상표가 기존 등록상표와 거의 같아서 상표권 침해로 인정되었고, 상표 등록 취소는 기각되었습니다.
특허판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외관이나 의미가 달라도 유사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특허판례
'아르멕스'라는 상표를 페인트 제거제에 사용하려는 출원이 기존에 등록된 비슷한 상표('아멕스')와 유사하고, 지정 상품도 유사하여 거절되었습니다.
특허판례
POLO와 POLA는 외관상 유사하지만, POLO가 워낙 유명해서 소비자들이 헷갈릴 가능성이 낮으므로 POLA 상표 등록을 무효로 할 수 없다는 판결. 단순히 글자나 발음이 비슷하다고 무조건 상표 등록을 거절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소비자들이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